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梡}}}도마 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カ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kuǎn}}}}}}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梡은 ''''도마 관''''이라는 [[한자]]로, '도마(제사의 희생을 올려놓는 제기)'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完]](완전할 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8A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DJMU(木十一山)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肵]](도마 기) * [[杫]](도마 지) * [[俎]](도마 조)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𥹳]]^^[⿰米完]^^(가루 권) * [[琓]](나라이름 완) * [[輐]](둥글 완) * [[𡷗]]^^[⿰山完]^^(많은모양 완) * [[捖]](문지를 완/괄) * [[烷]](불 완) * [[唍]](빙그레웃는모양 완) * [[浣]](빨 완) * [[脘]](중완 완) * [[垸]](회섞어바를 완) * [[院]](집 원) * [[䴷]](보리누룩 혼) * [[綄]](바람개비 환) * [[䯘]](바를 환/완) * [[睆]](밝을 환) * [[羦]](뿔이가는산양 환) * [[鯇]](잉어 환, 산천어 혼) * [[鋎]](칼 환) * [[𧚁]]^^[⿰衤完]^^(턱받이 환) * [[晥]]/[[皖]](환할 환) * [[俒]](완전할 흔/혼) * [[㛡]](완) * [[䖾]](완) * [[𤞵]]^^[⿰犭完]^^(표) * [[𪫻]]^^[⿰忄完]^^ * [[𪺗]]^^[⿰爭完]^^ * [[𫀏]]^^[⿰示完]^^ * [[𫀶]]^^[⿰禾完]^^ * [[𮋲]]^^[⿰耳完]^^ * [[𨁚]]^^[⿰𧾷完]^^ * [[𧨎]] * [[𨠻]]^^[⿰酉完]^^ * [[𮚉]]^^[⿰貝完]^^ == 여담 == 컴퓨터에서는 '완'으로 치고 변환해야 나온다. 근데 정작 어문회 측에서는 '완'이란 음을 반영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