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4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玉}}}구슬 옥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玉,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ギョ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ま{{{#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玉-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구슬 옥(玉). [[구슬]], 진귀한 것, 아름다운 것 따위를 뜻하는 [[한자]]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7389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I(一土戈)로 입력한다. 끈으로 여러 옥구슬을 꿴 모양을 본뜬 [[상형자]]다. '玉' 자는 [[王]]([[임금 왕]]) 자에 점 하나가 붙은 것처럼 생겼는데, 이것은 [[예서]]체 이후에 붙게 된 것이다. 이는 玉과 王이 서로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이다. 원래 玉과 王은 닮은 구석이 없는 글자였으나 [[전서]]체로 오면서 둘 다 지금의 王 모양으로 자형이 고정되면서 분별하기 어렵게 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玉은 가로 획 두 번째 가닥이 정확히 가운데에 있어서 세 가닥의 간격이 같고, 王은 두 번째 가닥이 조금 위로 치우쳐 있어서 두 번째 가닥과 세 번째 가닥 간의 간격이 더 길다. 예서체로 오면 이마저도 희미해져서, 玉과 王을 구별하기 위해 玉에 점을 찍은 것이다. 玉 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王 자처럼 쓰는 것도 이와 상관 있다. 본래 오늘날의 '모든 동글동글한 물건'을 뜻하는 말은 없었고 오직 '보석으로서의 구슬'을 의미하던 말이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형의 물체라는 의미가 추가되었다. [[중세 한국어]]로는 옥(玉)을 구술(區戌)이라고 읽었음이 15세기 문헌 석보상절에 기록되어 있다. == 용례 == === [[단어]] === * [[경옥고]]([[瓊]]玉[[膏]]) * [[백옥루]]([[白]]玉[[樓]]) * [[옥동자]](玉[[童]][[子]]) * [[옥새]](玉[[璽]]) * 옥석(玉[[石]]) * [[옥쇄]](玉[[碎]]) * [[옥춘당]](玉[[春]][[糖]]) * [[달토끼|옥토]](玉[[兎]]) * [[주옥]]([[珠]]玉) * 파리옥([[玻]][[璃]]玉) === [[고사성어]]/[[숙어]] === * 곤산편옥([[崑]][[山]][[片]]玉) * [[금옥만당]]([[金]]玉[[滿]][[堂]]) * 금옥지세([[金]]玉[[之]][[世]]) * [[금지옥엽]]([[金]][[枝]]玉[[葉]]) * 빙심옥호([[氷]][[心]]玉[[壺]]) * 빙자옥질([[氷]][[姿]]玉[[質]]) * 빙청옥결([[氷]][[淸]]玉[[潔]]) * [[섬섬옥수]]([[纖]][[纖]]玉[[手]]) * 옥불탁불성기(玉[[不]][[琢]][[不]][[成]][[器]]) * 정금미옥([[精]][[金]][[美]]玉) * 피갈회옥([[被]][[褐]][[懷]]玉) * 현옥고석([[衒]]玉[[賈]][[石]]) * 혼금박옥([[渾]][[金]][[璞]]玉)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옥이 들어가는 이름은 옛날엔 여성의 이름으로 많이 쓰였고, 가끔 남성의 이름으로도 쓰였다. 하지만 지금은 [[子]](아들 자)와 마찬가지로 촌스럽게 여겨지고 있다. * [[금광옥]]([[琴]][[光]]玉) * [[김귀옥(법조인)|김귀옥]]([[金]][[貴]]玉) * [[김무옥]]([[金]][[茂]]玉) * [[김영옥(배우)|김영옥]]([[金]][[英]]玉) * [[김옥균]]([[金]]玉[[均]]) * [[김옥빈]]([[金]]玉[[彬]]) * [[김자옥]]([[金]][[慈]]玉) * [[문미옥]]([[文]][[美]]玉) * [[송옥주]]([[宋]]玉[[珠]]) * [[아웃사이더(래퍼)|신옥철]]([[申]]玉[[澈]]) * [[양귀비|양옥환]]([[楊]]玉[[環]]) * [[공무도하가|여옥]]([[麗]]玉) * [[왕위푸]]([[王]]玉[[普]]) * [[효순공주|이옥린]]([[李]]玉[[麟]]) * [[효혜공주|이옥하]]([[李]]玉[[荷]]) * [[경현공주|이옥현]]([[李]]玉[[賢]]) * [[의혜공주|이옥혜]]([[李]]玉[[蕙]]) * [[경순옹주|이옥환]]([[李]]玉[[環]]) * [[희빈 장씨|장옥정]]([[張]]玉[[貞]]) * [[장위안]]([[張]]玉[[安]]) * [[진양옥]]([[秦]][[良]]玉) * [[최옥규]]([[崔]]玉[[圭]]) * [[코다마 요시오]]([[児]]玉 [[誉]][[士]][[夫]]) * [[코다마 유스케]]([[児]]玉 [[裕]][[輔]]) * [[타마츠쿠리 미스마루]](玉[[造]] [[魅]][[須]][[丸]]) * [[하니(NewJeans)|팜응옥헌]]([[范]]玉[[欣]]) * [[허샤오위|하효옥]]([[何]][[晓]]玉) * [[허황옥]]([[許]][[黃]]玉) * 성이 '''[[옥(성씨)|옥씨]]'''인 사람 모두. === [[지명#s-2]] === *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玉溪面)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양주)|옥정동]]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玉泉面) *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玉宗面) * 경상북도 구미시 옥성면(玉城面)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玉山面) *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玉浦邑) *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 * [[옥수역]](玉[[水]][[驛]]) *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玉果面) * 전라남도 광양시 옥곡면(玉谷面)과 옥룡면(玉龍面) *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玉泉面) * 전라북도 군산시 옥산면(玉山面) * 충청남도 부여군 옥산면(玉山面)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청주)|옥산면]](玉山面) *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玉洞) * [[사이타마현]](埼玉県) === [[창작물]] === === 기타 ===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 [[김도현|명옥]](鳴玉) * 수옥헌([[漱]]玉[[軒]]) * [[도선|옥룡자]](玉龍子) * [[옥편]](玉篇) * [[붕옥]](崩玉)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부수로는 주로 구슬로 만든 물건 및 무기 등등에 관련이 깊다. 대부분의 한자들이 인명용한자로도 많이 쓰이는 편에 속한다. 변으로 쓸때는 대부분 점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공 구(球), 나타날 현(現) 등] == 유의자 == * [[瓊]](구슬 경) * [[璧]](구슬 벽) * [[璵]](옥 여) * [[瑗]](구슬 원) * [[珠]](구슬 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匡]](바를 광) * [[主]](임금 주/주인 주) * [[王]](임금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