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濫}}}넘칠 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1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ラ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みだ-り}}}}}}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濫은 ''''넘칠 람''''이라는 [[한자]]로, '넘치다', '주제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FE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尸戈廿(ESIT)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監]](볼 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남기(濫[[記]]) * 남기(濫[[騎]]) * 남독(濫[[讀]]) * 남발(濫[[發]]) * 남벌(濫[[伐]]) * 남벌(濫[[罰]]) * 남상(濫[[賞]]) * 남승(濫[[乘]]) * 남식(濫[[食]]) * 남용(濫[[用]]) * 남월(濫[[越]]) * 남제(濫[[製]]) * 남조(濫[[造]]) * [[남획]](濫[[獲]]) * [[범람]]([[氾]]濫) * 범람만([[氾]]濫[[灣]]) * [[범람원]]([[氾]]濫[[原]]) * 범람호([[氾]]濫[[湖]]) * 외람([[猥]]濫) * 참람([[僭]]濫)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이융남]]([[李]][[隆]]濫) === [[지명#s-2]] === === 기타 === == 유의자 == * [[潘]](성씨 반, 뜨물 반, 넘칠 번) * [[氾]](넘칠 범) * [[猥]](함부로/외람할 외) * [[溢]](넘칠 일) * [[僭]](주제넘을 참) * [[漲]](넘칠 창) * [[浪]](함부로/물결 랑)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鑑]](거울 감) * [[𥌈]](볼 감) * [[𧥈]](뿔 감) * [[礛]](숫돌 감) * [[𪊇]](짠맛 감) * [[㩜]](가질 람) * [[㜮]](그릇할 람) * [[襤]](남루할 람) * [[𢅡]](단 없는 옷 람) * [[嚂]](먹을 람) * [[爁]](불 번질 람) * [[𡽳]](산 이름 람) * [[璼]](옥 이름 람) * [[繿]](옷 해질 람) * [[𨣨]](잔 넘길 람) * [[懢]](즐길 람) * [[儖]](추악할 람) * [[𨊔]](키 큰 모양 람) * [[𧸦]](탐할 람) * [[檻]](난간 함) * [[𩦹]](달리는 모양 함) * [[𦡶]](떡소 함) * [[糮]](범벅 함) * [[壏]](석비레 함) * [[㺝]](으르렁거리는 소리 함) * [[艦]](큰배 함) * [[轞]](함거 함) * [[𣁥]] * [[𥜓]] * [[𧓦]] * [[𧭗]] * [[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