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漱}}}양치할 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ソ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がい, くちすす-ぐ, すす-ぐ}}}}}}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漱는 ''''양치할 수''''라는 [[한자]]로, '[[양치]]하다', '[[양치질]]하다'를 뜻한다. 그래서 ''''양치질할 수''''라고도 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欶]](기침할 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6F31로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水木中人(EDLO)으로 입력한다. [[이체자]]로는 [[欠]](하품 흠) 대신 [[攵]](칠 복)을 쓰는 潄가 있다. == 용례 == === [[단어]] === * 관수([[盥]]漱) * 양수([[養]]漱) * 함수([[含]]漱) * 함수약([[含]]漱[[藥]]) * 함수제([[含]]漱[[劑]]) === [[고사성어]]/[[숙어]] === * [[수석침류]](漱[[石]][[枕]][[流]]) * [[침류수석]]([[枕]][[流]]漱[[石]]) === [[인명]] === * [[나쓰메 소세키]]([[夏]][[目]] 漱[[石]]) * 라오수스([[饶]]漱[[石]]) * 량쑤밍([[梁]]漱[[溟]]) * [[명림어수]]([[明]][[臨]][[於]]漱) * [[손수(고구려)|손수]]([[孫]]漱) * 토비타 소우([[飛]][[田]] 漱) * [[해모수]]([[解]][[慕]]漱) === [[지명#s-2]] === *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수옥정길]](漱[[玉]][[亭]]길) === [[창작물]] === * [[夏目漱石の妻]]([[나츠메 소세키의 아내]]) === 기타 === * 수옥헌(漱[[玉]][[軒]]) == 유의자 == * [[嗽]](기침할 수)[* '기침하다'라는 뜻 외에 '양치하다'라는 뜻도 있어서 漱와 통한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嫩]](어릴 눈) * [[樕]](참나무 속) * [[嗽]](기침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