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beatmania IIDX 26 Rootage의 수록곡]] [[분류:DanceDanceRevolution A20의 수록곡]] [[분류:DANCERUSH STARDOM의 수록곡]] [[분류:GITADORA EXCHAIN의 수록곡]] [[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 [[분류:유비트 페스토의 수록곡]] [[분류:팝픈뮤직 peace의 수록곡]] [[분류: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의 수록곡]] [[분류:노스텔지어 Op.2의 수록곡]] [[파일:jk_ddr.jpg|width=400]] ||<:>{{{-3 {{{#808080 121ノ前}}}}}}[br]{{{+3 [ruby(最小三倍完全数,ruby=さいしょうさんばいかんぜんすう)]}}}|| ||<:>{{{-3 {{{#808080 121의 앞}}}}}}[br]'''[[120|최소 3배]] [[완전수]]'''|| [목차] == 개요 == [include(틀: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파일:poster_ddr.jpg]] >'''하이 스피드의 최강 댄스 악곡!''' > >4박자와 5박자, 6박자가 왔다 갔다 하는 곡입니다. >4×5×6=120은 최소 3배완전수로서 >통칭 「1[[廿(BEMANI 시리즈)|21의 앞]]」입니다.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이벤트로 수록된 DDR 엔트리곡이다. 작곡가는 [[DJ TECHNORCH]]. 제목에 나오는 '3배완전수'란 자신을 포함한 약수의 합이 자신의 3배가 되는 수로, 가장 작은 수는 [[120]]이다. 이벤트 직전 생방송 중에 이 곡을 소개 하면서 테크노우치식 작명법으로[* [[廿(BEMANI 시리즈)|니쥬이치노마에]], [[888(DanceDanceRevolution)|하치야소바]], [[Sol Cosine Job 2|즉신성불]]] '''햐쿠[[廿(BEMANI 시리즈)|니쥬이치노마에]]''', 즉 '''121의 앞'''으로 불렀다. 다만 곡명별로 정렬을 지원하는 게임에서는 さ행에 들어가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실제로는 일반적인 독음[* 사이쇼산바이칸젠수(さいしょうさんばいかんぜんすう)]그대로 읽는 게 맞다. DJ TECHNORCH 본인도 "121의 앞은 어디까지나 통칭"이라고 밝혔다. 한국에서도 주로 '최소삼배'라고 불린다. 주 BPM은 220이며, 댄스러시는 BPM 125로 편곡되고 DDR은 55-440으로 변속이 추가되었다. == [[DanceDanceRevolution]] == ||<-12>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2> {{{#blue,#0000ff BEGINNER}}} ||<-2> {{{#orange,#ffa500 BASIC}}} ||<-2> {{{#red,#ff0000 DIFFICULT}}} ||<-2> {{{#green,#7fff7f EXPERT}}} ||<-3> {{{#purple,#ff7ffe CHALLENGE}}} || ||<-2> {{{#blue,#0000ff 5}}} ||<-2> {{{#orange,#ffa500 11}}} ||<-2> {{{#red,#ff0000 14}}} ||<-2> {{{#green,#7fff7f 17}}} ||<-3> {{{#purple,#ff7ffe -}}} || || {{{#blue,#0000ff 120}}} || {{{#blue,#0000ff 0}}} || {{{#orange,#ffa500 270}}} || {{{#orange,#ffa500 6}}} || {{{#red,#ff0000 496}}} || {{{#red,#ff0000 6}}} || {{{#green,#7fff7f 672}}} || {{{#green,#7fff7f 6}}} || {{{#purple,#ff7ffe -}}} || {{{#purple,#ff7ffe -}}} || {{{#purple,#ff7ffe -}}} || ||<|3> '''[[더블 플레이]]''' ||<-2><|3> - ||<-2> {{{#orange,#ffa500 BASIC}}} ||<-2> {{{#red,#ff0000 DIFFICULT}}} ||<-2> {{{#green,#7fff7f EXPERT}}} ||<-3> {{{#purple,#ff7ffe CHALLENGE}}} || ||<-2> {{{#orange,#ffa500 11}}} ||<-2> {{{#red,#ff0000 15}}} ||<-2> {{{#green,#7fff7f 17}}} ||<-3> {{{#purple,#ff7ffe -}}} || || {{{#orange,#ffa500 281}}} || {{{#orange,#ffa500 7}}} || {{{#red,#ff0000 433}}} || {{{#red,#ff0000 3}}} || {{{#green,#7fff7f 659}}} || {{{#green,#7fff7f 3}}} || {{{#purple,#ff7ffe -}}} || {{{#purple,#ff7ffe -}}} || {{{#purple,#ff7ffe -}}} || || BPM ||<-11> 55~440 || || 아케이드 버전분류 ||<-11> [[DDR A20]] || [youtube(89XqYQfrY6I)] ESP 영상 [youtube(Bxn6bRD9sSY)] EDP 영상 난이도별로 노트수를 특정 규칙에 맞춘 것이 특징이다. * 싱글 비기너 : 가장 작은 3배 [[완전수]] * 싱글 베이직 : [[하샤드 수]] * 싱글 디피컬트 : [[완전수]] * 싱글 익스퍼트 : 2번째로 작은 3배 완전수 * 더블 베이직, 더블 디피컬트 : [[쌍둥이 소수]] * 더블 익스퍼트 : 쌍둥이 소수, '''120'''[* 최소 3배 완전수]번째 소수. BPM 440이 되는 구간이 끝부분에만 있다. 그래서 BPM 440에 배속을 맞춰 서든플러스를 설정하고, 끝부분이 나오기 전 정적 구간에 서든플러스를 해제하는 플레이가 주를 이룬다. 440 구간을 외우는 방법도 있지만 정지가 풀리는 타이밍을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권장되지 않는다. 익스퍼트 난이도는 같은 작곡가의 [[888(DanceDanceRevolution)|888]]과 유사한 트릴 위주의 채보 속성과 엇비슷한 BPM 탓에 888 체험판(...)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beatmania IIDX]] == || 장르명 ||<-4> ピタゴラス的不完全性破壊衝動音律(ハンマーによる)[br]피타고라스적 불완전성 파괴충동음률(해머에 의해) || [[BPM]] || 220 || || 전광판 표기 ||<-6> '''{{{#ff5a00,#ff5a00 SMALLEST 3K-PERFECT NUMBER}}}''' || ||<-7>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 || ||<-2> {{{#blue,#0000ff 노멀}}} ||<-2> {{{#orange,#ffa500 하이퍼}}} ||<-2> {{{#red,#ff0000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0000ff 5}}} || {{{#blue,#0000ff 469}}} [include(틀:CN)] || {{{#orange,#ffa500 9}}} || {{{#orange,#ffa500 921}}} [include(틀:CN)] || {{{#red,#ff0000 12}}} || {{{#red,#ff0000 1314}}}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 {{{#blue,#0000ff 5}}} || {{{#blue,#0000ff 464}}} [include(틀:CN)] || {{{#orange,#ffa500 10}}} || {{{#orange,#ffa500 908}}} [include(틀:CN)] || {{{#red,#ff0000 12}}} || {{{#red,#ff0000 1414}}}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beatmania IIDX 26 Rootage|26 Rootage]]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2023년 4월 추가)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C)]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D)] [youtube(mVWOWs1XKbU)] SPA 정배치 영상 === 더블 플레이 === [youtube(zJjHGdbNDno)] DPA 정배치 영상 == [[DANCERUSH STARDOM]]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html DANCERUSH}}}[br]{{{#!html 난이도 체계}}} }}} || || 곡명 ||<-3>'''{{{+2 最小三倍完全数 (DANCERUSH Style)}}}''' || || 아티스트 ||'''DJ TECHNORCH with BEMANI Sound Team''' || 촬영 || {{{+2 o}}} || || 장르 ||'''BEMANI''' || BPM || 125 || || 버전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DANCERUSH STARDOM|{{{#!html DANCERUSH}}} {{{#!html STARDOM}}}]] }}} || ||<-4> 난이도 및 노트 수 || || || [[파일:댄스러쉬_icn_easy.png]] ||<-2> [[파일:댄스러쉬_icn_normal.png]] || ||<|2> 1인용 || 3 ||<-2> 7 || || 149 ||<-2> 324 || ||<|2> 2인용 || ? ||<-2> ? || || 노트수(?/?) ||<-2> (?/?) || ||<-4> {{{#!folding 해금 조건 및 할인 미션 {{{#!wiki style="margin: 0 -11px -6px;" ||<-2> '''{{{+2 {{{#yellow,#feff00 ★}}}{{{#white 0}}}}}}''' || || 해금조건 ||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이벤트기간 중 DanceDanceRevolution의 개인 투표수 100개 를 넘게 한다. || }}}}}} || [youtube(CzOU4EZuEAY)] [youtube(by_e2i8TYDc)] 댄스러시에 걸맞게 분위기에 리믹스 되어 출현. 아티스트 표기에는 with BST만 표기되어 정확히 누가 편곡했는지는 불명이다. BPM은 125로 대폭 내려갔고, 원곡과 달리 4/4박자의 킥 박자로 일정하게 진행된다. 마지막의 구불구불한 롱노트는 그냥 가만히 서있어도 무방하다. == [[GITADORA 시리즈]] == ||<-6>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ddd,#33353a> BPM ||<#eaeaea,#383b40>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TREME || MASTER || ||<|3> 220 || {{{#red 기타 표준}}} || 3.30 || 4.80 || 7.35 || 8.65 || || {{{#00f,#ff8c00 기타 베이스}}} || 3.20 || 4.60 || 7.05 || 8.65 || || {{{#green,#0c0 드럼매니아}}} || 4.90 || 6.60 || 8.70 || 9.45 || ||||<#eaeaea,#26282c> 최초 수록 버전 ||<-4><#fff> [[GITADORA EXCHAIN|{{{#000 GITADORA '''EXCH''AIN'' '''}}}]] || 부제로 GITADORA STYLE이 붙었으나 아티스트 표기에는 with BST만 표기되어 정확히 누가 편곡했는지는 불명이다. === 기타프릭스 패턴 === [youtube(4oSmauKifeM)] 기타&베이스 MAS 영상 [youtube(q05PwC2Raug)] 기타&베이스 EXT 영상 === 드럼매니아 패턴 === [youtube(uOZfAlBYXD4)] 드럼 MAS & EXT[*1:53] 영상 == [[유비트 시리즈]] == ||<-4><:> [[유비트 시리즈|jubeat]] 난이도 체계|| ||<:>||<#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 5 || 7 || 10.3 || ||<:>노트수|| 335 || 475 || 666 || ||<:>BPM||||||<:>220|| ||<-4> 아케이드 수록버전 || || 아케이드 수록 ||<-3> [[유비트 페스토|{{{#0b2f51 유비트 페스토(2019. 10. 15. ~)}}}]] || || iOS ||<-3> 없음 || || Android ||<-3> 없음 || * 관련 칭호 * [[유비트 페스토]]~ * 最小の完全体 (최소의 완전체) : 모든 보면 클리어 * 自然の理 (자연의 이치) : 모든 보면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3기)] [youtube(377xpWtVwZQ)] EXT 채보 영상 [youtube(Qq_VpUtvlEo)] EXT EXC영상 플레이어는 [[CORBY.QS]] 상하배치가 많아 초견에는 당황하기 쉽지만 익숙해지면 체감 난이도가 떨어진다. 박자가 수시로 바뀌는 부분이나 후반부 다소 밀집된 구간이 어렵지만 10.3 치고는 쉬운 난이도다. 하지만 노트 수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기 때문에 스코어링은 어렵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을 조심하자. == [[팝픈뮤직]] == ||<#fff,#26282c><-3> ||<#ffffd2,#323300> [[BPM]] || 220 || || 곡명 ||<-4> '''最小三倍完全数''' || || 아티스트 명의 ||<-4> [[DJ TECHNORCH]] || || 담당 캐릭터 ||<-2> TRINITY ||<-2> 트리니티 || || 수록된 버전 ||<-4> [[팝픈뮤직 peace|pop'n music peace]]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EASY || NORMAL || HYPER || EX || || 50단계 || 11 || 26 || 42 || 49 || || 노트 수 || 181(?) || 431(?) || 821(?) || 1385(3) || [youtube(6q2aImd7JPM)] EX 채보 영상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의 수록곡 중에서 레벨이 제일 높은 곡이다. 팝픈뮤직 시리즈에 테크노우치의 곡이 수록되는 것은 처음으로, 테크노우치는 [[削除]]와 함께 데뷔와 동시에 49레벨 이상 곡을 수록한 아티스트가 되었다. EX 패턴은 전체적으로 특이한 패턴이라 느껴지기 쉬운 구성. 노트수 자체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복잡한 동시치기를 비롯하여 고속의 난타와 트릴, 한 손을 봉인해 두고 혹사시키는 패턴 등이 쉴 시간을 거의 주지 않고 등장해 체력이 요구된다. 초반의 중앙으로 모이는 초고속 계단은 비록 극초반이지만 여기에서 바닥을 찍어버릴 경우 이후 게이지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마지막에는 좌우 삼각 트릴 이후 곧장 삼중계단으로 이어지는 패턴이 등장해 게이지가 깎이기 쉬우니 유의. 49레벨에서는 중위권-중상위권으로 평가된다. EX를 제외한 모든 난이도의 노트수가 [[쌍둥이 소수]] 이다. == [[사운드 볼텍스]] ==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jk_ddr.jpg|width=150]] || [[파일:jk_ddr.jpg|width=150]] || [[파일:jk_ddr.jpg|width=150]] || [[파일:jk_ddr.jpg|width=150]] || || 난이도 || 05 || 13 || 16 || 18 || || 체인 수 || 0000 || 1105 || 1331 || 1755 || || 일러스트 담당 ||<-4> Ray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Amazeki Kagome]] || || 수록 시기 ||<-4> [[이치카의 BEMANI 투표선발전 2019]] || || [[BPM]] ||<-4> 220 || === 채보 상세 === [youtube(G1lOTlK_6y0, width=420, height=680)] MXM PUC 영상 MXM 패턴은 노브곡으로 나왔다. 짧은 길이의 노브들이 섞여 나오기 때문에 섬세한 노브조작을 요구하며, 후반에는 직각노브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꼬아놓은 패턴이 나오는 등 노브 패턴에 약하다면 고전할 수도 있는 난이도이지만, 다른 18레벨 노브곡들에 비해서 정직하고 간결한 패턴이기 때문에 클리어 난이도는 18레벨 하위권. 위 영상의 1:22와 1:56 구간은 [[사운드 볼텍스 비비드 웨이브|5볼]]에서는 보정으로 인해 돌리지 않아도 체인이 이어졌으나,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6볼]]에서는 제대로 돌려줘야 한다. [youtube(TzXCyzgkB3U, width=420, height=680)] EXH PUC 영상 MXM의 열화판. 그러나 동 레벨대 하위권에 속했던 MXM과는 반대로 16레벨 내에서는 상당히 까다로운 축에 든다. == [[노스텔지어 시리즈]] == [youtube(Rheru8QhH7Y)] 피아노 편곡 담당은 [[코에즈카 요시히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