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皇}}}임금 황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白|{{{#000,#fff 白}}}]],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 オ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きみ, すめらぎ}}}}}}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á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皇은 ''''임금 황''''이라는 [[한자]]로, '임금', '신', '황제(皇帝)', '천자' 등을 뜻한다. 일본어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おう나 こう로 읽지만 天皇(てんのう)과 같이 ん 뒤에 올 때 のう가 되기도 한다. == 자형 == ||[[파일:45_F2DA.png|width=100&height=100]]||[[파일:45_F2D9.png|width=100&height=100]]|| |||| [[갑골문]] || ||[[파일:31_E1C9.png|width=100&height=100]]|| || [[상나라]] [[금문]] ||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白]](흰 백)과 소리를 나타내는 [[王]](임금 왕)이 합쳐진 [[형성자]] 같지만 [[민간어원]]이다. [[상나라]]에서는 갑골문과 금문에서 조금 다르게 썼는데 밑에 [[王]]이 있고 위에 점이 있는 동그라미가 위에 세로 세 긋이 달린 것이 같은데 다만 갑골문은 거북의 배딱지에 써서 그런지 王을 왼쪽 아래에 옆으로 눞혀서 썼다. 王이 도끼날을 본뜬 글씨니 이것은 도끼날에 박은 구슬이 빛을 받아 번쩍이는 모습이 아닐까 싶다. 흔히 皇이 王보다 더 높은 임금을 뜻한다고 알려졌지만 원래도 그런 뜻인지 의문인 게 [[여왕(주)|주려왕]] 시기에 악(噩)나라의 반란을 진압함을 쓴 우정(禹鼎)이란 청동기에 이렇게 쓰였다. >丕顯桓桓皇祖穆公 >비현하고 환환한 황조(皇祖) 목공 [[https://bronzeschinois.wordpress.com/nourriture-%E9%A3%9F%E5%99%A8/ding-%E9%BC%8E/yu-ding-%E7%A6%B9%E9%BC%8E/|출처]] 여기서 皇은 세발솥의 임자 우(禹)가 목공을 황조라고 일컫는데 쓰이는데 목공은 우의 조상이 아닐까 싶지만 황(皇)은 조([[祖]])의 [[매김씨]]로 쓰였으니 皇은 원래 왕보다 더 높은 임금이란 뜻이 아니고 [[이름씨]]는 더더욱 아니었다. [[진시황]] 이전만 해도 왕([[王]])이 천하를 다스리는 이란 뜻으로 쓰였고 제([[帝]])는 사람이 아니라 하느님이란 뜻이었다. [[유니코드]]에는 U+7687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日一土(HAMG)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교황]]([[敎]]皇) * [[태상황]]([[太]][[上]]皇) * [[천황]]([[天]]皇) * 황가(皇[[家]]) * [[황국]](皇[[國]]) * [[황궁]](皇[[宮]]) * [[황성]](皇[[城]]) * [[황실]](皇[[室]]) * [[황제]](皇[[帝]]) * [[황족]](皇[[族]]) * [[황태자]](皇[[太]][[子]]) * [[황태후]](皇[[太]][[后]]) * [[황후]](皇[[后]]) * [[천황]]([[天]]皇) * 황궁우(皇[[穹]][[宇]]) * 황조황종(皇[[祖]]皇[[宗]]) * 황화(皇[[華]]) * 황통(皇[[統]]) * [[황족]](皇[[族]]) === [[인명]] === * [[스메라기 텐마]](皇 [[天]][[馬]]) * [[옥황]]([[玉]]皇) * [[숭덕제|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愛]][[新]][[覺]][[羅]] 皇[[太]][[極]]) * [[천황씨]]([[天]]皇[[氏]]) * [[코우게츠 카구라]](皇[[月]] カグラ) * [[황보]](皇[[甫]]) === [[창작물]] === * [[개황력]]([[開]]皇[[曆]]) *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 유의자 == * [[君]](임금 군) * [[辟]](임금 벽) * [[王]](임금 왕) * [[帝]](임금 제) * [[主]](임금 주) == 상대자 == * [[臣]](신하 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全]](온전 전) * [[呈]](드릴 정) * [[主]](주인 주) * [[星]](별 성) [[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