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숫자 한자)] [include(틀:십진수)]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溝}}}도랑 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水|{{{#000,#fff 水}}}]],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みぞ, {{{#c88 どぶ}}}}}}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ō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溝는 ''''도랑 구\''''라는 [[한자]]로, '도랑'을 뜻한다. [[큰 수]]의 단위로 쓰이기도 하는데, 10의 32제곱을 의미한다. == 용례 == [[유니코드]]에는 U+6E9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TTB(水廿廿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음을 나타내는 [[冓]](짤 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단어]] === * [[지구대]]([[地]]溝[[帶]]) * [[루거우차오 사건|노구교 사건]]([[盧]]溝[[橋]] [[事]][[件]]) * [[배수구]]([[排]][[水]]溝) * 옥구고([[沃]]溝[[高]]) * [[하수구]]([[下]][[水]]溝) * [[해구]]([[海]]溝) === [[인명]] === * [[미조구치 사다유키]](溝[[口]] [[貞]][[幸]]) * [[미조로기]](溝[[呂]][[木]]) * [[미조테 루카]](溝[[手]] るか) * [[사카키 도부로쿠]]([[酒]][[奇]] 溝[[六]]) * [[요코미조 세이시]]([[横]]溝 [[正]][[史]]) === [[지명#s-2]] === * 나자구([[羅]][[子]]溝)[* 중국 영토이며 1913년 이상설 선생이 독립사관학교인 대순학교(大旬學校)를 세운 곳이다.] * [[전라북도]] [[군산시]] [[옥구읍]]([[沃]]溝[[邑]]) == 유의자 == * [[瀆]](도랑/더럽힐 독) * [[圳]](도랑 수/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耩]]/[[𥠾]](김 맬 강) * [[𢞡]](어그러질 강) * [[傋]](어리석을 강) * [[講]](욀 강) * [[𨪋]](갈고리 구) * [[媾]](겹혼인/화친할 구) * [[韝]]/[[鞲]](깍지 구) * [[䐟]](다리 굽을 구) * [[𢔵]](만날 구) * [[䃓]](밝힐 구) * [[𦩷]](배 구) * [[煹]](불 들을 구) * [[褠]](소창옷 구) * [[構]]/[[搆]]/[[𡻉]](얽을 구) * [[㗕]](외칠 구) * [[㡚]](홑옷 구) * [[𡏞]] * [[𤠰]] * [[𥉇]] [[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