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生}}}날 생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生,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イ,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い-きる, い-かす, い-ける, う-まれる,[br]う-む, お-う, は-える, は-やす, き,[br]なま, {{{#c88 いのち, うぶ, な-す, な-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ē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生-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生은 ''''날 생''''이라는 [[한자]]로, '나다(태어나다)', '살다', '[[생명]](生命)'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나다 || || {{{-1 '''음'''}}} ||생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ēng || || {{{-1 '''[[광동어]]'''}}} ||sang^^1^^[*文 [[문독]]] / saang^^1^^[*白 [[백독]]] || || {{{-1 '''[[객가어]]'''}}} ||sên[*文 ] / sâng[*白 ] || || {{{-1 '''[[민북어]]'''}}} ||sáing[*文 ] / sáng, cháng[*白 ] || || {{{-1 '''[[민동어]]'''}}} ||sĕng[*文 ] / săng, chăng[*白 ] || || {{{-1 '''[[민남어]]'''}}} ||seng[*文 ] / siⁿ, chhiⁿ[*白1 [[백독]], 타이베이 등],[br]seⁿ, chheⁿ[*白2 [[백독]], 가오슝 등] || || {{{-1 '''[[오어]]'''}}} ||sen (T1)[*文 ] / san(T1)[*白 ] || ||<-3> || ||<|2> '''[[일본어]]''' || {{{-1 '''음독'''}}} ||セイ, ショウ || || {{{-1 '''훈독'''}}} ||い-きる, い-かす, い-ける,[br]う-まれる, う-む, お-う,[br]は-える, は-やす, き, なま,[br]{{{#c88 うぶ, な-る, ふ, む-す}}} || ||<-3> || ||<-2> '''[[베트남어]]''' ||sinh, sanh || [[유니코드]]에는 U+751F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手一(HQM)로 입력한다. [[파일:生.png|width=400]] 땅에서 풀이 돋아나는 모양을 나타낸 글자이다. 현재의 자형은 [[土]](흙 토) 위에 선 두 개가 추가된 형태이지만 [[갑골문]]상에서는 두 글자는 명확하게 차이가 난다. '태어나다', '낳다', '살다' 등 별별 뜻이 다 있다. [[학생]]이라는 뜻도 있다. 간단한 한자지만 나라별로 필순이 다르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7%94%9F-bw.png|width=250]]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7%94%9F-jbw.png|width=250]] || || 일반 필순 || 일본 필순 || 한국과 중국, 대만에서는 3번째 획이 중간의 가로획이고 4번째 획은 세로로 내려긋는 획[* 간단히 생각해서 [[牛]](소 우)를 먼저 쓰고 그 밑에 牛의 마지막 획 끝을 지나가게끔 [[一]](한 일)을 쓴다고 생각하면 된다.]이지만, 일본에서는 3번째 획과 4번째 획이 바뀌어 있다. 즉, 보통 필순은 ↙→→↓→. 일본 필순은 ↙→↓→→. 초서의 필순과 비슷하다. == 용례 == === [[단어]] === * [[기생]](寄生/妓生) * [[기생충]](寄生蟲) * 고생([[苦]]生) * 고생문([[苦]]生[[門]]) * [[낙화생]]([[落]][[花]]生) * [[동급생]](同級生) * [[모범생]](模範生) * [[무생물]](無生物) * [[발생]](發生) * [[발생학]](發生學) * [[발생학적 오류]](發生學的 誤謬) * [[복학생]](復學生) * [[사생아]](私生兒) * [[상급생]](上級生) * [[생가]](生家) * [[생강]](生薑) * [[생계]](生計) * [[생년월일]](生年月日) * [[생리]](生理) * [[생리대]](生理帶), [[생리통]](生理痛), [[생리학]](生理學) * 생무지(生무지) * [[생명]](生命) * [[생명체]](生命體) * [[생물]](生物) * [[고생물]](古生物), [[무생물]](無生物), [[미생물]](微生物), [[생물체]](生物體), [[생물학]](生物學), [[생물학자]](生物學者) * [[생방송]](生放送) * 생산(生産) * 생산력(生産力), [[생산성]](生産性), [[생산직]](生産職) * [[생선]](生鮮) * [[생성]](生成) * [[생수]](生水) * [[생식]](生殖/生食) * [[생식기]](生殖器) * [[생애]](生涯) * [[생약학]](生藥學) * [[생일]](生日) * 생일 공격(生日攻擊), [[생일 문제]](生日問題) * 생존(生存) * [[생존자]](生存者) * 생짜(生짜) * 생태(生態) * [[생태계]](生態系), [[생태학]](生態學) * [[생활]](生活) * [[사생활]](私生活), [[사회생활]](社會生活) * [[선생]](先生) * [[소생]](蘇生) * [[수험생]](受驗生) * [[식생]](植生) * [[신생아]](新生兒) * [[신입생]](新入生) * [[야생]](野生) * [[우등생]](優等生) * [[우생학]](優生學) * [[위생]](衛生) * [[유학생]](留學生) * [[인생]](人生) * [[일생]](一生) * [[재수생]](再修生) * [[재생]](再生) * [[전교생]](全校生) * [[전생]](前生/轉生) * [[전학생]](轉學生) * [[졸업생]](卒業生) * [[지망생]](志望生) * [[학생]](學生) * [[고등학생]](高等學生), [[대학생]](大學生), [[중학생]](中學生), [[초등학생]](初等學生), [[남학생]](男學生), [[여학생]](女學生) * [[화생방]](化生放) 한편 [[이승]], [[저승]], [[짐승]], [[초승달]] 등의 '승'은 사실 生의 독음이 특이하게 변한 것이다. 일부 방언에서는 '짐승', '초승달'을 각각 '짐생', '초생달'이라고도 한다. === [[고사성어]]/[[숙어]] === * [[구사일생]] * [[사공명주생중달]] * [[이순신|필사즉생필생즉사]] * 生梗之弊 (생경지폐) * 生口不網 (생구불망) * 生寄死歸 (생기사귀) * 生動生動 (생동생동) * 生東熟西 (생동숙서) * 生死可判 (생사가판) * 生死苦樂 (생사고락) * 生死苦海 (생사고해) * 生死關頭 (생사관두) * 生死大海 (생사대해) * 生死存亡 (생사존망) * 生死存沒 (생사존몰) * 生死海 (생사해) * 生三死七 (생삼사칠) * 生世之樂 (생세지락) * 生丁不辰 (생정불신) * 生卽無生 (생즉무생) * 生之殺之 (생지살지) * 生呑活剝 (생탄활박) * 生計無策 (생계무책) * 生老病死 (생로병사) * 生老病死苦 (생로병사고) * 生滅滅已 (생멸멸이) * 生民之始萬福之原 (생민지시만복지원) * 生變死變 (생변사변) * 生死骨肉 (생사골육) * 生殺與奪 (생살여탈) * 生殺之權 (생살지권) * 生生發展 (생생발전) * 生生世世 (생생세세) * 生生流轉 (생생유전) * 生生者不生 (생생자불생) * 生生之理 (생생지리) * 生生化育 (생생화육) * 生而知之 (생이지지) * 生者必滅 (생자필멸) * 生財之方 (생재지방) * 生知 (생지) * 生知安行 (생지안행) * 生道之方 (생도지방) * 生離死別 (생리사별) * 生面江山 (생면강산) * 生面大責 (생면대책) * 生面不知 (생면부지) * 生不如死 (생불여사) === [[인명]] === * [[가모 우지사토]]([[蒲]]生 [[氏]][[郷]]) * [[고쿠쇼 사유리]]([[国]]生 さゆり) * [[권정생]]([[權]][[正]]生) * [[규마 후미오]]([[久]][[間]] [[章]]生) * [[김생민]]([[金]]生[[珉]]) * [[김장생]]([[金]][[長]]生) * [[나바타메 히토미]](生[[天]][[目]] [[仁]][[美]]) * [[누라 리쿠오]]([[奴]][[良]] [[陸]]生) * [[니부 아카리]]([[丹]]生 [[明]][[里]]) * [[니부타니 신카]]([[丹]]生[[谷]] [[森]][[夏]]) * [[셋쇼인 키아라]]([[殺]]生[[院]] キアラ) * [[시시루이 세이시로]]([[死]][[屍]][[累]] 生[[死]][[郎]]) * [[아소 세나]]([[麻]]生 [[成]][[凪]]) * [[안춘생]]([[安]][[椿]]生) * [[우시오 노아]](生[[塩]] ノア) * [[이임생]]([[李]][[林]]生) * [[이키시마 미다리]](生[[志]][[摩]] [[妄]]) * [[코쿠쇼 히데아키]]([[国]]生 [[英]][[明]]) * [[토키 호우세이]]([[土]][[岐]] [[蓬]]生) * [[허영생]]([[許]][[永]]生) * [[하뉴 유즈루]]([[羽]]生 [[結]][[弦]]) * [[하부 미즈호]]([[土]]生 [[瑞]][[穂]]) * [[하부 요시하루]]([[羽]]生 [[善]][[治]]) * [[히키후네 키리오]]([[曳]][[舟]] [[桐]]生) === [[지명#s-2]] === * [[수달생태로]]([[水]][[獺]]生[[態]][[路]]) === [[창작물]] === * [[원왕생가]]([[願]][[往]]生[[歌]]) * [[GO生]] * [[IN生]] * [[생(生)]] * [[生存本能ヴァルキュリア]](생존본능 발큐리아) * [[生きてく強さ]] * [[生僻字]] * [[護れ満蒙の生命線]]([[지켜라 만몽의 생명선]]) === 기타 === * [[기초생활수급자|기생수]]([[基]]生[[受]]): [[기초생활수급자]]의 준말 * [[농심 生生우동]] * [[물화생지]]([[物]][[化]]生[[地]]) * 생결(生[[缺]]): '생리 결석'의 준말 * [[생기부]](生[[記]][[簿]]) * 생선(生[[膳]]): '생일 선물'의 준말 * [[생윤]](生[[倫]]) * [[생축]](生[[祝]]) * [[생휴]](生[[休]]) * [[저출생]]([[低]][[出]]生) * [[취준생]]([[就]][[準]]生) === [[일본어]] === [[파일:181709cbdd91a75f2.png|width=700px]] ==== [[훈독]] ==== 훈이 아주 다양하기로 악명 높은 글자이다. 독법이 전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언어인 일본어에서도 生과 같이 훈이 많은 글자는 별로 없다. 있다고 해 봐야 [[上]](위 상), [[下]](아래 하) 정도. 기울임체는 상용독음 범위 밖. * いk- 계열: '''生'''きる ('''い'''きる, 살다), '''生'''かす('''い'''かす, 살리다)、'''生'''ける('''い'''ける, 살리다) * うm- 계열: '''生'''まれる('''う'''まれる, 태어나다), '''生'''む('''う'''む, 낳다) * おう: '''生'''う('''お'''う, 자라다) * はy- 계열: '''生'''える('''は'''える, 돋다), '''生'''やす('''は'''やす, 자라게 하다), 芽生える(め'''ば'''える, 싹트다) * なま: '''生'''卵 ('''なま'''たまご, 날달걀) * き: '''生'''地 ('''き'''じ, 본성, 직물)[* 한국에서도 이 단어를 가져와 '빵 생지', '기지' 등의 말을 쓰곤 한다.][* 生地를 せいち 혹은 しょうち로 읽으면 '출생지'라는 뜻이다.] * ''ふ'': 芝'''生''' (しば'''ふ''', 잔디밭) * ''むす'': '''生'''す('''む'''す, 자라다) 한자음은 2개이지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훈이 이렇게 많다. 한자가 워낙에 추상적이라 대응되는 고유어들이 많아진 것. 그 밖에 지명이나 인명에 쓰이는 독음까지 포함하면 매우 골치 아파진다. 生이 성씨의 맨 끝에 붙을 경우, 앞 발음의 모음을 바꾼 뒤에 그 모음을 장음화시키기도 한다. 이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과도 관련이 있다. * 麻生 (あそう ← あさ + ふ) * 蒲生 (がもう ← がま + ふ) * 菅生 (すごう ← すが + ふ) * 桐生 (きりゅう ← きり + ふ) * 羽生 (はにゅう ← はに + ふ) * 柳生 (やぎゅう ← やぎ + ふ) * 壬生 (みぶ) ==== [[음독#s-1]] ==== * せい: '''生'''物 ('''せい'''ぶつ, 생물), 生産 ('''せい'''さん, 생산), 学'''生''' (がく'''せい''', 학생) * しょう: '''生'''涯('''しょう'''がい, 생애), '''生'''ずる ('''しょう'''ずる, 일어나다·돋아나다), 畜'''生''' (ちく'''しょう''', 짐승), 誕生 (たん'''じょう''', 탄생) === [[중국어]] === 중국어에서는 [[문백이독]]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글자 중 하나이다. 다만 [[표준중국어]]의 경우 문백독 정리를 해서 차이가 전혀 나지 않지만 기타 중국계 언어들의 경우에는 원래대로 문백이독 현상이 나타난다. 이 문백이독의 경우에도 지역차가 커서 [[광동어]]는 장단음 차이를 제외하면 차이가 없지만 [[민북어]]와 [[민동어]]는 각각 센/사잉-상/창, 상으로 발음상의 차이가 나타나며, [[민남어]]는 셍/슨, 츤으로 아예 발음이 달라진다. 중국어에서 生은 살다, 태어나다, 낳다 등의 동사로 쓰이고 목숨이라는 뜻의 명사로도 쓰이며, 가공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것을 칭할 때에도 生을 쓴다. 여기에서 파생하여, 중국에는 견습생, 교육생 혹은 초보를 칭할 때에도 生을 사용한다. 한국과 일본에서도 견습생과 교육생의 생이 生이므로 비단 중국만의 특징은 아니다. 다소 특이한 용법으로, 중국에서 '화내다'라는 동사는 生气인데, 이게 풀어보면 기(气)가 생기다(生)라는 뜻이다. == 유의자 == * [[娩]](낳을 만) * [[産]](낳을 산) * [[誕]](낳을 탄/거짓 탄) == 상대자 == * [[歿]](죽을 몰) * [[死]](죽을 사) * [[殪]](죽을 에) * [[殞]](죽을 운) * [[薨]](훙서 훙)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生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많지 않다. 대중적인 것으로는 [[産]](낳을 산)이 전부이고 나머지는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벽자이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年]](해 년) * [[仹]](예쁠 봉) * [[玍]](까불 왕) == 여담 == * 生을 두 개 합치면 [[甡]](수두룩할 신)이 된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8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