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榛}}}개암나무 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木|{{{#000,#fff 木}}}]], 1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4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シン}}}}}}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はしばみ, はり}}}}}}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zhē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榛은 ''''개암나무 진''''이라는 [[한자]]로, '[[개암나무]]'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秦]](성 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99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QKD(木手大木)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진무(榛[[蕪]]) * 진색(榛[[塞]]) * 진실(榛[[實]]) * 진자(榛[[子]]) * 생진자([[生]]榛[[子]]) * 진자당(榛[[子]][[糖]]) * 진자장(榛[[子]][[醬]]) * 진자죽(榛[[子]][[粥]]) === [[고사성어]]/[[숙어]] === * 진예(榛[[穢]]) === [[인명]] === * [[안나카 하루나]]([[安]][[中]] 榛[[名]]) * [[코미야마 하루카]]([[込]][[山]] 榛[[香]]) * [[하이바라 나나카]](榛[[原]] [[七]][[香]]) * [[홍진호]]([[洪]]榛[[浩]]) === [[지명#s-2]] ===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榛[[接]][[邑]]) [[진벌로]](榛[[伐]][[路]]) * [[진접역]](榛[[接]][[驛]]) === [[창작물]] === === 기타 === == 이체자 == * 㰉(U+3C09) * 樼(U+6A3C) * 獉(U+7349) * 𣐽^^[⿱立未]^^(U+2343D) * 𣓀^^[⿱辛木]^^(U+234C0) * 𣝾^^[⿰木蓁]^^(U+2377E) * 𦽥^^[⿱艹搸]^^(U+26F65) * 𦿒^^[⿱艹榛]^^(U+26FD2)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𩌘]]^^[⿰革秦]^^(때릴 달) * [[棒]](막대 봉) * [[獉]](개암나무 진)[*A 榛(개암나무 진)의 [[동자#s-2]]] * [[殝]](다할 진) * [[溱]](많을 진) * [[搸]](모을 진) * [[縥]](물급하게흐를 진) * [[𧤛]]^^[⿰角秦]^^(뿔가지런할 진) * [[𤚩]]^^[⿰牛秦]^^(소이름 진) * [[螓]](쓰르라미 진) * [[嗪]](어린아이가부르는소리 진) * [[嫀]](여자의자 진, 나라이름 신) * [[瑧]](옥이름 진) * [[𥉜]]^^[⿰目秦]^^(음란할 진) * [[臻]](이를 진) * [[轃]](이를 진/전) * [[𪒆]]^^[⿰黑秦]^^(칠) * [[𪜞]]^^[⿰云秦]^^ * [[𡻈]] * [[𫮔]]^^[⿰土秦]^^ * [[𬛌]]^^[⿰肉秦]^^ * [[𨪦]]^^[⿰金秦]^^ * [[𩥚]]^^[⿰馬秦]^^ * [[𪄈]]^^[⿰鳥秦]^^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𦿒]]^^[⿱艹榛]^^(개암나무 진)[*A 榛(개암나무 진)의 [[동자#s-2]]]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