||
{{{#fff ''' 紅蓮華의 주요 수상 이력 '''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2020년 일본 애니송 총선거)] [include(틀:2023년 시대별 일본 애니송 베스트20)] ||<-5>
'''{{{#000000 레이와 원년 애니송 대상}}}''' || ||<-5> [[파일:reiwa_anisong_taisho.png |width=20%]] || ||<-5> {{{#c8ac25 '''대상・특별상'''}}} || || {{{#white '''헤이세이'''}}} || {{{#white → }}} || {{{#white '''2019년'''}}} || {{{#white → }}} || {{{#white '''2020년'''}}} || || [[잔혹한 천사의 테제]][br]{{{-3 [[타카하시 요코(가수)|타카하시 요코]] / [[신세기 에반게리온]] OP}}}[br][br][[Agapē]][br]{{{-3 멜로큐어 / [[원반황녀 왈큐레 ]] 삽입곡}}} || → || '''홍련화''' [br]{{{-3 [[LiSA(1987) |LiSA]] / [[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 1기)|귀멸의 칼날]] OP}}}[br][br][[エイミー(바이올렛 에버가든)|에이미]]{{{-2 ^^(특별상)^^}}}[br]{{{-3 [[치하라 미노리]] / [[바이올렛 에버가든 외전: 영원과 자동수기인형]] 주제가}}} || → || [[炎(LiSA)|불꽃]] [br]{{{-3 [[LiSA(1987) |LiSA]]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주제가}}}[br][br][[DADDY ! DADDY ! DO !]][br]{{{-3 [[스즈키 마사유키]] / [[카구야 님은 고백받고 싶어? ~천재들의 연애 두뇌전~]] OP}}} || }}} || ||<-2><#CD5C5C> '''{{{+5 [ruby(紅,ruby=ぐ)][ruby(蓮,ruby=れん)][ruby(華,ruby=げ)]}}}[br]홍련화 / Gurenge'''[br]'''15th SiNGL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홍련화 통산판.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애니메이션 커버 {{{#!wiki style="margin:5px -10px 0" [[파일:탄지로 홍련화.webp|width=100%]]}}}}}}}}} || || '''아티스트''' ||[[LiSA(1987)|LiSA]]|| || '''작사''' ||[[LiSA(1987)|LiSA]]|| || '''장르''' ||[[대중음악|팝]], [[J-POP]]|| || '''작곡''' ||쿠사노 카요코 (草野華余子)|| || '''편곡''' ||에구치 료 (江口 亮)|| ||<-2> '''[[노래방 수록 목록|{{{#white 노래방 수록 정보}}}]]''' || || [[금영엔터테인먼트|[[파일:금영엔터테인먼트 심볼.svg|height=21]]]] ||44419|| || [[TJ미디어|[[파일:TJ미디어 심볼.svg|width=21]]]] ||68047|| [목차] [clearfix] == 개요 == [[LiSA(1987)|LiSA]]의 15번째 싱글의 타이틀 곡이자, [[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 1기)|귀멸의 칼날 TVA 1기]]의 오프닝. 애니가 대흥행하면서 노래도 2019년 애니송 톱에 올랐고, 애니송 외에 다른 JPOP과 비교해도 꿀리지 않는 음원 성적을 냈다. 이 덕에 [[LiSA(1987)|LiSA]]는 처음으로 [[홍백가합전]]에도 참가했다.[* 단 해외에서 방영시는 저작권 문제로 가사만 노출되는 검열처리를 당했다.] 2020년에는 [[잔혹한 천사의 테제]]에 이어 [[TV아사히]]에서 국민 13만이 선정한 애니송 2위를 차지했다. 저작권료도 2년 동안 1위를 차지했다.[[https://www3.nhk.or.jp/news/html/20220518/k10013631671000.html|#]] [[TJ미디어]]에는 68047번, [[금영엔터테인먼트]]에는 44419번으로 등록되었다. == 영상 == ||<#CD5C5C>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JHw8gwQXpWI)]}}} || ||<#CD5C5C> '''TV Version''' || ||<#CD5C5C>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Uku3t8qAloc)]}}} || ||<#CD5C5C> '''Full ver.''' || ||<#CD5C5C>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CwkzK-F0Y00)]}}} || ||<#CD5C5C> '''공식 MV (youtube ver.)''' || ||<#CD5C5C>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pYy6wwqxoo)]}}} || ||<#CD5C5C> '''[[THE FIRST TAKE|{{{#white THE FIRST TAKE}}}]] 라이브''' || == 가사 == ||<:> {{{#CD5C5C [ruby(強,ruby=つよ)]くなれる[ruby(理由,ruby=りゆう)]を[ruby(知,ruby=し)]った}}} {{{-3 츠요쿠 나레루 리유-오 싯타}}} 강해질 수 있는 이유를 알았어 {{{#CD5C5C [ruby(僕,ruby=ぼく)]を[ruby(連,ruby=つ)]れて[ruby(進,ruby=すす)]め}}} {{{-3 보쿠오 츠레테 스스메}}} 나를 데리고 나아가 {{{#CD5C5C [ruby(泥,ruby=どろ)]だらけの[ruby(走馬灯,ruby=そうまとう)]に[ruby(酔,ruby=よ)]う}}} {{{-3 도로다라케노 소-마토-니 요우}}} 진흙투성이의 주마등에 취해 {{{#CD5C5C こわばる[ruby(心,ruby=こころ)]}}} {{{-3 코와바루 코코로}}} 굳어지는 마음 {{{#CD5C5C [ruby(震,ruby=ふる)]える[ruby(手,ruby=て)]は}}} {{{-3 후루에루 테와}}} 떨리는 손은 {{{#CD5C5C [ruby(掴,ruby=つか)]みたいものがある}}} {{{-3 츠카미타이 모노가 아루}}} 잡고 싶은 것이 있어 {{{#CD5C5C それだけさ}}} {{{-3 소레다케사}}} 그것뿐이야 {{{#CD5C5C [ruby(夜,ruby=よる)]の[ruby(匂,ruby=にお)]いに}}} {{{-3 요루노 니오이니}}} 한밤의 향기에 {{{#CD5C5C (I’ll spend all thirty nights)}}} {{{#CD5C5C [ruby(空,ruby=そら)][ruby(睨,ruby=にら)]んでも}}} {{{-3 소라 니란데모}}} 하늘을 노려봐도 {{{#CD5C5C (Staring into the sky)}}} {{{#CD5C5C [ruby(変,ruby=か)]わっていけるのは[ruby(自分,ruby=じぶん)][ruby(自身,ruby=じしん)]だけ}}} {{{-3 카왓테 이케루노와 지분지신다케}}} 변해가는 것은 자기 자신뿐 {{{#CD5C5C それだけさ}}} {{{-3 소레다케사}}} 그것뿐이야 {{{#CD5C5C [ruby(強,ruby=つよ)]くなれる[ruby(理由,ruby=りゆう)]を[ruby(知,ruby=し)]った}}} {{{-3 츠요쿠 나레루 리유-오 싯타}}} 강해질 수 있는 이유를 알았어 {{{#CD5C5C [ruby(僕,ruby=ぼく)]を[ruby(連,ruby=つ)]れて[ruby(進,ruby=すす)]め}}} {{{-3 보쿠오 츠레테 스스메}}} 나를 데리고 나아가 {{{#CD5C5C どうしたって!}}} {{{-3 도-시탓테!}}} 어떻게 해도! {{{#CD5C5C [ruby(消,ruby=け)]せない[ruby(夢,ruby=ゆめ)]も [ruby(止,ruby=と)]まれない[ruby(今,ruby=いま)]も}}} {{{-3 케세나이 유메모 토마레나이 이마모}}} 지울 수 없는 꿈도, 멈추지 않는 지금도 {{{#CD5C5C [ruby(誰,ruby=だれ)]かのために[ruby(強,ruby=つよ)]くなれるなら}}} {{{-3 다레카노 타메니 츠요쿠 나레루나라}}} 누군가를 위해서 강해질 수만 있다면 {{{#CD5C5C ありがとう [ruby(悲,ruby=かな)]しみよ}}} {{{-3 아리가토- 카나시미요}}} 고마워 슬픔이여[* 이 부분은 TV판의 경우, "何度でも立ちあがれ (난도데모 타치아가레)", '몇 번이고 일어나라' 라는 가사로 변경되어 있다. 이는 어느 정도 이야기가 진행되었을 때를 가정하고 쓰여진 원곡의 가사를 그대로 사용하기엔 이제 막 고생길이 열린 탄지로에게 너무 잔인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twitter.com/memo_kmtsu/status/1185537982905778176|출처]] 해당 출처는 번역한 트위터로, 공식 설명 링크는 리사의 블로그에 올라왔고, [[https://times.abema.tv/posts/7000634|아메바 TV 기사]] 참조.] {{{#CD5C5C [ruby(世界,ruby=せかい)]に[ruby(打,ruby=う)]ちのめされて}}} {{{-3 세카이니 우치노메사레테}}} 세상에 때려눕혀지고서 {{{#CD5C5C [ruby(負,ruby=ま)]ける[ruby(意味,ruby=いみ)]を[ruby(知,ruby=し)]った}}} {{{-3 마케루 이미오 싯타}}} 진다는 의미를 알았어 {{{#CD5C5C [ruby(紅蓮,ruby=ぐれん)]の[ruby(華,ruby=はな)]よ[ruby(咲,ruby=さ)]き[ruby(誇,ruby=ほこ)]れ!}}} {{{-3 구렌노 하나요 사키 호코레!}}} 홍련의 꽃이여, 피어올라라! {{{#CD5C5C [ruby(運命,ruby=うんめい)]を[ruby(照,ruby=て)]らして}}} {{{-3 운메이오 테라시테}}} 운명을 비춰라 {{{#CD5C5C イナビカリの[ruby(雑音,ruby=ざつおん)]が [ruby(耳,ruby=みみ)]を[ruby(刺,ruby=さ)]す}}} {{{-3 이나비카리노 자츠온가 미미오 사스}}} 천둥 번개의 잡음이 귀를 찔러 {{{#CD5C5C [ruby(戸惑,ruby=とまど)]う[ruby(心,ruby=こころ)]}}} {{{-3 토마도우 코코로}}} 망설이는 마음 {{{#CD5C5C [ruby(優,ruby=やさ)]しいだけじゃ[ruby(守,ruby=まも)]れないものがある?}}} {{{-3 야사시이 다케쟈 마모레나이 모노가 아루?}}} 다정하기만 해서는 지킬 수 없는 게 있다고? {{{#CD5C5C わかってるけど}}} {{{-3 와캇테루케도}}} 알고는 있지만 {{{#CD5C5C [ruby(水面,ruby=すいめん)][ruby(下,ruby=か)]で[ruby(絡,ruby=から)]まる[ruby(善悪,ruby=ぜんあく)]}}} {{{-3 스이멘카데 카라마루 젠아쿠}}} 수면 아래서 얽히는 선과 악 {{{#CD5C5C [ruby(透,ruby=す)]けて[ruby(見,ruby=み)]える[ruby(偽善,ruby=ぎぜん)]に[ruby(天,ruby=てん)][ruby(罰,ruby=ばつ)]}}} {{{-3 스케테 미에루 기젠니 텐바츠}}} 내비치는 위선에 천벌을 {{{#CD5C5C Tell me why, tell me why, tell me why, tell me, I don't need you}}} {{{#CD5C5C [ruby(逸材,ruby=いつざい)]の[ruby(花,ruby=はな)]より}}} {{{-3 이츠자이노 하나요리}}} 뛰어난 재능으로 피워낸 꽃보다 {{{#CD5C5C [ruby(挑,ruby=いど)]み[ruby(続,ruby=つづ)]け[ruby(咲,ruby=さ)]いた[ruby(一,ruby=いち)][ruby(輪,ruby=りん)]が[ruby(美,ruby=うつく)]しい}}} {{{-3 이도미 츠즈케 사이타 이치린가 우츠쿠시이}}} 계속 도전해서 피어난 한 송이가 더 아름다워 {{{#CD5C5C [ruby(乱暴,ruby=らんぼう)]に[ruby(敷,ruby=し)]き[ruby(詰,ruby=つ)]められたトゲだらけの[ruby(道,ruby=みち)]も}}} {{{-3 란보-니 시키 츠메라레타 토게다라케노 미치모}}} 난폭하게 처박혀져버린 가시투성이의 길도 {{{#CD5C5C [ruby(本気,ruby=ほんき)]の[ruby(僕,ruby=ぼく)]だけに[ruby(現,ruby=あらわ)]れるから}}} {{{-3 혼키노 보쿠다케니 아라와레루카라}}} 내가 진심일 때만 나타날 수 있으니까 {{{#CD5C5C [ruby(乗,ruby=の)]り[ruby(越,ruby=こ)]えてみせるよ}}} {{{-3 노리 코에테 미세루요}}} 뛰어넘어 보이겠어 {{{#CD5C5C [ruby(簡単,ruby=かんたん)]に[ruby(片付,ruby=かたづ)]けられた[ruby(守,ruby=まも)]れなかった[ruby(夢,ruby=ゆめ)]も}}} {{{-3 칸탄니 카타즈케라레타 마모레나캇타 유메모}}} 간단히 치워져버린 지킬 수 없었던 꿈도 {{{#CD5C5C [ruby(紅蓮,ruby=ぐれん)]の[ruby(心臓,ruby=しんぞう)]に[ruby(根,ruby=ね)]を[ruby(生,ruby=は)]やし この[ruby(血,ruby=ち)]に[ruby(宿,ruby=やど)]ってる[* る(루)의 발음이 거의 안 들린다.]}}} {{{-3 구렌노 신조-니 네오 하야시 코노 치니 야돗테루}}} 홍련의 심장에 뿌리를 내리고 이 피에 깃들어 {{{#CD5C5C [ruby(人,ruby=ひと)][ruby(知,ruby=し)]れず[ruby(儚,ruby=はかな)]い[ruby(散,ruby=ち)]りゆく[ruby(結末,ruby=けつまつ)]}}} {{{-3 히토 시레즈 하카나이 치리유쿠 케츠마츠}}} 사람들 몰래 덧없이 흩어지는 결말 {{{#CD5C5C [ruby(無,ruby=む)][ruby(情,ruby=じょう)]に[ruby(破,ruby=やぶ)]れた [ruby(悲鳴,ruby=ひめい)]の[ruby(風,ruby=かぜ)][ruby(吹,ruby=ふ)]く}}} {{{-3 무죠-니 야부레타 히메이노 카제 후쿠}}} 무정하게 무너졌던 비명의 바람이 불어 {{{#CD5C5C [ruby(誰,ruby=だれ)]かの[ruby(笑,ruby=わら)]う[ruby(影,ruby=かげ)] [ruby(誰,ruby=だえ)]かの[ruby(泣,ruby=な)]き[ruby(声,ruby=ごえ)]}}} {{{-3 다레카노 와라우 카게 다레카노 나키 고에}}} 누군가의 웃는 그림자, 누군가의 울음소리 {{{#CD5C5C [ruby(誰,ruby=だれ)]もが[ruby(幸,ruby=しあわ)]せを[ruby(願,ruby=ねが)]ってる}}} {{{-3 다레모가 시아와세오 네갓테루}}} 누구 할 것 없이 행복을 바라고 있어 {{{#CD5C5C どうしたって!}}} {{{-3 도-시탓테!}}} 어떻게 해도! {{{#CD5C5C [ruby(消,ruby=け)]せない[ruby(夢,ruby=ゆめ)]も [ruby(止,ruby=と)]まれない[ruby(今,ruby=いま)]も}}} {{{-3 케세나이 유메모 토마레나이 이마모}}} 지울 수 없는 꿈도, 멈추지 않는 지금도 {{{#CD5C5C [ruby(誰,ruby=だれ)]かのために[ruby(強,ruby=つよ)]くなれるなら}}} {{{-3 다레카노 타메니 츠요쿠 나레루나라}}} 누군가를 위해서 강해질 수만 있다면 {{{#CD5C5C ありがとう [ruby(悲,ruby=かな)]しみよ}}} {{{-3 아리가토- 카나시미요}}} 고마워 슬픔이여 {{{#CD5C5C [ruby(世界,ruby=せかい)]に[ruby(打,ruby=う)]ちのめされて}}} {{{-3 세카이니 우치노메사레테}}} 세상에 때려눕혀지고서 {{{#CD5C5C [ruby(負,ruby=ま)]ける[ruby(意味,ruby=いみ)]を[ruby(知,ruby=し)]った}}} {{{-3 마케루 이미오 싯타}}} 진다는 의미를 알았어 {{{#CD5C5C [ruby(紅蓮,ruby=ぐれん)]の[ruby(華,ruby=はな)]よ[ruby(咲,ruby=さ)]き[ruby(誇,ruby=ほこ)]れ!}}} {{{-3 구렌노 하나요 사키 호코레!}}} 홍련의 꽃이여, 피어올라라! {{{#CD5C5C [ruby(運命,ruby=うんめい)]を[ruby(照,ruby=て)]らして}}} {{{-3 운메이오 테라시테}}} 운명을 비춰라 {{{#CD5C5C [ruby(運命,ruby=うんめい)]を[ruby(照,ruby=て)]らして}}} {{{-3 운메이오 테라시테}}} 운명을 비춰라 || == [[리듬 게임]]에 수록 == === [[신 태고의 달인]] === [youtube(jwcgiyOiTzo)] 그린 버전 오니 플레이 영상. [youtube(gu5tUQ1w2h8)] NIJIIRO 버전 우라 플레이 영상. ||<-6> 紅蓮華 || ||<-3> [[BPM]] ||<-3> 135 || ||<-3> 新AC 기준 || ||<|2> 난이도 || 간단 || 보통 || 어려움 || 오니 || 우라 || || {{{#f66f05 2}}} || {{{#green 2}}} || {{{#002040 3}}} || {{{#purple 6}}} || {{{#692ee8 8}}} || || 노트 수 || {{{#f66f05 46}}} || {{{#green 74}}} || {{{#002040 141}}} || {{{#purple 291}}} || {{{#692ee8 400}}} || || 수록 버전 ||<-999> NIJIIRO(가칭, 내수판), GREEN(아시아판), [[태고의 달인 모두 함께 쿵딱쿵!|PS4]], [[태고의 달인 Nintendo Switch 버~전!|NS]] || || 비고 ||<-5> PS4와 NS버전에는 우라 난이도가 없다 || 2020년 6월 9일(아시아판은 7월 상순) 업데이트로 수록되었다. === [[BEMANI]] === ==== [[GITADORA 시리즈]] ==== ||<-6>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ddd,#33353a> BPM ||<#eaeaea,#383b40>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TREME || MASTER || ||<|3><:>135 || 기타 표준 || 1.50 || 3.40 || 5.55 || 6.60 || || 기타 베이스 || 1.40 || 3.00 || 5.40 || 6.90 || || 드럼매니아 || 1.60 || 3.40 || 5.00 || 6.85 || ||||<#eaeaea,#26282c> 최초 수록 버전 ||<-4><#120800><:>{{{#!wiki style="display:inline;margin:-1px auto;padding:0px;border:1px solid #fff;text-align:center;float:center" [[GITADORA NEX+AGE|[include(틀:글배경, 배경색=#fff,글자색=#373a3c,내용=GITADORA)] {{{#ddd NEX+AGE}}}]]}}} {{{#ddd (2020.07.01)}}} || ||||<#eaeaea,#26282c> 삭제된 버전 ||<-4><#000> [[GITADORA FUZZ-UP|{{{#fff GITADORA FUZZ-UP}}}]] {{{#01fa03 (2023.06. 26. )}}} || 커버 버전으로 수록. 수록 당시 공지에서는 [[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 1기)|TV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오프닝이라며 이곡이 등장한 작품을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2022년 7월 19일 코나스테에 라이센스 곡들이 추가될때 이곡도 추가되었다. ===== 기타프릭스 패턴 ===== [youtube(QWHvBwq1LHE)] 기타/베이스 MASTER [youtube(ObtlI9RyVgY)] 기타 표준 EXTREME 기타 익스는 속주만 보면 5렙대가 맞지만, 속주만 버티면서 나머지 부분 잘치면 60%~A랭크까지 낼수 있어 3.90~4.25 유저라면 tri boost 시절 [[수월경화]] 드럼매니아 ADVANCED처럼 클리어 만으로 챙길수 있을 만큼은 먹을수 있는 곡. 다만 속주 몰린 구간으로 난이도를 끌어 올린곡이라 그 이상은 난이도 값하는 것 유의. ===== 드럼매니아 패턴 ===== [youtube(0DR-epPPblc)] 드럼 MASTER. ==== [[beatmania IIDX]] ==== || 장르명 ||<-5> IIDX EDITION || [[BPM]] |||| 135 || || 전광판 표기 ||<-8><#454545> '''GURENGE''' || ||<-9>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 {{{#green,#0c0 비기너}}} |||| {{{#blue,#6495ed 노멀}}} |||| {{{#orange 하이퍼}}} ||||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green,#0c0 1}}} || {{{#green,#0c0 79}}} || {{{#blue,#6495ed 3}}} || {{{#blue,#6495ed 264}}} || {{{#orange 6}}} || {{{#orange 494}}} || {{{#red 9}}} || {{{#red 748}}} || || [[더블 플레이]] |||| {{{#green,#0c0 -}}} || {{{#blue,#6495ed 3}}} || {{{#blue,#6495ed 321}}} || {{{#orange 6}}} || {{{#orange 542}}} || {{{#red 9}}} || {{{#red 779}}}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8 BISTROVER|28 BISTROVER]] ~ [[beatmania IIDX 30 RESIDENT|30 RESIDENT]] * [[단위인정]] 수록 * 싱글 비기너 : 7급 (29 CastHour) IIDX EDITION으로 수록되었다. 아티스트 명의는 Covered by BEMANI Sound Team "[[HuΣeR]]" feat. [[모리나가 마유미|Mayumi Morinaga]] 명의에서 드러나듯 IIDX EDITION으로 수록된 다른곡에 비해 원곡과 차이가 적은 편. BISTROVER의 첫 위클리 랭킹 대상곡으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31덱에서 라이센스 만료로 삭제되었다. ===== 싱글 플레이 ===== [youtube(_teP854NFsg)] SPA 영상 싱글 비기너는 BISTROVER 기준으로 가장 노트수가 적은 채보이다. ===== 더블 플레이 ===== [youtube(SoNtBy51XtU)] DPA 영상 ===== 아티스트 코멘트 ===== ||Sound / BEMANI Sound Team "HuΣeR" 이제 일본 중에서 들어본 적이 없는 분은 없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인지도가 있는 악곡 「紅蓮華」를 커버해드렸습니다. 당초는 제안 반·의뢰 반으로 받은 이 일이었습니다만, 받아 보니 그것은 이미 장벽이 높은 것입니다. 모처럼 커버한다면, 역시「IIDX다움」인 면도 제대로 갖고 싶고, 그렇다고 해도 너무 빼면 원곡·원래 콘텐츠 님께 실례고, 어머, 이거 어떡하지... 라고 하루 고민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요즈음의 소위 애니메이션 송적인 에센스를 표현하는 것에 관해서, 저는 즐겨 잘하는 편이라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나답게 또한 원래의 이미지를 무너뜨리지 않도록 노력했습니다. 불러주신 분은 IIDX에서는 친숙한 moimoi이자 Mayumi Morinaga씨입니다. 「紅蓮華」는 듣기만 하면 깨닫지 못하는데, 가창하려고 하면 굉장히 가창 난이도가 높은 악곡이라는 사실에 놀랄 것 같습니다. 그러던 중 moimoi씨는 녹화 당일, 이쪽의 의도도 헤아린 후 멋진 노랫소리를 전해주셨습니다. 사실 이 코멘트, 가동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지금 쓰고 있습니다만, 데이터를 볼 때 폭넓게 여러분이 플레이하고 계십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플레이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Vocal / Mayumi Morinaga Mayumi Morinaga입니다. 이번에는 처음으로 HuΣeR씨와 합작하는 것에 흥분하기도 전에 그가 말씀하신 내용이, 무려 많은 분들이 사랑하는 「紅蓮華」 커버라고 하니 더욱 가슴이 뛰었습니다. 그 날까지 이 곡을 직접 불러본 적이 없었는데, 부르면 보다 LiSA씨의 가창력의 높이와 표현력이 곡의 가락과 완벽하게 합쳐져 있어서 그것은 이미 난이도가 높은 작품이라고 느꼈고, 의뢰를 맡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맡아 버렸다, 어떡하지」라고 몇 번이고 머리를 넘긴 것은 여기만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던 중, HuΣeR님께서「자신답게 불러달라」고 디렉션을 해주시고, 그 말에 조금만 어깨가 내려, 이번에는 경의를 담아 나름대로 해석해서 노래를 불렀습니다. 지금까지도 커버곡은 부른 적이 있지만 매번 정말 공부가 됩니다. 이번에도 이를 계기로 한 소리꾼으로서 새로운 발견과 목적이 생겨 감사드립니다. 여러분도 꼭 플레이하고「紅蓮華」를 불러보세요!|| ==== [[유비트 시리즈]] ==== [youtube(dZENRedDFg0)] ||<-4> [[유비트 시리즈|jubeat]] 난이도 체계 || ||<|2> 레벨 ||<#69d462> {{{#373a3c BASIC}}} ||<#ff8a00> ADVANCED ||<#ea4c4c> EXTREME || || 2 || 5 || 8 || || 노트수 || 112 || 325 || 511 || || BPM |||||| 135 || ||<-4><#aaa,#777> 아케이드 수록버전 및[br]jubeat plus 수록 pack || || 아케이드 수록 ||||||<#fef534> [[유비트 페스토|{{{#083145 유비트 페스토}}}]] ~ 유비트 비욘드 디 애비뉴 || || iOS |||||| 없음 || || Android |||||| 없음 || 2020년 10월 30일 기타도라의 커버버전으로 수록되었다. ==== [[DANCERUSH STARDOM]] ==== 2020년 12월 23일 역시 기타도라의 커버버전으로 수록되었다. --거의 2년만의 POPS 업데이트다.-- 공식 트위터에 올라온 공지 그림에 [[카마도 탄지로]]의 옷과 칼을 든 모띠의 일러스트가 그려져 있다. [[https://twitter.com/DANCERUSH573/status/1340825329187713024?s=19|#]] 난이도는 간단 2레벨, 보통 4레벨로 책정되었는데, 보통 난이도의 경우 삭제 곡들을 제외하면 가장 낮은 난이도이다.[* 삭제된 곡들을 포함하면 [[제복의 마네킹|보통 난이도 3레벨]]곡도 있었으며 4레벨 곡들도 여러개 있었다.] 이후 ANOTHER EDITION 채보가 추가되었다. 간단 3레벨 보통 7레벨. === [[Dance Dance Revolution]] === https://youtu.be/ziUCp_W42Hw 가정용 DDR GP에 수록되었다. === 게키츄마이 === 세가가 원래 라이센스곡 쪽에 돈을 많이 써서 그런 건지 게키츄마이에는 '''원곡'''으로 수록되었다. ==== [[maimai DX]] ==== [youtube(22mTCjyAaUA)] 위 영상은 저작권 단속을 피하기 위해 0.5배속으로 처리되었다. ==== [[CHUNITHM]] ==== [youtube(IIPK6o7fY-Y)] ==== [[온게키]] ==== [youtube(isHh_RZd66A)] == 기타 == * 한국의 5인조 밴드 보이그룹인 [[엔플라잉]]이 커버하기도 했다.[youtube(mIlvsXpth5E)] * 스토리상 최종국면편 중간 보스인 [[도우마]]의 기술이 얼음으로 만들어진 '''푸른''' 연꽃을 응용하여 공격하는 것인데 노래 제목의 뜻이 '''붉은''' 연꽃을 뜻하다 보니 서로 대조된다. 다르게 보자면 2기로 넘어가기 직전에 탄지로의 마음에 피어난 '''[[렌고쿠 쿄쥬로|마음을 불태운다는 의미]]'''라 해석할 수도 있다, * KSUKE[* 리듬 게임 쪽에는 [[beatmania IIDX]]에 [[Serious?]]와 [[Ohayo!]]가 라이센스 형식으로 수록되어 있다.]가 리믹스한 버전이 [[토요타 아쿠아]][* 토요타 아쿠아는 이전부터 [[마라시]] 버전 [[천본앵(VOCALOID 오리지널 곡)|천본앵]]이나 [[드래곤 퀘스트]], [[몬스터 헌터]]의 BGM들을 CM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의 CM에 사용되었다. 유튜브에도 광고 영상이 올라와 있었으나 현재는 비공개 처리되었다. * [[2020 도쿄 올림픽]]의 양궁 경기장인 유메노시마 양궁장에서 수시로 이 노래를 틀어주었다. 일본 대표팀이 남자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할 때에도 틀었고, 그냥 몇몇 경기가 끝난 후에도 서너 번 넘게 틀었다. [[https://youtu.be/sTG89L50ZQw|#]][* 참고로 경기를 하고 있을 때 틀어준 노래는 [[진격의 거인]]의 [[홍련의 화살]].] 하지만 우리나라 생중계에서는 '그 노래가 나오고 있었어?'라고 느낄 만큼 전혀 들리지 않았는데, 아무래도 지상파 방송에서 일본 관련 서브컬쳐 노래(특히 일본어 원곡)가 나오는 게 터부시되다보니 음향 과정에서 자른 것으로 추정. 이후 폐막식에서도 연주되었다. * 노래가 빨라서 부르기 꽤 어려운 편이다. * 독일어 커버곡 버전이 존재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4RatgwIshxI|#]] * [[imod jp]]라는 일본의 유튜버가 이 곡을 마개조 해서 [[https://www.youtube.com/watch?v=9lW69AkRnx8|홍련화・改]]를 만들었다. [[분류:LiSA(1987)]][[분류: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음악]][[분류:일본 노래]][[분류:2019년 노래]][[분류:일본 애니메이션 음악]][[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태고의 달인의 수록곡]][[분류:GITADORA NEX+AGE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28 BISTROVER의 수록곡]][[분류:유비트 페스토의 수록곡]][[분류:NHK 홍백가합전 가창곡]][[분류:일본의 음악]][[분류:일본의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