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爺}}}아비 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父|{{{#000,#fff 父}}}]],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おやじ, じじ, じじ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é{{{#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爺는 ''''아비 야''''라는 [[한자]]로, '[[아버지]]', '[[늙은이]]'를 뜻한다. ==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표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아비 || || {{{-1 '''음'''}}} ||야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é || || {{{-1 '''[[광동어]]'''}}} ||je^^4^^ || || {{{-1 '''[[객가어]]'''}}} ||yà || || {{{-1 '''[[민북어]]'''}}} ||iě || || {{{-1 '''[[민동어]]'''}}} ||iè || || {{{-1 '''[[민남어]]'''}}} ||iâ || || {{{-1 '''[[오어]]'''}}} ||hhia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ヤ}}} || || {{{-1 '''훈독'''}}} ||{{{#c88 おやじ, じい-さん,[br]じじ, じじい}}} || ||<-3> || ||<-2> '''[[베트남어]]''' ||gia || [[유니코드]]에는 U+723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CKSJL(金大尸十中)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父]](아비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耶]](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왕야([[王]]爺) - (주로 중국에서) 천자의 책봉을 받은 번왕, 친왕, 군왕 등의 제후왕들을 부를 때 붙이는 존칭. 한국에서는 황제국의 역사가 길지 않은데다 이 한자가 이런 호칭으로 아주 많이 쓰인 것도 아니기에 일상생활에선 생각보다 볼 일이 드물지만, 중국에서의 이런 용법 덕분에 중드 좀 봤다는 사람들은 다들 이 한자에 익숙하다.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국성야([[國]][[姓]]爺) - [[정성공]]을 일컫는 다른 명칭. 사실상 왕야와 같은 용법으로, [[남명]] 황제로부터 국성을 하사받으신 분이라며 이렇게 부르곤 했다. 서양에서는 이 단어의 [[푸젠성]] 방언 발음이 변형되어 콕싱아(Koxinga)라는 존칭이 본명보다도 더 많이 불리고, 일본에서도 그 정도는 아니지만 '코쿠센야'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곤 한다. === [[지명#s-2]] === === [[창작물]] === * [[エコ爺]] == 유의자 == * [[父]](아비 부) == 상대자 == * [[孃]](아가씨 양)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𦳃]](띠풀이삭 사) * [[𥯘]](바닷가에나는대 야) * [[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