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疑}}}의심할 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疋|{{{#000,#fff 疋}}}]],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ギ{{{#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たが-う, {{{#c88 うたぐ-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í{{{#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疑는 ''''의심할 의''''라는 [[한자]]로, '의심(疑心)하다', '질의(質疑)하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의심하다 || || {{{-1 '''음'''}}} ||의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í || || {{{-1 '''[[광동어]]'''}}} ||ji4 || || {{{-1 '''[[객가어]]'''}}} ||ngì || || {{{-1 '''[[민북어]]'''}}} ||ngǐ || || {{{-1 '''[[민동어]]'''}}} ||ngì || || {{{-1 '''[[민남어]]'''}}} ||gî || || {{{-1 '''[[오어]]'''}}} ||nyi(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ギ || || {{{-1 '''훈독'''}}} ||うたが-う, {{{#c88 うたぐ-る}}} || ||<-3> || ||<-2> '''[[베트남어]]''' ||nghi || [[유니코드]]에는 U+759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KNIO(心大弓戈人)로 입력한다. [[갑골문]]상에서 이 글자는 한 사람([[大]], 큰 대)이 지팡이를 든 채 고개를 갸웃거리는 모습의 [[회의자]]로 나타난다. 즉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헤메는 모습에서 '헷갈려 하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으나, 이후 의미가 파생되어 '의심하다', '질문하다'와 같은 뜻을 가지게 되었다. [[금문]]에서는 [[彳]](조금 걸을 척)과 [[止]](그칠 지)를 더하여 '길을 걷는 중'이라는 뜻을 보충했다. 이때 [[牛]](소 우) 역시 더해졌는데, 牛는 성부(聲符)로도 볼 수 있고, '소를 잃어버렸다'라는 뜻을 더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소전]]에 이르러서는 彳 자가 사라지고, 고개를 돌린 사람의 모습은 [[匕]](비수 비)를 좌우 반전시킨 모습 + [[矢]](화살 시)의 형태로 바뀌고, 牛는 [[子]](아들 자)로 대체되었다. 이후 [[예서]]에 이르러 자형이 더 뭉개지면서 현재와 같은 자형이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무의([[無]]疑) * 확실무의([[確]][[實]][[無]]疑) * 시의([[猜]]疑) * 시의심([[猜]]疑[[心]]) * 용의([[容]]疑) * [[용의자]]([[容]]疑[[者]]) * 의구(疑[[懼]]) * 의구감(疑[[懼]][[感]]) * 의구심(疑[[懼]][[心]]) * [[의문]](疑[[問]]) * 의문대명사(疑[[問]][[代]][[名]][[詞]]) * [[의문문]](疑[[問]][[文]]) * [[설명 의문문]]([[說]][[明]] 疑[[問]][[文]]) * [[판정 의문문]]([[判]][[定]] 疑[[問]][[文]]) * 의문법(疑[[問]][[法]]) * [[의문부]](疑[[問]][[符]]) * 의문부호(疑[[問]][[符]][[號]]) * [[의문사]](疑[[問]][[司]]/疑[[問]][[死]]) * 의문시(疑[[問]][[視]]) * 의문식(疑[[問]][[式]]) * 의문점(疑[[問]][[點]]) * [[의문표]](疑[[問]][[標]]) * 의문형(疑[[問]][[形]]) * 의사(疑[[事]]) * [[의심]](疑[[心]]) * 의심증(疑[[心]][[症]]) * 의심판(疑[[心]][[板]]) * [[의아]](疑[[訝]]) * 의아심(疑[[訝]][[心]]) * [[의혹]](疑[[惑]]) * 질의([[質]]疑) * 질의응답([[質]]疑[[應]][[答]]) * 질의전([[質]]疑[[戰]]) * 피의([[被]]疑) * [[피의자]]([[被]]疑[[者]]) * [[혐의]]([[嫌]]疑) * [[무혐의]]([[無]][[嫌]]疑) * 혐의자([[嫌]]疑[[者]]) * 혐의형([[嫌]]疑[[刑]]) * [[회의#s-2]]([[懷]]疑) * 방법적 회의([[方]][[法]][[的]] [[懷]]疑) * 회의감([[懷]]疑[[感]]) * [[회의론]]([[懷]]疑[[論]]) * 방법적 회의론([[方]][[法]][[的]] [[懷]]疑[[論]]) * 회의설([[懷]]疑[[說]]) * 회의심([[懷]]疑[[心]]) * [[회의적]]([[懷]]疑[[的]]) * [[회의주의]]([[懷]]疑[[主]][[義]]) * 회의주의자([[懷]]疑[[主]][[義]][[者]]) * 회의파([[懷]]疑[[派]]) === [[고사성어]]/[[숙어]] === * 군의만복([[群]]疑[[滿]][[腹]]) * 난의문답([[難]]疑[[問]][[答]]) * 만단의혹([[萬]][[端]]疑[[惑]]) * [[반신반의]]([[半]][[信]][[半]]疑) * 변전의성([[弁]][[轉]]疑[[星]]) * 사인물의([[使]][[人]][[勿]]疑) * 의인물사사인물의(疑[[人]][[勿]][[使]][[使]][[人]][[勿]]疑) * 상기석의([[賞]][[奇]][[析]]疑) * 신지무의([[信]][[之]][[無]]疑) * 십분무의([[十]][[分]][[無]]疑) * 의사무공(疑[[事]][[無]][[功]]) * 의사필문, 분사필난(疑[[思]][[必]][[問]], [[忿]][[思]][[必]][[難]]) * [[의심암귀]](疑[[心]][[暗]][[鬼]]) * 의자궐지(疑[[者]][[闕]][[之]]) * 자의불신인([[自]]疑[[不]][[信]][[人]]) * 절부지의([[竊]][[鈇]][[之]]疑) * 죄의유경([[罪]]疑[[惟]][[輕]]) * 차신차의([[且]][[信]][[且]]疑) * 투저의([[投]][[杼]]疑) * 하충의빙([[夏]][[蟲]]疑[[氷]]) * [[호의#s-4]]([[狐]]疑) * 호의미결([[狐]]疑[[未]][[決]]) * 호의부결([[狐]]疑[[不]][[決]]) * 호의불결([[狐]]疑[[不]][[決]]) === [[인명]] === * [[경문왕|김의렴]]([[金]]疑[[廉]]) * [[주불의]]([[周]][[不]]疑)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사서질의([[四]][[書]][[質]]疑) * 심경질의([[心]][[經]][[質]]疑) * 심경질의고오([[心]][[經]][[質]]疑[[考]][[誤]]) * 유석질의론([[儒]][[釋]][[質]]疑[[論]]) *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疑[[問]][[死]][[眞]][[相]][[糾]][[明]][[委]][[員]][[會]]) == 유의자 == * [[謟]](의심할 도) * [[惢]](의심할 솨) * [[訝]](의심할 아) * [[歅]](의심할 인) * [[懠]](의심할 제) * [[鷙]](맹금 지/의심할 질) == 상대자 == * [[忋]](믿을 개) * [[㤳]](믿을 배) * [[恃]](믿을 시) * [[信]]/[[伩]](믿을 신) * [[䛘]](믿을 임) * [[忯]](믿을 지) * [[怙]](믿을 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肄]](익힐 이)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𦡸]]^^[⿰⺼疑]^^(기름질 니)[* [[膩]](기름질 니)의 [[동자#s-2]]] * [[礙]]/[[𣝅]]^^[⿰木疑]^^(거리낄 애) * [[𢣕]]^^[⿱疑心]^^(어리석을 애) * [[懝]](어리석을 애, 헤아릴 의) * [[嶷]]/[[㠜]](숙성할 억, 산이름 의) * [[凝]](엉길 응) * [[䰯]](겁낼 의) * [[㘈]](고루할 의, 영리할 억) * [[𦆦]]^^[⿰糸疑]^^(띠 의) * [[𩼨]]^^[⿰魚疑]^^(물고기이름 의) * [[擬]]/[[𣝆]]^^[⿱疑木]^^(비길 의) * [[觺]](뿔뾰족할 의) * [[寲]](살펴볼 의) * [[𢅟]]^^[⿰巾疑]^^(수건 의) * [[𥣖]]^^[⿰禾疑]^^(우거질 의) * [[薿]](우거질 의/억) * [[𩉏]]^^[⿰面疑]^^(의심할 의)[* [[疑]](의심할 의)의 [[동자#s-2]]] * [[儗]](참람할 의, 어리석은모양 애) * [[㽈]](큰독 의) * [[𧭐]]^^[⿱疑言]^^(희롱할 의) * [[譺]](희롱할 의, 삼갈 역, 조롱할 애) * [[癡]](어리석을 치) * [[𧹾]]^^[⿱疑赤]^^(곡) * [[籎]](의) * [[𪪧]]^^[⿸广疑]^^ * [[𫲆]]^^[⿰女疑]^^ * [[𤁒]]^^[⿰氵疑]^^ * [[𱭱]]^^[⿰牛疑]^^ * [[𭭷]]^^[⿱止疑]^^ * [[𦢇]]^^[⿱疑⺝]^^ * [[𬩜]]^^[⿺辶疑]^^ * [[𬅐]]^^[⿱林疑]^^ * [[𢥷]]^^[⿰息疑]^^ * [[𤪦]] * [[𤾰]]^^[⿰白疑]^^ * [[𥨯]]^^[⿱穴疑]^^ * [[𦡼]]^^[⿱疑肉]^^ * [[𦘀]]^^[⿰耳疑]^^ * [[𮡇]]^^[⿰酉疑]^^ * [[𰸴]]^^[⿰𧾷疑]^^ * [[𨷞]]^^[⿵門疑]^^ * [[𬬔]]^^[⿰金疑]^^ * [[𩴷]]^^[⿱疑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