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武}}}호반 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止|{{{#000,#fff 止}}}]],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ブ, ム{{{#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たけ-し, もののふ}}}}}}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w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武는 ''''호반 무''''라는 [[한자]]로, '무술(武術)', '무사(武士)' 등을 뜻한다. 훈의 '호반([[虎]][[班]])'은 무관의 반열인 무반(武班)을 뜻하며 서반([[西]]班)이라고도 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호반 || || {{{-1 '''음'''}}} ||무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wǔ || || {{{-1 '''[[광동어]]'''}}} ||mou^^5^^ || || {{{-1 '''[[객가어]]'''}}} ||vú, vû || || {{{-1 '''[[민북어]]'''}}} ||ǔ || || {{{-1 '''[[민동어]]'''}}} ||ū || || {{{-1 '''[[민남어]]'''}}} ||bú || || {{{-1 '''[[오어]]'''}}} ||vu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ブ, ム || || {{{-1 '''훈독'''}}} ||{{{#c88 たけ-し, もののふ}}} || ||<-3> || ||<-2> '''[[베트남어]]''' ||vũ, võ || [[유니코드]]에는 U+6B6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心卜中一(MPYLM)로 입력한다. 발의 모습을 본뜬 [[止]](그칠 지)와 창의 모습을 본뜬 [[戈]](창 과)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창을 들고 나가 싸운다는 뜻에서 '전쟁', '무사' 등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止가 '걷다, 발'의 뜻으로 사용된 예는 [[趾]](발 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止가 일찍부터 그 뜻을 잃고 '멈추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바람에, '그치다'라는 뜻에 이끌려 武의 자원(字源)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대표적으로 [[춘추좌씨전]]에서는 '止戈爲武'(창[무기]을 저지하는 것이 武이다)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고려 때는 [[혜종(고려)]]가 휘로 武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武를 [[虎]](범 호)로 [[피휘]]하여 사용하였다. 반대말은 문관의 반열을 뜻하는 문반([[文]]班), 동반([[東]]班), 학반([[鶴]]班)이다. 한편 자형에 관해서는, 원래 [[소전]]까지는 戈가 止 위에 올라탄 형태로 그려졌으나, [[예서]] 때부터는 戈가 止가 감싸는 형태로 그려지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戈가 더 일그러져 현재는 [[一]]+[[弋]]의 형태로 바뀌었다. == 용례 == === [[단어]] === * 보무([[步]]武) * [[무기]](武[[器]]) * [[생화학무기]]([[生]][[化]][[學]]武[[器]]) * [[핵무기]]([[核]]武[[器]]) * 무사(武[[事]]) * [[무인#s-2]](武[[人]]) * 무인석(武[[人]][[石]]) * 무정(武[[丁]]) * 무력(武[[力]]) * [[문무]]([[文]]武) * [[별무반]]([[別]]武[[班]]) * [[충무공]]([[忠]]武[[公]]) * [[현무]]([[玄]]武) === [[고사성어]]/[[숙어]] === * 무단향곡(武[[斷]][[鄕]][[曲]]) * 무릉도원(武[[陵]][[桃]][[源]]) * [[무운장구]](武[[運]][[長]][[久]]) * 무장봉기(武[[裝]][[蜂]][[起]]) === [[인명]] === * [[만퉁퉁|고다 타케시]]([[剛]][[田]] 武) * [[기부 유코]]([[儀]]武 [[祐]][[子]]) * [[기시다 후미타케]]([[岸]][[田]] [[文]]武) * [[김무성]]([[金]]武[[星]]) * [[김무열]]([[金]]武[[烈]]): 배우 * [[노무현]]([[盧]]武[[鉉]]) * [[마무(후한)|마무]]([[馬]]武) * [[미즈키 시게루|무라 시게루]](武[[良]] [[茂]]) * [[무숭훈]](武[[崇]][[訓]]) * [[아이카와 라부]]([[愛]][[川]] [[羅]]武) * [[안무(독립운동가)|안무]]([[安]]武) * [[오모사다케 후토시]]([[重]][[佐]]武 ふとし) * [[우도 부키코]]([[兎]][[洞]] 武[[器]][[子]]) * [[우레이]](武[[磊]]) * [[주무]]([[朱]]武) * [[차무식]]([[車]]武[[湜]]) * [[코야스 타케히토]]([[子]][[安]] 武[[人]]) * [[타케모토 유이]](武[[元]] [[唯]][[衣]]) * [[하나가키 타케미치]]([[花]][[垣]] 武[[道]]) * [[혜종(고려)|왕무]]([[王]]武) === [[지명#s-2]] === * [[무사시코스기역]](武[[蔵]][[小]][[杉]][[駅]]) === [[창작물]] === === 기타 === * [[무인시대]] * [[양무호]]([[揚]]武[[號]]) * [[천하제일무술대회]]([[天]][[下]][[一]]武[[道]][[大]][[會]]) * [[충무로역]] * [[친무]]([[親]]武)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式]](법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