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站}}}역마을 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立|{{{#000,#fff 立}}}]],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タ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まつぎ, えき, たたず-む, た-つ}}}}}}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站은 ''''역마을 참''''이라는 [[한자]]로, '역마을', '서다', '역참(驛站)'을 뜻한다. 중화권에서는 '역'이라는 뜻을 나타낼 때도 쓰인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역마을 || || {{{-1 '''음'''}}} ||참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zhàn || || {{{-1 '''[[광동어]]'''}}} ||zaam6 || || {{{-1 '''[[객가어]]'''}}} ||cham || || {{{-1 '''[[민북어]]'''}}} ||ca̿ng || || {{{-1 '''[[민동어]]'''}}} ||câng || || {{{-1 '''[[민남어]]'''}}} ||chām || || {{{-1 '''[[오어]]'''}}} ||ze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タン''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trạm || [[유니코드]]에는 U+7AD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TYR(卜廿卜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立]](설 립)과 소리를 나타내는 [[占]](점령할/점칠 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9~10세기에 북방 [[관화]]에서 '서다'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진 한자이다. 이 글자와 단어가 [[立]](설 립)자를 대체하였다. 그만큼 상대적으로 최근에 만들어진 글자로 [[설문해자]]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역참]](驛站)' 및 정거장의 의미도 갖고 있는 데, 원나라 때 중세 몽골어로 역(驛)을 뜻하던 '잠치(ǰamči, ᠵᠠᠮ)[* 현대 몽골어에서 이 단어는 замч라는 어형으로 정착되었는데, 뜻은 뜬금없게도 '여행 가이드'이다. 이 단어는 '길'을 뜻하는 зам으로부터 파생된 단어로써 원래는 '길 + 꾼' 정도의 의미를 지닌 단어였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지칭 대상이 변했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이 단어는 몽골 제국의 영향력이 강하던 시절 [[러시아어]]에까지 차용되어, [[역마차]] 마부를 뜻하는 임쉬크(ямщик)라는 단어가 되기도 했다.]'를 站赤으로 음역하면서[* 역은 달리던 말이 '서는' 곳이니까 '서다'는 뜻을 가진 이 글자를 음역자로 채택한 것이다.] 이러한 의미가 붙었고 관화에서 기존에 정거장의 의미를 갖던 역(驛)을 대체한 것이 오늘날 [[표준중국어]]까지 이어지고 있다. == 용례 == [[중화권]]에서는 '[[역(교통)|역]]'이란 뜻으로 [[驛]]자 대신 이 한자를 쓰며, [[서울 지하철]] 및 [[부산 지하철]]의 [[중국어]] 안내 방송에서도 "역" 대신 저 한자의 병음을 읊는다. 국어사전에서는 새참 등 뒤에 '참'자가 들어간 글자에 이 한자를 차용한다고 한다. 과거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온라인 게임]]상에서 물건을 판매한다는 의미의 '팜'이라는 글자를 [[야민정음|대용]]해서 사용하기도 했다.[* 예시 : +7 [[메이플스토리/장비 아이템|노목]] 站자, 렙 70 [[귀검사/남자|남귀검]] 站자 등] 사실 '팔다'의 명사형은 '팜'이 아니라 '팖'이기 때문에 맞춤법에 맞는 표현은 아니다. 이렇게 쓴 이유는 '팜'과 站자가 [[닮은꼴 문자|모양상으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는 과거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에서 채팅만으로 NPC와 물건거래가 가능한 탓에 이를 방지하려고 사용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주로 [[사자후]][*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에선 사자후가 무협에서 나오는 스턴 스킬이 아니라 한 지역 전체에 말을 전하는 전 직업 공통 지존용 마법이다. 만렙(지존)이 되면 직업에 상관없이 배운다.]로 쓰던 게 원조. 반대로 '삼'이라는 표현을 할 때는 [[人]][[占]], [[佔]] 등으로 나타내기도 했지만 전자는 한자 변환을 두 번 해야 해서 불편하고 후자는 확장 한자 영역에 있다 보니 站을 팜이라고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 [[단어]] === * 거참([[車]]站) * 경영참([[京]][[營]]站) * [[계단참]]([[階]][[段]]站) * 과참([[過]]站) * 관참([[館]]站) * 단참([[單]]站) * 동팔참([[東]][[八]]站) * 발참([[撥]]站) * 배참([[排]]站) * [[병참]]([[兵]]站) * 병참감([[兵]]站[[監]]) * 병참감실([[兵]]站[[監]][[室]]) * 병참단([[兵]]站[[團]]) * 육군병참단([[陸]][[軍]][[兵]]站[[團]]) * 병참로([[兵]]站[[路]]) * 병참부([[兵]]站[[部]]) * 병참선([[兵]]站[[線]]) * 병참소([[兵]]站[[所]]) * 병참지([[兵]]站[[地]]) * 본참([[本]]站) * 분참([[分]]站) * 사참([[寺]]站) * 선참([[先]]站) * 수참([[水]]站)[* [[전라도]]·[[경상도]]·[[충청도]] 등 세 도의 세곡을 서울로 수송하던 [[조운선]]이 쉬어 가던 곳을 일컫는 말로 바로 밑의 지명 문단에 쓰인 수참리 역시 해당 의미이다.] * 수참간([[水]]站[[干]]) * 수참판관([[水]]站[[判]][[官]]) * 우수참([[右]][[水]]站) * 좌수참([[左]][[水]]站) * 숙소참([[宿]][[所]]站) * 숙참([[宿]]站) * [[역참]]([[驛]]站) * 오참([[五]]站) * 십오참([[十]][[五]]站) * 월참([[越]]站) * 읍참([[邑]]站) * 전참([[前]]站) * 식전참([[食]][[前]]站) * 점심참([[點]][[心]]站) * 종참읍([[終]]站[[邑]]) * 중참([[中]]站) * 중화참([[中]][[火]]站) * 참로(站[[路]]) * 참리(站[[吏]]) * 참마(站[[馬]]) * 참막(站[[幕]]) * 참부(站[[夫]]) * 참선(站[[船]]) * 수참선([[水]]站[[船]]) * 참수(站[[需]]) * 참역(站[[役]]) * 참운(站[[運]]) * 참장공(站[[桩]][[功]]) * 참점(站[[店]]) * 참점경(站[[店]][[頃]]) * 참점전(站[[店]][[田]]) * 참점호(站[[店]][[戶]]) * 참참(站站) * 참포(站[[鋪]]) * 참호(站[[戶]]) * 체참([[替]]站) * 초참([[初]]站) * 출참([[出]]站) * 층계참([[層]][[階]]站) * 칠참([[七]]站) * 파참거([[擺]]站[[去]])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가오슝전람관역]]([[高]][[雄]][[展]][[覽]][[館]]站) *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수참리]]([[水]]站[[里]]) * [[공항 터미널 1역]]([[機]][[場]][[第]][[一]][[航]][[廈]]站) * [[공항 터미널 2역]]([[機]][[場]][[第]][[二]][[航]][[廈]]站) * [[난강전람관역]]([[南]][[港]][[展]][[覽]][[館]]站) * [[눙예잔란관역]]([[农]][[业]][[展]][[览]][[馆]]站) * [[량샹역]]([[良]][[乡]]站) * [[르카쩌역]]([[日]][[喀]][[则]]站) * [[샹탄베이역]]([[湘]][[潭]][[北]]站) * [[샹탄역]]([[湘]][[潭]]站) * [[신참역]]([[新]]站[[驛]]) * [[아시아월드엑스포역]]([[博]][[覽]][[館]]站) * [[어얼둬쓰역]]([[鄂]][[尔]][[多]][[斯]]站) * [[잉탄베이역]]([[鹰]][[潭]][[北]]站) *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역참로]]([[驛]]站[[路]]) * [[중탄루역]]([[中]][[潭]][[路]]站) * [[차오야역]]([[草]][[衙]]站) * [[췬완역]]([[荃]][[灣]]站) * [[췬완웨스트역]]([[荃]][[灣]][[西]]站) * [[카스역]]([[喀]][[什]]站) * [[카쭤역]]([[喀]][[左]]站) * [[핑탄역]]([[平]][[潭]]站) === [[창작물]] === * [[누나의 첫사랑]]([[下一站是幸福]]) === 기타 === == 유의자 == * [[驛]](역 역)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䬯]](서로만나밥먹을 념) * [[拈]](집을 념/점) * [[炶]](번쩍거릴 섬) * [[𢓕]]^^[⿰彳占]^^(걷는모양 임) * [[岾]](고개 재, 절이름 점) * [[𦕒]]^^[⿰耳占]^^(귀조금늘어질 점/접) * [[煔]](데칠 점, 불타오를 첨/섬, 삼나무 삼) * [[詀]](말꾸며댈 점, 수다스러울 잠, 잔소리할 첩) * [[𪖚]]^^[⿰鼻占]^^(매부리코 점) * [[鮎]](메기 점) * [[秥]](벼 점) * [[粘]](붙을 점) * [[胋]](살찔 점/첨) * [[蛅]](쐐기 점) * [[佔]](엿볼 점, 속삭거릴 첨) * [[玷]](옥티 점) * [[袩]](옷깃 점/접) * [[阽]](위태로운 점/염) * [[坫]](잔돌려놓는자리 점) * [[點]](점 점) * [[黏]](차질 점/념) * [[䩇]](추할 점) * [[䍄]](흠 점) * [[䪓]](띠장식 접/첩) * [[跕]](밟을 접) * [[𪗦]]^^[⿰齒占]^^(이뺄 참) * [[𪉜]]^^[⿰鹵占]^^(짤 참) * [[𡖞]]^^[⿰多占]^^(많을 첨) * [[黇]](백황색 첨) * [[酟]](섞을 첨) * [[㚲]](약할 첨) * [[䀡]](엿볼 첨/점)[* [[覘]](엿볼 첨/점)의 [[동자#s-2]]] * [[沾]](젖을 첨) * [[怗]](고요할 첩, 어울리지않을 첨) * [[帖]](문서 첩) * [[貼]](붙일 첩) * [[呫]](소곤거릴 첩) * [[䩞]](안장장식 첩) * [[鉆]](족집게 첩, 보습 검) * [[䴴]](차조 첩, 차질 념) * [[𤝓]]^^[⿰犭占]^^(핥을 첩) * [[砧]](다듬잇돌 침) * [[枮]](모탕 침) * [[𤘇]]^^[⿰牙占]^^(잠) * [[𨱬]]^^[⿰镸占]^^(점) * [[𫥄]]^^[⿰冫占]^^ * [[𫥸]]^^[⿰刀占]^^ * [[𠕟]]^^[⿰冉占]^^ * [[𭙀]]^^[⿰干占]^^ * [[𡖵]]^^[⿰夜占]^^ * [[𪯴]]^^[⿰方占]^^ * [[𫼜]]^^[⿰手占]^^ * [[𭮆]]^^[⿰歹占]^^ * [[𫀅]]^^[⿰示占]^^ * [[𥎁]]^^[⿰柔占]^^ * [[𥿕]]^^[⿰糸占]^^ * [[𬜅]]^^[⿰舌占]^^ * [[𧲸]] * [[𫚳]]^^[⿰鳥占]^^ * [[𪕐]]^^[⿰鼠占]^^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𱰍]]^^[⿱站瓦]^^ * [[𥱱]]^^[⿱𥫗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