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분류:색깔]]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玄}}}검을 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玄,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ゲ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くろ-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u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7%8E%84-order.gif]] 玄의 필순 [목차] [clearfix] == 개요 == 玄은 ''''검을 현''''이라는 [[한자]]로, '검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검을 || || {{{-1 '''음'''}}} ||현 || ||<-3> || ||<|4>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uán || || {{{-1 '''[[광동어]]'''}}} ||jyun^^4^^ || || {{{-1 '''[[객가어]]'''}}} ||hièn[* 쓰셴, 북], hiàn[* 쓰셴, 남] || || {{{-1 '''[[민남어]]'''}}} ||hiân, goân || ||<-3> || ||<|2> '''[[일본어]]''' || {{{-1 '''음독'''}}} ||ゲン || || {{{-1 '''훈독'''}}} ||{{{#c88 くろ-い}}} || ||<-3> || ||<-2> '''[[베트남어]]''' ||huyền || [[유니코드]]에는 U+7384에 배당되었다. [[주음부호]]로는 ㄒㄩㄢˊ으로,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女戈(YVI)로 입력한다. 玄의 훈음은 '검을 현'이지만, 정확하게는 검붉은 색을 뜻한다. [[설문해자]]에서도 黑而有赤色者爲玄이라고 하여 본디 검붉은 색을 뜻함을 설명하였다. 그냥 검은색을 뜻하는 검을 흑([[黑]])과는 다르다. 하지만 의미가 확대되어 黑과 동의어로 검은색이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또한 [[설문해자]]에서는 玄에 대해서는 [[幽]][[遠]](그윽할 유, 멀 원), 즉 '아득하다'는 뜻으로도 풀이하였고[* 幽는 山에 玄과 糸의 옛 형태 2개가 합쳐진 것으로, 玄과 완전히 같은 뜻이다.], [[주역]] 곤괘의 주소에서 玄天也라고 설명하였다. 이는 밤하늘의 어둠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문에 단순한 색깔만이 아니라 어둡다, 심오하다, 깊다. 고요하다, 아득하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천자문]]의 첫 구절 천지현황(天地玄黃)에서 黑이 아닌 玄이 쓰이고, 현묘(玄妙)하다에 賢이 아니라 검다의 玄이 들어가는 것도 이 때문. 玄은 상형자로, 갑골문이나 금석문에서는 8과 비슷한 형태로 소전체에서는 지금의 幺에 해당하는 부분이 ㅇ-ㅇ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데, 새끼가 꼬인 형태에서 비롯된 문자이다. 이 소전 형태에서 𢆯이 나왔고, 𢆯에서 糸와 玄이 파생되었다. 絃, 弦, 鉉, 舷 처럼 소리나는 한자에 들어가기도 한다. 정확히 玄과 糸의 분화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糸를 뒤집어 놓은 모습이다. [[파일:xuan1.png]]▶[[파일:7CF8_4800.png]](𢆯)▶[[파일:xuan22.gif]](玄), [[파일:7CF8_4799.png]](糸) 위아래를 뒤집으면 두 글자는 똑같은 글자이다. 갑골문시대에만 해도 방향이 뒤집힌 형태의 이체자는 수도 없이 많았다. 참고로 갑골문,금석문 시기에 같은 글자였던 것이 분화된 예는 의외로 꽤 있다. 已와 巳도 동일한 뱀의 형태에서 분화된 글자로[* [[己]]는 뱀의 모양이 아니다. 己의 갑골문자는 휘어진 새끼끈에서 비롯하였는데, 설문해자에서는 만물이 움츠러든 모양을 본땄다고 설명했다. 서로 연원이 다른 글자가 세월이 지나며 글꼴이 비슷해진 사례이다.] 한문에서는 통상적으로 이 두 글자는 서로 호환되어 사용한다. 한자 중에서 玄이 본시 실(絲)의 모양에서 유래했음을 보여주는 글자가 바로 활시위 현([[弦]]) 자이다. 설문해자에서 弦은 형성자가 아니라 회의자로 분류되어 이상하게 여길 사람이 있을 텐데, 설문해자는 활시위에 걸린 실의 모습을 본떴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형성과 회의를 겸하는 경우를 겸성[[회의자]]라고 한다. 이체자로 𢏛가 있음도 이런 까닭. 강희자전에는 玄이 없고 𤣥을 찾아야 나오는데, 이는 [[강희제]]의 이름(愛新覺羅 '''玄'''燁, 애신각라 '''현'''엽)을 피휘하기 위한 차원에서 마지막 획을 생략한 𤣥으로 대체하였기 때문이다. [[천자문]]이 시작할 때 [[하늘 천]], [[땅 지]], [[검을 현]][* 일부 판본에서는 거무스름할 원(元)이 나온다.] 순서이다. 그래서 자주 쓰이지 않는 한자 치고는 의외로 이름이 널리 알려진 편이다. 또한 玄은 [[강희자전]]에서 95번째로 분류된 [[부수]]이다. 근데 이걸 부수로 삼는 한자는 극히 적어서 玄을 포함한 玅(묘할 묘), 玆(이 자), [[率]](거느릴 솔), 玈(검을 로) 이렇게 5개밖에 없다. == 용례 == === [[단어]] === * [[미즈신겐모찌]]([[水]][[信]]'''玄'''[[餅]]) * [[타케다 신겐]]([[武]][[田]][[信]]'''玄''') * [[현관]]('''玄'''[[關]]) * [[현무암]]('''玄'''[[武]][[巖]]) * [[현미]]('''玄'''[[米]]) * [[현조]]('''玄'''[[祖]]) === [[고사성어]]/[[숙어]] === * 현지우현('''玄'''[[之]][[又]]'''玄''') * 현무둔재('''玄'''無鈍才) : 현씨는 우둔한 사람이 없다.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일반 단어에는 잘 쓰이지 않지만, 인명이나 지명 등의 고유명사에는 자주 쓰이는 편이다. * 전국에 있는 모든 [[현(성씨)|현]](玄)씨가 이 글자를 쓰고 있음. - [[현영민]](玄泳民), [[현인]](玄仁), [[현제명]](玄濟明), [[현진건]](玄鎭健) 등. * [[김현민(축구)|김현민]](金鉉敏) * [[권현빈]](權玄彬) * [[김서현(신라)|김서현]](金舒玄) * [[김현(1965)|김현]](金玄) * [[김현권]](金玄權) * [[김현배]](金玄培) * [[김현옥]](金玄玉) * [[김현욱]](金玄旭) * [[마츠미 쿠로]]([[松]][[実]] 玄) * [[박현승]]([[朴]]玄[[升]]) * [[박현식]]([[朴]]玄[[植]]) * [[백승현]]([[白]][[昇]]玄) * [[서현|서주현]]([[徐]][[朱]]玄) * [[엄성현]]([[嚴]][[晟]]玄) * [[원종현]]([[元]][[鐘]]玄) * [[유겐마간]]([[幽]]玄[[魔]][[眼]]) * [[이광현(발해)|이광현]]([[李]][[光]]玄) * [[이석현]]([[李]][[錫]]玄) * [[이도현|임동현]] ([[林]][[東]]玄) * [[묵현]]([[墨]]玄) - [[메이플스토리]] 해외 서비스 * [[겐다 류스케]](玄[[田]] [[竜]][[助]]) * [[겐다 텟쇼]](玄[[田]] [[哲]][[章]]) * [[다케다 신겐]](武田信玄) * [[요네즈 켄시]]([[米]][[津]] 玄[[師]]) * [[쿠로기리 사츠키]](玄[[霧]] [[皐]][[月]]) * [[강희제|아이신기오로 히오완예이]](愛新覺羅 玄燁/애신각라 현엽) - 이 글자가 하필 자신의 이름에 들어가 있어서 [[강희자전]] 편찬 당시에는 [[피휘|이 글자가 반달되었던 적이 있다]]. * [[요네즈 켄시]](米津玄師) - 한국어 음독으로 읽으면 미진현사 * [[환현]]([[桓]]玄) * ([[현종]]/玄宗, [[묘호]]) === [[지명#s-2]] === * 겐카이 정(玄[[海]][[町]]) - 일본의 행정구역 * 산현리([[山]]玄[[里]]) * 쉬안우 구(玄[[武]][[区]]) - 중국의 행정구역 * [[현풍곽씨십이정려각]](玄[[風]][[郭]][[氏]][[十]][[二]][[旌]][[閭]][[閣]]) * [[현풍읍]](玄[[風]][[邑]]) * [[현석동]]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 유의자 == * [[黔]](검을 검) * [[黎]](검을 려) * [[黑]](검을 흑) == 상대자 == * [[白]](흰 백) * [[素]](흴 소) * [[皓]](흴 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亥]](돼지 해) == 여담 == [[신불출]]은 이 '검을 현'(玄)과 '밭 전'(田) 자를 자신의 일본 이름에 사용하여서 개그를 쳤다. 이 둘을 합치면 '가축 축'(畜)이 되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신불출]]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