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晝}}}낮 주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日|{{{#000,#fff 日}}}]],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ュ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ひ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ò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晝는 ''''낮 주''''라는 [[한자]]로, '[[낮]]', [[정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65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LGAM(中土日一)으로 입력한다. || [[파일:晝(갑골).svg|width=100]] || [[파일:晝(금문).svg|width=100]] || [[파일:晝(설문-소전).svg|width=100]] || || [[갑골문]] || [[금문]] || [[소전]] || [[회의자]]다. 갑골문과 금문에서는 [[聿]](붓 율)과 [[日]](날 일)로 이루어져 있고 [[소전]]에서는 日의 사방에 획이 그어져 있는데 이 모양은 이체자인 𦘙(U+26619)의 모양으로 남아 있다. [[설문해자]]에 따르면 聿은 [[畫]](그을 획)의 생략으로 보아 밤과 낮의 경계를 구획한다는 의미로 설명했다. [[午]](낮 오)는 본래 오시(11:00 ~ 13:00)의 의미에서 한낮을 뜻하는데, [[낮]] 자체의 뜻을 가진 단어는 晝가 좀 더 많다. 그림 화(畫)의 이체자로 쓰이기도 한다. == 용례 == === [[단어]] === * 단주([[旦]]晝) * 망주야([[罔]]晝[[夜]]) * 백주([[白]]晝) * 주각(晝[[刻]]) * [[주간]](晝[[間]]) * 주광색(晝[[光]][[色]]) * 주맹(晝[[盲]]) * 주맹증(晝[[盲]][[症]]) * 주소(晝[[宵]]) * 주식(晝[[食]]) * 주야(晝[[夜]]) * [[낮잠|주침]](晝[[寢]]) * 주행(晝[[行]]) * [[주행성]](晝[[行]][[性]]) === [[고사성어]]/[[숙어]] === * 금의주행([[錦]][[衣]]晝[[行]]) * 불분주야([[不]][[分]]晝[[夜]]) * [[불철주야]]([[不]][[撤]]晝[[夜]]) * 야이계주([[夜]][[以]][[繼]]晝) * [[주경야독]](晝[[耕]][[夜]][[讀]]) * 주야불식(晝[[夜]][[不]][[息]]) * [[주야장천]](晝[[夜]][[長]][[川]]) * 주침야소(晝[[寢]][[夜]][[梳]]) === [[인명]] === * [[시이나 마히루]]([[椎]][[名]] [[真]]昼) * [[아이신기오로 훙저우]]([[愛]][[新]][[覺]][[羅]] [[弘]]晝)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午]](낮 오) == 상대자 == * [[㝜]](밤 석) * [[宵]](밤 소) * [[夜]](밤 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書]](글 서) * [[盡]](다할 진) * [[畫]](그림 화, 그을 획) [[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