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8급 한자]][[분류:위치]][[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동서남북)]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東}}}동녘 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ト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ひがし, {{{#c88 あずま}}}}}}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ō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6%9D%B1-order.gif]] 東의 필순 [목차] [clearfix] == 개요 == 東은 ''''동녘 동''''이라는 [[한자]]로, [[방위]]의 일종인 '동(東)녘', '동(東)쪽'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동녘 || || {{{-1 '''음'''}}} ||동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ōng || || {{{-1 '''[[광동어]]'''}}} ||dung^^1^^ || || {{{-1 '''[[객가어]]'''}}} ||tûng || || {{{-1 '''[[민북어]]'''}}} ||dóng || || {{{-1 '''[[민동어]]'''}}} ||dŭng[*文 [[문독]]] / dĕ̤ng[*白 [[백독]]] || || {{{-1 '''[[민남어]]'''}}} ||tong[*文] / tang[*白] || || {{{-1 '''[[오어]]'''}}} ||to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トウ || || {{{-1 '''훈독'''}}} ||ひがし, {{{#c88 あずま}}} || ||<-3> || ||<-2> '''[[베트남어]]''' ||đông || [[유니코드]]에는 U+6771에 배당되어 있으며[* 东은 U+4E1C], [[창힐수입법]]으로는 木田(DW)로, [[주음부호]]로는 ㄉㄨㄥ로 입력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6%9D%B1-oracl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6%9D%B1-bronz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6%9D%B1-silk.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6%9D%B1-bigsea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6%9D%B1-seal.svg.png]] 東은 짐보따리를 본따서 만든 [[상형자]]이다. 사탕 포장처럼 양쪽 끝을 묶은 주머니로 보기도 한다. [[束]](묶을 속), [[橐]](전대 탁)과도 관련이 있는 자형이다. 일찍이 [[상나라]] 때부터 '동쪽'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후한 말 허신이 지은 [[설문해자]]에서는 東의 자형을 나무 목([[木]])에 해 일([[日]])자가 결합하여 해가 동쪽에서 뜨는 걸 상징한 것이라고 설명하였으나 [[갑골문]]이 발견되면서 틀린 설명이 되었다. 허신은 갑골문의 존재를 몰랐기 때문이다. 중국어에서는 做東(zuòdōng, 주인 노릇을 하다), 房東(fángdōng, 건물주)과 같이 '주인'이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신자체]]에서는 柬(가릴 간) 요소를 전부 東으로 바꾸었다. 간략화보다는 필기의 용이함을 위한 듯하다. 대표적으로 練→{{{#!html }}}(익힐 련), 鍊→{{{#!html }}}(단련할 련) 등. 간체자에서는 东에서 갈고리만 왼쪽으로 꺾인 자형으로 쓴다. 단, 练과 炼에만 해당한다. '동'은 조선시대에 우리나라를 뜻하는 말로도 사용되었다. 우리나라 유학자는 '동유', 우리나라는 '동국'이라고 하는 식. == 용례 == === [[단어]] === * [[관동별곡]]([[關]]東[[別]][[曲]]) * [[극동]] (極東) * [[낙동강]] (洛東江) *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 동경(東經) * 동교(東[[郊]]) * 동궁(東宮) * [[동대문]] (東大門) * [[동대문구]] (東大門區) * [[동도서기]](東[[道]][[西]][[器]]) * [[동문선]](東文選) * [[동방]](東[[方]]) * [[동방박사]](東[[方]][[博]][[士]]) * 동부 (東部) * 동서남북 (東西南北) * [[동아]](東[[亞]]) * [[동양]] (東洋) * [[동의보감]] (東醫寶鑑) * [[동이]] (東夷) * [[동인(조선)|동인]](東[[人]]) * 동풍(東[[風]]) * [[극동풍]]([[極]]東[[風]]) * [[동학]] (東[[學]]) * [[동해]] (東[[海]]) * [[정동행성]]([[征]]東[[行]][[省]]) * [[해동]]([[海]]東) === [[고사성어]]/[[숙어]] === * 고금동서 (古今東西) * 동가식 서가숙 (東家食 西家宿) * [[동명성왕]] (東明聖王) * [[동문서답]] (東問西答) * [[동분서주]] (東奔西走) * [[마이동풍]] (馬耳東風) * [[만절필동]] (萬折必東) * 어동육서 (魚東肉西) * [[홍동백서]] (紅東白西) === [[인명]] === 東자는 [[한중일]] 세 나라 모두에서 인명으로 널리 쓰이는 글자이다. 중국과 한국은 東자를 인명에 쓰면 활동 범위가 넓어진다는 믿음이 있었고, 일본에서는 원래 성씨에 방위나 위치, 장소 등을 나타내는 한자를 자주 썼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인 이름에 '동'자가 있으면 열에 일곱은 東이다. * [[강동은]] - [[지존파]] * [[강동원(정치인)|강동원]] (姜東遠) * [[김동률]] (金東律) * [[도영|김동영]] (金東領) * [[김동휘(배우)|김동휘]] (金東輝) * [[해찬|이동혁]] (李東赫) * [[김동성(동명이인)#s-3|김동성]] - 해당 문서의 정치인들은 전부 이름에 東자를 쓴다. * [[김동수(야구)|김동수]] (金東洙) * [[김동주(타자)|김동주]] (金東柱) * [[김동진]] (金東進) * [[김윤동]] (金潤東) * [[김구라|김현동]] (金賢東) * [[도조 유코]] (東條由布子) * [[도조 히데키]] (東條英機) * [[마오쩌둥]] (毛澤東) * [[문동주]] (文東珠) * [[박동진(국악인)|박동진]](朴東鎭) * [[박동원]](朴東原) * [[반도 나오키]] (坂東尚樹) * [[반도 아이]] (板東 愛) * [[백동하]](白東下) * [[서동욱(1963)|서동욱]](徐東旭) * [[소식(시인)|소동파]](蘇東坡) * [[손동표]] (孫東杓) * [[프니엘|신동근]] (辛東根) * [[신동(SUPER JUNIOR)|신동희]] (申東熙) * [[신동엽]] (申東燁) * [[아즈마 리온]] (東 李苑) * [[아즈마 유키]] (東 由樹) * [[아즈마 키요히코]] (東清彦) * [[아즈마 히로키]] (東 浩紀) * [[윤동주]] (尹東柱) - [[창씨개명]]한 이름도 平沼東柱(히라누마 도슈)로 東이 들어간다. * [[이동국]] (李同國) - 개명 전에는 李東國이었는데, 왜 한자를 바꿨냐면 李東國이라는 이름 획수를 전부 합치면 26획[* 李(7획)+東(8획)+國(11획)=26]인데 이게 사주에서 가장 불길하게 여기는 총획이어서[* 한자 이름의 획수 총합이 26획이면 불행한 일이 끊이지 않고 일어난다는 믿음이 있다.] 획수가 다른 한자로 바꾼 것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름에 대한 금기#s-4]] 문서의 4번 문단을 참고. * [[이동욱(야구)|이동욱]] (李東昱) * [[이동원]] (李東元) * [[이동진(1931)|이동진]] (李東鎭) * [[이동형]] (李東炯) * [[동해(SUPER JUNIOR)|이동해]] (李東海) * [[이토 라이프]] (伊東ライフ) * [[이토 쓰토무]] (伊東勤) * [[정동영]] (鄭東泳) * [[최동수]] (崔東秀) * [[최동원]] (崔東原) * [[최동환]] (崔東煥) * [[토야마 나오]] (東山奈央) * [[토죠 사카]] (東条さかな) * [[한동수]] (韓東洙) * [[한동훈]] (韓東勳) * [[한동희]] (韓東熙) * [[히가시노 게이고]] (東野圭吾) * [[히가시노 타카유키]] (東野貴行) * [[히가시무라 레나]] (東村玲奈) * [[히가시야마 쇼]] (東山翔) === [[지명#s-2]] ===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니 지명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쓰인다. 다 적다간 끝이 없을 지경이다. * 동리마을 (東里) - 하리, 중리, 상리와 함께 은근 많은 마을이름이다. * 동협마을 (東峽) - [[강서구(부산)|강서구]] [[대저2동]]의 마을이다. * [[간토]] (関東) * [[강동구]] (江東區) * [[강동동(부산)|강동동]] (江東洞) * [[관동]] (關東) - [[강원도]]를 가리키며, 위에 있는 간토와 한자가 같다. [[정자(한자)|정자]]와 [[속자]]란 점이 다르다. * [[영동]] (嶺東) * [[다이토시]] (大東市) * [[도쿄]] (東京) * [[동구]] (東區) * [[동두천시]] (東豆川) * [[동대신동]] (東大新洞) * [[동래구]] (東萊區) - 다만 [[동래]]는 어원을 [[독로국]]으로 본다. 다시 말해 음차한 것이므로 뜻은 별 상관없다. * [[동면]] (東面) * [[동삼동]] (東三洞) * [[동읍]] (東邑) * [[동천동]] (東川洞) * [[성동구]] (城東區) * [[안동시]] (安東市) * [[오동동]] - 해당 문서의 1, 2번 항목 모두 東자 포함. * [[요동]]([[遼]]東) * [[중동]] (中東) * [[핑둥]]현 (屏東縣) * [[동대구역]] (東大邱驛) - [[대구역]]보다 동쪽에 있다. * [[동탄신도시]] (東灘新都市) * [[서동탄역]] (西東灘驛) * [[동문동]] (東門洞) * [[외동읍]] (外東邑) * [[토온시]] (東温市) * [[히가시오사카시]] (東大阪市) * [[동교동]] * [[동선동(서울)|동선동1~5가]] * [[동소문동|동소문동1~7가]] * [[동대문구]](東大門區) === [[창작물]] === * [[ココン東西]](고금동서) * [[동사강목]](東[[史]][[綱]][[目]]) * [[英国東洋艦隊潰滅]]([[영국동양함대궤멸]]) === 기타 === * [[동아시아사|동사]](東[[史]]) * [[동이혼]](東[[夷]][[魂]]): 한국의 록밴드 * [[조중동]]([[朝]][[中]]東) * [[틈관동]]([[闖]][[關]]東) * [[동국대학교]](東[[國]][[大]][[學]][[校]]) * [[한동대학교]]([[韓]]東[[大]][[學]][[校]]) == 지하철역 == * [[동매역]] * [[동대신역]] * [[동의대역]] * [[동원역]] * [[동대구역]] * [[동대문역]](東大門驛) * [[동대문역사문화공원]](東大門歷史文化公園)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東大門歷史文化公園驛) * [[동대입구역]](東大入口驛) * [[동수역]] * [[동촌역]] * [[동춘역]] * [[동막역]] * [[동인천역]] * [[동두천역]] * [[동두천중앙역]] * [[동묘앞역]] * [[강동역]] * [[강동구청역]] == 상대자 == * [[西]](서녘 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柬]](가릴 간) * [[來]](올 래) * [[末]](끝 말) * [[木]](나무 목) * [[未]](아닐 미) * [[本]](근본 본) * [[束]](묶을 속) * [[朿]](가시 자, 묶을 속) * [[車]](수레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