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泉}}}샘 천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水|{{{#000,#fff 水}}}]], 5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9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セン{{{#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いずみ{{{#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quá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泉은 ''''샘 천''''이라는 [[한자]]로, '[[샘]]'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CC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AE(竹日水)로 입력한다. 모양 때문에 [[白]](흰 백)과 [[水]](물 수)로 이루어진 [[회의자]]라 생각하기 쉽지만 아니다. [[상형자]]로, [[갑골문]]에서는 밑쪽으로 뚫려 있는 사각형의 형태, 혹은 그 안에 T자 모양이나 점들이 그려져 있는 형태인데, 바위의 틈새에서 흘러나오는 샘의 모습을 본뜬 것이다. 이런 형태는 [[전서|소전]]까지는 비교적 원형에 가깝게 그려지다가, [[예서]]에 오면서 바뀌어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간헐천]]([[間]][[歇]]泉) * [[온천]]([[溫]]泉) * [[황천]]([[黃]]泉) * [[원천]]([[源]]泉) === [[고사성어]]/[[숙어]] === * 감천선갈([[甘]]泉[[先]][[竭]]) * 악목도천([[惡]][[木]][[盜]]泉) * 천석고황(泉[[石]][[膏]][[肓]]) === [[인명]] === * [[강소천]]([[姜]][[小]]泉) * [[고이즈미 신지로]]([[小]]泉 [[進]][[次]][[郎]]) *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 [[純]][[一]][[郎]]) * [[난제호주천]]([[欒]][[提]][[呼]][[廚]]泉) * [[미즈에 유코]](泉[[江]] [[夕]][[湖]]) * [[이마이즈미 유이]]([[今]]泉 [[佑]][[唯]]) * [[이마이즈미 카게로]]([[今]]泉 [[影]][[狼]]) * [[이즈미]](泉) * [[이즈미가미네 미카리]](泉ヶ[[峰]] みかり) * [[이즈미다 토이치로]](泉[[田]] [[塔]][[一]][[郎]]) * [[이즈미 시키부]]([[和]]泉 [[式]][[部]]) * [[코이즈미 하루카]]([[小]]泉 [[遥]][[香]]) === [[지명#s-2]] === * 강원도 * 영월군 주천면([[朱]]泉[[面]]) * 경기도 * 가평군 설악면 이천리([[梨]]泉[[里]]) * 가평군 설악면 이천리 영천([[靈]]泉)/영천벌([[靈]]泉벌) * 양평군 옥천면([[玉]]泉[[面]]) * 경상남도 * 창녕군 도천면([[都]]泉[[面]]) * 경상북도 * [[김천시]]([[金]]泉[[市]]) * [[예천군]]([[醴]]泉[[郡]]) * 감천면([[甘]]泉[[面]]) * 전라남도 * 보성군 회천면([[會]]泉[[面]]) * 해남군 옥천면([[玉]]泉[[面]]) * 화순군 한천면([[寒]]泉[[面]]) * 서울특별시 * 강북구 [[미아동|송천동]] * 서대문구 [[냉천동]] * 서대문구 영천동 === 기타 === * [[황현|매천]]([[梅]]泉) * [[온양온천]]([[溫]][[陽]][[溫]]泉) * [[경성온천|주을온천]]([[朱]][[乙]][[溫]]泉) * [[천연사이다]](泉[[淵]]-)[* '천연 조미료'와 같이 쓰이는 天然으로 오해할 우려가 있다는 점에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한자 병기]]를 하라는 시정 명령을 받은 뒤 법원에서도 패소한 일이 있다. 그래서 그 뒤로는 제품에 항상 泉淵이라는 한자 병기가 따라다닌다.] * [[해운대온천]]([[海]][[雲]][[臺]][[溫]]泉) * [[향문천]]([[響]][[文]]泉) == 유의자 == * [[氿]](샘 궤) * [[腺]](샘 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㚖]](광택 고) * [[㒵]](모양 모)[* [[貌]](모양 모)의 [[동자#s-2]]] * [[𩲸]]^^[⿱白鬼]^^(넋 백)[* [[魄]](넋 백)의 [[동자#s-2]]] * [[帛]](비단 백) * [[畠]](밭 전) * [[𣰗]](솜털 취)[* [[毳]](솜털 취)의 [[동자#s-2]]] * [[𢘣]]^^[⿱白心]^^(두려워할 파) * [[𠡈]]^^[⿱白力]^^ * [[𰃎]]^^[⿱白児]^^ * [[𭎊]]^^[⿱白土]^^ * [[𱚞]]^^[⿱白寸]^^ * [[𣐩]]^^[⿱白木]^^ * [[𭽾]]^^[⿱白皿]^^ * [[𨋧]]^^[⿱白車]^^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𢝓]]^^[⿰忄泉]^^(성급할 견, 급할 연) * [[㶗]](샘물 반) * [[瀪]](물이름 번) * [[㣐]](변할 변)[* [[變]](변할 변)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腺]](샘 선) * [[䤼]](쇠줄 선) * [[線]](줄 선) * [[𣸕]]^^[⿱井泉]^^(물 수)[* [[水]](물 수)의 [[동자#s-2]]] * [[𣻮]]^^[⿰泉岀]^^(구푸릴 왈) * [[厡]](언덕 원)[* [[原]](언덕 원)의 [[동자#s-2]]] * [[瑔]](옥이름 전) * [[騡]](입술검은흰말 전) * [[楾]](그릇 천) * [[𨜩]]^^[⿰泉⻏]^^(내이름 천) * [[葲]](배풍등 천) * [[㟫]]/[[湶]]/[[𡺙]]^^[⿱山泉]^^/[[𣹻]]^^[⿱白泉]^^(샘 천)[*A 泉(샘 천)의 [[동자#s-2]]] * [[𧍭]]^^[⿰虫泉]^^(조개이름 천) * [[鰁]](중고기 천) * [[𥣤]]^^[⿱秝泉]^^(록) * [[𩘘]]^^[⿺風泉]^^(전) * [[闎]](천) == 여담 == * 泉을 세 개 합치면 [[灥]](샘 천)[*A], 네 개 합치면 [[𤆁]]^^[⿱⿰泉泉⿰泉泉]^^(정)이 된다. * 선가(禪家)에서 당(唐) 마조도일(馬祖道一, 709~788)의 법제자(法弟子) 南泉普願(748~834)의 독음을 '남천보원'이 아니라 '남'''전'''보원'으로 읽는다.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