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牛}}}소 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牛,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ギュ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し{{{#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ni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7%89%9B-order.gif]] 牛의 필순 [목차] [clearfix] == 개요 == 牛; 소 우 [[소]]를 의미하는 [[한자]]다. ==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표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소 || || {{{-1 '''음'''}}} ||우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niú || || {{{-1 '''[[광동어]]'''}}} ||ngau^^4^^ || || {{{-1 '''감어'''}}} ||nyiu4 / ngieu4 || || {{{-1 '''[[객가어]]'''}}} ||ngiù || || {{{-1 '''진어'''}}} ||niou1 || || {{{-1 '''[[민북어]]'''}}} ||niû || || {{{-1 '''[[민동어]]'''}}} ||ngù / ngiù || || {{{-1 '''[[민남어]]'''}}} ||gû / giû / ngiû || || {{{-1 '''[[오어]]'''}}} ||nyieu (T3) || || {{{-1 '''상어'''}}} ||nyiou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ギュウ·ゴ || || {{{-1 '''훈독'''}}} ||うし || ||<-3> || ||<-2> '''[[베트남어]]''' ||ngưu || [[유니코드]]에는 U+725B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ㄋㄧㄡ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手(HQ)로 입력한다. 牛는 소의 머리를 본떠서 만든 [[상형자]]이다. 다음은 牛자의 변천과정이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9%9B-oracl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9%9B-bronz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9%9B-silk.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9%9B-bigseal.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7%89%9B-seal.svg.png|bgcolor=#ffffff]] [[午]](낮 오)와는 헷갈리기가 쉽다. 𠂉위에 세로획이 튀어나와있으면 소우고, 안튀어나와있으면 낮오인데,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 牛의 윗부분에 튀어나와있는 획을 '''소의 뿔'''이라고 연상시게끔 유도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다만 자원(字原)을 분석해보면 저 부분은 뿔을 나타내는 부분은 아니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牛는 소우부의 제부수자이다. 牛의 부수형태로는 대표적으로 牜(소우변)이 있다. 소우부는 [[강희자전]]에 93번째로 분류되어있는 부수로, 소우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233개가 있다고한다. 牛를 부수로 삼는 자는 소와 관련된 동물과 관련이 깊다. == 용례 == === [[단어]] === * [[견우성]]([[牽]]牛[[星]]) * [[광우병]]([[狂]]牛[[病]]) * [[규동]](牛[[丼]]) * 농우([[農]]牛) * 독우([[犢]]牛) * 두우([[斗]]牛) * 목우([[牧]]牛) * 상우([[桑]]牛) * 세우([[貰]]牛) * [[양우]]([[養]]牛) * 오우([[烏]]牛) * [[와규]]([[和]]牛) * [[와우]]([[蝸]]牛) * [[우금(동음이의어)|우금]](牛[[禁]]) * 우두(牛[[痘]]) * 우두약(牛[[痘]][[藥]]) * 우마(牛[[馬]]) * 우마차(牛[[馬]][[車]]) * 우모(牛[[毛]]) * 우슬(牛[[膝]]) * [[우슬차]](牛[[膝]][[茶]]) * 우안(牛[[眼]]) * [[우역]](牛[[疫]]) * [[우유]](牛[[乳]]) * [[우유갑]](牛[[乳]][[匣]]) * [[우육]](牛[[肉]]) * 우이(牛[[耳]]) * 우장(牛[[漿]]) * 우차(牛[[車]]) * [[투우]]([[鬪]]牛) * [[투우사]]([[鬪]]牛[[士]]) * 투우장([[鬪]]牛[[場]]) * [[한우]]([[韓]]牛) * 황우([[黃]]牛) * [[흑우]]([[黑]]牛) === [[고사성어]]/[[숙어]] === * [[구우일모]]([[九]]牛[[一]][[毛]]) * [[노우지독]]([[老]]牛[[舐]][[犢]])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망우보뢰]]([[亡]]牛[[補]][[牢]]) * [[와각지쟁]]([[蝸]][[角]][[之]][[爭]]) * [[우이독경]](牛[[耳]][[讀]][[經]]) === [[인명]] === 牛는 불용한자[* 이름에 쓸 수 없는 한자]는 아니나, 사람의 지위를 격하시킨다고 하여 권장하지 않는 한자이기 때문에 쓰이는 례가 별로 없다.[* 牛뿐만 아니라 가축을 뜻하는 馬, 羊, 猫, 麟 등의 한자도 같은 이유로 이름에 쓰는 걸 매우 기피한다. 이는 한중일 공통이다.] 중국에서는 牛씨가 있긴한데, 사용인구가 2016년 기준 10만명도 안되는 희성이다. 牛자를 부수로 하는 [[모(성씨)|모(牟)씨]]도 있다. * [[견우]]([[牽]]牛) * [[고즈마루]](牛[[頭]][[丸]]) * ~~구로다 규이치([[玄]][[田]] 牛[[一]])~~ - [[신불출]]이 [[일제강점기]] 때 [[창씨개명]] 압박에 대항하여 지은 [[개드립]]용 창씨명이다. 玄田牛一를 세로로 쓰면 [[칙쇼|畜生]](축생)이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 뉴위톈(牛[[雨]][[田]]) - 중국의 [[바둑기사]]. * 우상(牛[[商]]) - [[전한]]의 관료 * 우승유(牛[[僧]][[孺]]) - [[당나라]]의 재상. * [[우시고메 리미]](牛[[込]] りみ) * [[우시다 히로코]](牛[[田]] [[裕]][[子]]) * [[우시마키 주리]](牛[[牧]] ジュリ) * [[우시야마 카즈오]](牛[[山]] [[一]][[男]]) * [[우시지마]](牛[[島]]) === [[지명#s-2]] === 한국에 牛자가 쓰이는 지명이 상당히 많은데, 이름의 유래가 해당 지역의 지리가 소의 어떤 신체 부위와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경우가 많다.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신사우동]]([[新]][[司]]牛[[洞]]) * 우금치(牛[[禁]][[峙]]) - [[우금치 전투]]의 그 우금치.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우만동]](牛[[萬]][[洞]]) *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牛[[眠]][[洞]]) * [[서울특별시]]에 있는 [[우면산]](牛[[眠]][[山]])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우암동(부산)|우암동]](牛[[岩]][[洞]])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우암동(청주)|우암동]](牛[[岩]][[洞]]) * [[전라남도]]에 있는 우이도(牛[[耳]][[島]]) *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우도(제주특별자치도)|우도]](牛[[島]])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牛[[耳]][[洞]]) * [[나이조시역]]([[撫]]牛[[子]][[駅]]) * [[모세우시역]]([[妹]][[背]]牛[[駅]]) * [[진뉴구]]([[金]]牛[[区]]) - 중국의 행정구역. * [[코고타역]]([[小]]牛[[田]][[駅]]) == 지하철역 == * [[우이동]](牛[[耳]][[洞]]) * [[북한산우이역]]([[北]][[漢]][[山]]牛[[耳]][[驛]])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车]](수레 거/차) * [[午]](낮 오) == 여담 == * 牛를 두 개 합치면 [[牪]](두 마리 소 언)이 되고, 세 개 합치면 [[奔]](달릴 분)의 [[이체자]]인 [[犇]]이 된다.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