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준4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爲}}}하/할 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爪|{{{#000,#fff 爪}}}]],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す-る, ため, つく-る, な-す, な-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wéi, wè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爲획순.gif|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할 위(爲)'''. '하다', '되다', '위(爲)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하 위''''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23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月竹弓火(BHNF)로 입력한다. 중화권에서 쓰는 자형 為는 戈大弓火로 입력한다.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하다 ||위하다 || || {{{-1 '''음'''}}} ||위 ||위 || ||<-4>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wéi ||wèi || || {{{-1 '''[[광동어]]'''}}} ||wai^^4^^ ||wai^^6^^ || || {{{-1 '''[[객가어]]'''}}} ||vì ||vi || || {{{-1 '''[[민동어]]'''}}} ||ùi ||ôi || || {{{-1 '''[[민남어]]'''}}} ||ûi ||ūi || || {{{-1 '''[[오어]]'''}}} ||hhue (T3) ||hhue (T3) || ||<-4> || ||<|2> '''[[일본어]]''' || {{{-1 '''음독'''}}} ||イ ||イ || || {{{-1 '''훈독'''}}} ||{{{#c88 す-る, つく-る,[br]な-す, な-る}}} ||{{{#c88 ため}}} || ||<-4> || ||<-2> '''[[베트남어]]''' ||vi ||vị || 이 글자는 다음자로, '위하다'라는 뜻의 개사(전치사)로 쓰일 때는 [[사성|거성]]으로, 그밖의 다른 뜻으로 쓰일 때는 [[사성|평성]]으로 읽는다. == 자형 == 원래 [[갑골문]] 상에서 이 글자는 [[又]](또 우) 자와 [[象]](코끼리 상) 자가 합쳐진 [[회의자]]로, 손으로 코끼리를 잡아 부리는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 [[소전]]에서 이 형태는 크게 일그러져, 위쪽은 [[爪]](손톱 조) 자의 형태로 바뀌고, 아래쪽은 다른 한자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로 바뀌었다. 이후 [[예서]]에서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정착되고 [[해서]]를 거쳐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속자로는 為가 있다.[* [[안중근]] 의사가 남긴 [[위국헌신 군인본분]] 유묵에도 ‘위’ 자가 이 속자 형태로 쓰였다.] 대만, 홍콩, 일본에서는 이 형태가 표준이며, 한국에서도 [[조선]]시대에는 곧잘 이렇게 쓰기도 했다. [[간체자]]에서는 為를 더 줄인 为 형태를 채택했다.[* [[力]] 부수에 속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丶]] 부수이다.] [[초서]]로 쓰면 [[ゐ]] 모양이 되며, 이것이 [[히라가나]]로 도입되었다.[* 1946년부터는 [[ゑ]]와 함께 사용이 중단되었다.] == 용례 == 한문 [[고전]]에서 [[以]]爲라는 용법을 자주 볼 수 있다. 이는 '...를 ~로 여기다, 삼다.'는 뜻으로, [[영어]]에서 regard A as B 등 표현과 같다. 한문 시간에 이 한자의 뜻을 외울 때 '위하여 되삼'으로 외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 위하다, 하다, 여기다, 되다, 삼다.] 한문을 본격적으로 다루다보면 (A)爲B所C라는 용법을 자주 볼 수 있다. 처음 보면 해석을 해맬 수 있는데 잘 뜯어보면 'A가 B에게 C되는 바가 되어'라는 뜻으로 곧 '(A)가 B에게 C당하다.'라고 해석한다. 간단하고 자주 사용되었으므로 한문을 본격적으로 공부한다면 알아둬야 할 용법이다. 옛 [[향찰]]에서는 [[고대 한국어]] 어휘 '*sik-'('시키다'의 어원) 혹은 '*hoy-'('하다'의 어원)의 뜻을 새기는 데 사용된 글자였다. === [[단어]] === * 당위([[當]]爲) * 영위([[營]]爲) * 위아(爲[[我]]) * 위정(爲[[政]]) * 위정자(爲[[政]][[者]]) * 위하다(爲하다) * 인위([[人]]爲) * [[작위]]([[作]]爲) * [[무작위]]([[無]][[作]]爲) * [[부작위]]([[不]][[作]]爲) * [[행위]]([[行]]爲) === [[고사성어]]/[[숙어]] === * [[무소불위]]([[無]][[所]][[不]]爲) * [[무위자연]]([[無]]爲[[自]][[然]]) * 부로위고([[婦]][[老]]爲[[姑]]) * [[전화위복]]([[轉]][[禍]]爲[[福]]) * [[지록위마]]([[指]][[鹿]]爲[[馬]]) === [[인명]] === * [[나가오 타메카게]]([[長]][[尾]] 為[[景]]) * [[카츠시카 오우이]]([[葛]][[飾]] [[応]]為) * [[타메가이 카츠미]](爲[[我]][[井]] [[克]][[美]]) * [[타메나가 시온]](為[[永]] [[幸]][[音]]) * [[타메미즈 쇼타로]](為[[水]] [[翔]][[太]][[郎]]) === 기타 === * [[입시 위주 교육]]([[入]][[試]] 爲[[主]] [[敎]][[育]]) * 진충보국 위충진명([[盡]][[忠]][[報]][[國]] 爲[[忠]][[盡]][[命]]): [[수도방위사령부]]의 슬로건 == 일본어 == * 음독 * 오음:イ 한음:イ * 為政者 (いせいしゃ) ^^[[상용한자표|{{{#!html표내}}}]]^^ * 行為 (こうい) ^^[[상용한자표|{{{#!html표내}}}]]^^ * 作為 (さくい) ^^[[상용한자표|{{{#!html표내}}}]]^^ * 無為 (ぶい) * 훈독 * ため、な-す、な-る、す-る * 為 (た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