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3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竊}}}훔칠 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穴|{{{#000,#fff 穴}}}]], 1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ツ{{{#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ひそ-かに}}}}}}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i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竊은 ''''훔칠 절''''이라는 [[한자]]로, '훔치다', '도둑질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AC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金竹木月(JCHDB)로 입력한다. [[穴]](구멍 혈)+[[廿]](스물 입)+[[米]](쌀 미)+[[禼]](벌레 설)이 합한 글자로, [[소전]]의 자형을 자세히 나타내면 {{{+5 𥩓}}}이 된다. 여기에서 廿과 米가 [[釆]](분별할 변)으로 합쳐진 게 현재의 자형이다.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穴과 米는 구멍으로 쌀을 내보낸다는 도둑질의 뜻을 의미하고, 廿은 [[疾]](병 질)의 고문으로 이것과 禼은 음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 용례 == === [[단어]] === * [[절도]](竊[[盜]]) * 절도범(竊[[盜]][[犯]]) * [[절도죄]](竊[[盜]][[罪]]) * [[표절]]([[剽]]竊) === 기타 === * [[竊잞폕]] == 유의자 == * [[盜]](훔칠 도) * [[賊]](도둑 적) * [[偸]](훔칠 투) * [[剽]](훔칠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