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篤}}}도타울 독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竹|{{{#000,#fff 竹}}}]],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ト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つ-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篤은 ''''도타울 독''''이라는 [[한자]]로, '도탑다', '돈독(敦篤)하다', '진실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도탑다 || || {{{-1 '''음'''}}} ||독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ǔ || || {{{-1 '''[[광동어]]'''}}} ||duk1 || || {{{-1 '''[[객가어]]'''}}} ||tuk || || {{{-1 '''[[민북어]]'''}}} ||dŭ || || {{{-1 '''[[민동어]]'''}}} ||dók || || {{{-1 '''[[민남어]]'''}}} ||tok / táu, tauh || || {{{-1 '''[[오어]]'''}}} ||toq (T4) || ||<-3> || ||<|2> '''[[일본어]]''' || {{{-1 '''음독'''}}} ||トク || || {{{-1 '''훈독'''}}} ||{{{#c88 あつ-い}}} || ||<-3> || ||<-2> '''[[베트남어]]''' ||đốc || [[유니코드]]에는 U+7BE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尸手火(HSQF)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馬]](말 마)와 소리를 나타내는 [[竹]](대 죽)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돈독([[敦]]篤) * 위독([[危]]篤)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와타베 아츠로]]([[渡]][[部]] 篤[[郎]]) * [[쿠사카베 아츠야]]([[日]][[下]][[部]] 篤[[也]]) * [[이나바 아츠노리]]([[稲]][[葉]] 篤[[紀]]) * [[테라시마 타쿠마]]([[寺]][[島]] [[拓]]篤) * [[하나부사 아츠카게]]([[英]] 篤[[影]]) * [[히가시가와 도쿠야]]([[東]][[川]] 篤[[哉]]) === [[지명#s-2]] === == 유의자 == * [[敦]]/[[惇]](도타울 돈) * [[厚]](두터울 후) == 상대자 == * [[薄]](엷을 박)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駡]](꾸짖을 매)[* [[罵]](꾸짖을 매)의 [[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