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稔}}}익을 임/념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禾|{{{#000,#fff 禾}}}]],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ジン, ニン, ネ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つ-む, とし, みの-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rě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稔은 ''''익을 임/념''''이라는 [[한자]]로, '익다', '여물다', '쌓다',' 해[年]' 등을 뜻한다. 그래서 ''''여물 임/념''''이라고도 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念]](생각 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7A1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木人戈心(HDOIP)으로 입력한다. 동자로는 [[禾]](벼 화) 대신 [[示]](보일 시)를 쓰는 䄒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불임([[不]]稔) * 불임성([[不]]稔[[性]]) * 세임([[歲]]稔) * 실념([[實]]稔) * 실임([[失]]稔) * 악임([[惡]]稔) * 악임죄영([[惡]]稔[[罪]][[盈]]) * 일임([[一]]稔) * [[일임홍]]([[一]]稔[[紅]]) * 임사(稔[[肆]]) * 임성(稔[[性]]) * 불임성([[不]]稔[[性]]) * 임성화(稔[[性]][[花]]) * 임화(稔[[禍]]) === [[인명]] === 보통 일본에서 많이 쓰이는데, [[미노루]](みのる), 토시(とし) 등으로 읽는다. * [[나고시 토시히로]]([[名]][[越]] 稔[[洋]]) * [[나카무라 토시야]]([[中]][[村]] 稔[[弥]]) *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 [[康]]稔) * [[미노루]](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 [[아라카와 나루히사]]([[荒]][[川]] 稔[[久]]) * 야마다 토시아키([[山]][[田]] 稔[[明]]) * [[오가타 넨지]]([[緒]][[方]] 稔[[二]]) * [[오노 미노루]]([[大]][[野]] 稔) * [[와카바야시 토시야]]([[若]][[林]] 稔[[弥]]) * 우노 도시히로([[宇]][[野]] 稔[[弘]]) * 우메자와 아츠토시([[梅]][[澤]] [[淳]]稔) * [[진념(1940)|진념]]([[陳]]稔) * [[츠루 토시유키]]([[都]][[留]] 稔[[幸]]) * [[코시지마 토시코]]([[越]][[島]] 稔[[子]]) * 타나카 토시히코([[田]][[中]] 稔[[彦]]) * [[토시오]](稔[[雄]]) *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東]][[久]][[邇]][[宮]] 稔[[彦]][[王]]) === [[지명#s-2]] === * [[미노리다이역]](稔[[台]][[駅]]) === [[창작물]] === === 기타 === 稔을 [[파자]]하면 [[禾]]+[[念]]이 되기 때문에 주로 [[빌리빌리]]에서 [[상하이 허녠 정보기술]]의 약칭으로 사용된다. === [[일본어]] === ==== [[훈독]] ==== * 稔(つ)む: 쌓다. 보통은 [[積]](쌓을 적)을 써서 積む로 쓴다. * 稔(とし): 해(年), 년(年). 보통은 [[年]](해 년)을 써서 年로 쓰며 稔은 사실상 인명 전용이다. * 稔(みの)る: 열매를 맺다, 결실하다, 여물다. 보통은 [[実]](열매 실)을 써서 実る로 쓴다. ==== [[음독#s-1]] ==== ジン, ニン, ネン. 보통은 ネン으로 읽는다. * 稔性(ねんせい): 임성 * 不稔性(ふねんせい): 불임성 === [[중국어]] === * 稔[rěn]: (농작물이) 여물다, 익다. 한 해(1년), 잘 알고 있다. * 稔腻[rěnnì]: 아름답고 매끄럽다. * 稔熟[rěnshú]: 충분히 잘 알고 있다. == 유의자 == * '''익다''' * [[熟]](익을 숙) * '''쌓다''' * [[蘊]](쌓을 온) * [[貯]]/[[儲]](쌓을 저) * [[積]](쌓을 적) * [[蓄]]/[[築]](쌓을 축) * [[堆]](쌓을 퇴) * '''해''' * [[年]](해 년) * [[歲]](해 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𥍵]](자랑할 긍)[* [[矜]](자랑할 긍)의 [[동자#s-2]]] * [[䂼]](돌이름 녈) * [[𦁤]](밧줄 념) * [[𤽿]](배만드는나무 념) * [[捻]](비틀 념) * [[踗]](사뿐사뿐걸을 념) * [[艌]](수리할 념) * [[䧔]](언덕위에서만날 념) * [[𩐭]](그칠 녑) * [[𩋏]](발 녑) * [[錜]](비녀 녑) * [[惗]](사랑할 녑/념) * [[諗]](고할 심) * [[淰]](흐릴 심) * [[鯰]](메기 염/점) * [[𨡎]](술맛쓸 염) * [[棯]](대추맛들 임) * [[腍]](맛좋을 임) * [[䄒]](여물 임/념) * [[䭃]](익힌음식 임, 떡 녑) * [[唸]](신음할 점/전, 소리내어외울 념) * [[埝]](제방 점, 더할 녑) * [[騐]](시험 험)[* [[驗]](시험 험)의 속자] * [[𡹓]](기) * [[㑫]](념) * [[𪞤]] * [[𪯺]] * [[𪺥]] * [[𤚋]] * [[𤦬]] * [[𧛋]] * [[𥺴]] * [[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