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李}}}오얏/성 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木|{{{#000,#fff 木}}}]],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リ}}}}}}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すもも}}}}}}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ǐ{{{#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얏 리, 이. 뜻의 오얏은 [[자두]]의 옛 [[고유어]]이다.[* 현재 오얏은 비표준어이고 자두만 표준어이다. 훈이 비표준어인 대표적인 사례로는 뫼 산([[山]])이 있다.] 자원은 뜻을 나타내는 나무목(木)과 음을 나타내는 子(자->리)가 합쳐 만들어진 형성자이다. == 상세 == 원음은 리지만 [[두음 법칙]]이 적용되어 한국에선 거의 이로 읽고 쓴다. 다만 두음법칙이 적용되기 이전에는 이,니,리 3개의 발음이 있었지만 표기법은 "[[https://wiki.michaelhan.net/images/4/41/Tc-8-1.png|니]]"였다. 이는 인명 표기에서도 적용되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의 한글 필사본인 《[[https://www.kobay.co.kr/kobay/item/itemLifeView.do?itemseq=1412WD4GE8F|니츙무공젼셔]]》를 들 수 있다.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은 북한은 李의 한자(중국어) 원음인 리로 표기하고 발음한다. 한때 대한민국에선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성씨를 강제했지만 현재는 법적으로 성씨에 관해 두음 법칙의 예외를 인정하므로 이씨와 리씨를 모두 쓸 수 있다. 다만 말만 인정했다 뿐이지 다시 이씨에서 리씨로 바꾸기 의해 준비해야 되는 서류도 매우 복잡하다. 대다수의 리씨들은 모두 이미 이씨로 변경을 했는지 유독 리씨는 비슷한 성씨 사례인 [[라(성씨)|라씨]]와 [[류(성씨)|류씨]]에 비해 찾아보기 힘들고 극소수다. [[유니코드]]는 본 문서의 문서명인 통합한자 李(리)는 674E, 호환용한자 李(이)는 F9E1이다. == 용례 == === [[단어]] === * 이화(李[[花]]) * [[이화문]](李[[花]][[紋]]) * 행리([[行]]李) === [[고사성어]]/[[숙어]] === *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이하부정관]](李[[下]][[不]][[整]][[冠]]) * 장삼이사([[張]][[三]]李[[四]]) === [[인명]] === * [[카고메 리리코]]([[籠]][[目]] 李々[[子]]) * [[치넨 유리]]([[知]][[念]] [[侑]]李) * [[미야카와 아이리]](宮川愛李) ==== 성씨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20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인구는 7,306,828명으로 [[대한민국]] 인구 2위의 성씨. 주요 본관으로는 전주(全州), 경주(慶州), 성주(星州), 광주(廣州)이 있다. [[중화권]]에서도 왕(王)과 장(張)씨와 더불어 순위 3위권안에 드는 거대 성씨이다. 이씨에 관한 자세한 내용과 이씨 성을 사용하는 인물에 대한 내용은 [[이(성씨)]] 참조. 해당 성을 가진 사람들이면 모두 이 글자를 쓴다. === 기타 === * [[이명박근혜]](李[[明]][[博]][[槿]][[惠]]/李[[明]][[朴]][[槿]][[惠]]) * [[이성당]](李[[盛]][[堂]]) * [[채최박이]]([[蔡]][[崔]][[朴]]李), [[최채박이]]([[崔]][[蔡]][[朴]]李) * [[친이]]([[親]]李) *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季]](계절 계) * [[査]](조사할 사)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