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材}}}재목 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ザイ, {{{#c88 サ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まるた}}}}}}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á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材는 ''''재목 재''''라는 [[한자]]로, '재목(材木)', '재료(材料)', '재주'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재목 || || {{{-1 '''음'''}}} ||재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ái || || {{{-1 '''[[광동어]]'''}}} ||coi4 || || {{{-1 '''[[객가어]]'''}}} ||chhòi, chhài || || {{{-1 '''[[민남어]]'''}}} ||châi, chhâi || || {{{-1 '''[[오어]]'''}}} ||ze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ザイ, ''サイ'' || || {{{-1 '''훈독'''}}} ||''まるた'' || ||<-3> || ||<-2> '''[[베트남어]]''' ||tài || [[유니코드]]에는 U+675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木竹(DDH)으로 입력한다. [[才]](재주 재)에서 파생된 글자로[* Schuessler, 2007 등], '재질이 좋은 나무'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 才에 [[木]](나무 목)을 더해서 만들었다. 따라서 [[회의자]]로도 볼 수 있고 [[형성자]]로도 볼 수 있다. 이는 [[財]](재물 재)도 마찬가지. == 용례 == === [[단어]] === * 가구재([[家]][[具]]材) * 각재([[角]]材) * [[감속재]]([[減]][[速]]材) * [[강재]]([[鋼]]材/[[江]]材) * 건재([[乾]]材/[[建]]材) * 건조재([[乾]][[燥]]材) * 골재([[骨]]材) * 교재([[敎]]材) * 부교재([[副]][[敎]]材) * 기재([[機]]材) * 내장재([[內]][[裝]]材) * 내화재([[耐]][[火]]材) * 냉재([[冷]]材) * [[단열재]]([[斷]][[熱]]材) * [[목재]]([[木]]材) * 개량목재([[改]][[良]][[木]]材) * 목재공업([[木]]材[[工]][[業]]) * [[목재물리학]]([[木]]材[[物]][[理]][[學]]) * 목재상([[木]]材[[商]]) * [[목재소]]([[木]]材[[所]]) * 목재업([[木]]材[[業]]) * 목재화학([[木]]材[[化]][[學]]) * 연목재([[軟]]木[[材]]) * 물재([[物]]材) * 반사재([[反]][[射]]材) * [[방음재]]([[防]][[音]]材) * 방풍재([[防]][[風]]材) * [[배재학당]]([[培]]材[[學]][[堂]]) * 소재([[素]]材) * 악재([[惡]]材) * 약재([[藥]]材) * 약재료([[藥]]材[[料]]), [[한약재]]([[韓]][[藥]]材) * [[연마재]]([[硏]][[磨]]材) * [[인재]]([[人]]材) * 자재([[資]]材) * 기자재([[機]][[資]]材) * [[원자재]]([[原]][[資]]材) * 투자재([[投]][[資]]材) * [[재기]](材[[器]]) * [[재료]](材[[料]]) * 감광재료([[感]][[光]]材[[料]]) * 고온재료([[高]][[溫]]材[[料]]) * 원재료([[原]]材[[料]]) * 재료비(材[[料]][[費]]) * 재료파괴학(材[[料]][[破]][[壞]][[學]]) * 재목(材[[木]]) * 재질(材[[質]]) * 적재([[適]]材) * [[제재]]([[製]]材/[[題]]材) * 취재([[取]]材) * [[호재]]([[好]]材) === [[고사성어]]/[[숙어]] === * 재대난용(材[[大]][[難]][[用]]) - 재목이 상황에 맞지 않게 커서 쓰기 힘들다는 뜻의 고사성어. 인재가 자신에게 맞지 않는 환경에서 썩혀져 간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 [[인명]] === * [[최연재|김연재]]([[金]][[燕]]材): [[최연재]]의 본명 * [[김재욱(배우)|김재욱]]([[金]]材[[昱]]): 배우 * [[김하재]]([[金]][[夏]]材) * [[야율초재]]([[耶]][[律]][[楚]]材) * [[육성재]]([[陸]][[星]]材) * [[이항재]]([[李]][[恒]]材)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技]](재주 기) * [[才]](재주 재) - 材는 "재주 재"에서 유래되어 "재목"이라는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 한자지만, 재용(材勇)에서처럼 "재주"란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 [[倆]](재주 량) * [[術]](재주 술) * [[藝]](재주 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林]](수풀 림) * [[豺]](승냥이 시) * [[釮]](날카로울 재) * [[䴭]](누룩 재) * [[財]](재물 재) * [[䞗]](머뭇거리다가 떠나갈 채) * [[村]](마을 촌) * [[䊷]](검을 치) [[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