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硝}}}화약 초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石|{{{#000,#fff 石}}}]], 7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2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1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A [[肖]](닮을 초)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A [[肖]](닮을 초)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xiāo{{{#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硝는 ''''화약 초''''라는 [[한자]]로, [[화약]]([[火]][[藥]])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화약 || || {{{-1 '''음'''}}} ||초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iāo || || {{{-1 '''[[광동어]]'''}}} ||siu1 || || {{{-1 '''[[객가어]]'''}}} ||sêu || || {{{-1 '''[[민북어]]'''}}} ||siáu || || {{{-1 '''[[민동어]]'''}}} ||siĕu || || {{{-1 '''[[민남어]]'''}}} ||siau || || {{{-1 '''[[오어]]'''}}} ||xiau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ョウ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tiêu || [[유니코드]]에는 U+785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RFB(一口火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石]](돌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肖]](닮을/같을 초)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에서는 [[유리]]를 뜻한다. == 용례 == === [[단어]] === * [[망초#s-2]]([[芒]]硝) * [[염초]]([[焰]]硝) * [[질산|초산]](硝[[酸]])[* 현재는 한국에서는 [[아세트산|醋酸]]과 혼동할 수 있어 거의 사용하지 않는 표현이지만, 일본에서는 오늘날에도 硝酸이라는 표현이 보편적으로 쓰인다. 1970년대나 80년대까지도 질산을 초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을 보도하는 당시의 신문기사도 대부분 '초산' 테러라고 썼다.] * [[초연]](硝[[煙]]): 화약 연기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이에이리 쇼코]]([[家]][[入]] 硝[[子]]) * [[카류사이 쇼코]]([[花]][[柳]][[齋]] 硝[[子]]) === [[지명#s-2]] === === [[창작물]] === * [[硝子ドール]] * [[硝子の花園]] * [[硝子窓]]([[유리창(King Gnu)|유리창]]) === 기타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𩡈]]^^[⿰香肖]^^(짙지않은향기 별)[* [[䭱]](짙지않은향기 별)의 [[속자]]] * [[矟]](창 삭) * [[𪌯]]^^[⿰麥肖]^^(쌀가루 설) * [[蛸]](갈거미 소) * [[俏]](거문고탈 소) * [[艄]](고물 소) * [[輎]](군사수레 소) * [[焇]](녹일 소) * [[捎]](덜 소) * [[鮹]](문어 소/초) * [[𤞚]]^^[⿰犭肖]^^(미칠 소) * [[𣆺]]^^[⿰日肖]^^(밤 소)[* [[宵]](밤 소)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𤙜]]^^[⿰牛肖]^^(뾰족하게위로향한뿔 소) * [[消]](사라질 소) * [[𧳍]]^^[⿰豸肖]^^(산도깨비 소) * [[䴛]](소금 소) * [[銷]](쇠녹일 소) * [[𦓴]]^^[⿰耒肖]^^(씨뿌릴 소) * [[䏴]](어두울 소) * [[娋]](업신여길 소, 언니 초) * [[琑]](옥이름 소) * [[踃]](움직일 소) * [[𧣪]]^^[⿰角肖]^^(위로뻗을 소) * [[𢓮]]^^[⿰彳肖]^^(천천히갈 소) * [[弰]](활고자 소) * [[𨡀]]^^[⿰酉肖]^^(입가실 윤) * [[峭]](가파를 초) * [[𥹶]]^^[⿰米肖]^^(고운가루 초) * [[悄]](근심할 초) * [[誚]](꾸짖을 초) * [[梢]](나무끝 초) * [[哨]](망볼 초) * [[帩]](묶을 초) * [[𥙬]]^^[⿰示肖]^^(복 초) * [[𪑊]]^^[⿰黑肖]^^(사마귀 초) * [[陗]](산비탈 초) * [[綃]](생사 초, 건 소) * [[䇌]](서있는모양 초) * [[䘯]](옷깃 초/소) * [[睄]](잠깐볼 초) * [[稍]](점점 초) * [[鞘]]/[[韒]](칼집 초) * [[𰄎]]^^[⿰凈肖]^^ * [[𡌔]]^^[⿰土肖]^^ * [[𰌨]]^^[⿰子肖]^^ * [[𰕩]]^^[⿰方肖]^^ * [[𮆂]]^^[⿰笑肖]^^ * [[𧶈]]^^[⿰貝肖]^^ * [[𨲆]]^^[⿰镸肖]^^ * [[𱀓]]^^[⿰𨸏肖]^^ * [[𩛱]]^^[⿰𩙿肖]^^ * [[𬳘]]^^[⿰首肖]^^ * [[𩩓]]^^[⿰骨肖]^^ * [[𪘞]]^^[⿰齒肖]^^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