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曄}}}빛날 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日|{{{#000,#fff 日}}}]],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ヨ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き-らか, かがや-く, さか-ん}}}}}}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yè}}}}}}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曄은 ''''빛날 엽''''이라는 [[한자]]로, '빛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6C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廿一十(ATMJ)으로 입력한다. 흔히 [[형성자]]로 설명되곤 하나, 사실은 [[日]](날 일)과 [[華]](빛날 화)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이에 대한 [[한국어문회]]의 해설은 다음과 같다. >Q: 燁/曄/爗은 각각 육서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요? 흔히 형성자로 설명되곤 하는데, 華(화)=>엽으로 음가가 매우 차이가 큰데, 형성자가 맞나요? > >A: 우선 曄은 日+華로 회의자이고, 曅과 동자입니다. > >爗은 火+曅(音部)로 형성자이고, 燁의 본자입니다. > >燁의 본자는 火+曅(音部)로 이루어진 爗의 음 曅이 華로 약화된 것으로 형성자로 봅니다. >---- >{{{-2 [[https://www.hanja.re.kr/|사단법인한국어문회]] > 학술연구 > 국어상담실 > 한자상담 > 9991(燁/曄/爗)}}} == 용례 == === [[단어]] === * 엽연(曄[[然]])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노찬엽]]([[盧]][[燦]]曄) * [[범엽]]([[范]]曄) * [[신동엽(시인)|신동엽]]([[申]][[東]]曄): 한국의 시인[* [[신동엽|동명이인의 방송인]]은 이체자인 [[燁]]을 쓴다.] * [[유엽]]([[劉]]曄) === [[지명#s-2]] ===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炅]](빛날 경, 연기 날 영, 연기날 계) * [[炡]](빛날 정, 구울 정) * [[炯]](빛날 형) * [[煐]](빛날 영) * [[煜]](빛날 욱, 빛날 읍) * [[煥]](불꽃 환, 빛날 환) * [[煇]](빛날 휘, 햇무리 운, 태울 훈, 벼슬아치 이름 훤, 붉은색 혼) * [[煌]](빛날 황) * [[熙]](빛날 희, 사람 이름 이) * [[熹]](빛날 희) * [[燦]](빛날 찬) * [[燿]](빛날 요, 뾰족할 초, 녹일 삭) * [[爛]](빛날 란(난), 문드러질 란(난))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譁]](지껄일 화) * [[皣]](흰꽃 엽) * [[韡]](밝고성한모양 위) * [[𦠜]](췌장 췌) * [[澕]](깊을 화) * [[嘩]](떠들석할 화) * [[䅿]](무성할 화) * [[樺]](벚나무/자작나무 화) * [[撶]](붙잡아 맬 화) * [[㦊]](사치스러울 화) * [[㠏]](산이름 화) * [[鏵]](삽 화) * [[墷]](샘 솟는 곳 화) * [[鞾]](신 화, 밝고 성한 모양 위) * [[璍]](옥이름 화) * [[𨣄]](전국술 화) * [[驊]](준마 화) * [[𧑍]](큰뱀 화) * [[嬅]](탐스러울 화) * [[𧤻]](천지각 훤) * [[𠎑]](화) * [[𥛵]] * [[𦪠]] * [[𨅯]] * [[𩻮]]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