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시미즈 유키의 만화, rd1=是-ze-)]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是}}}이/옳을 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日|{{{#000,#fff 日}}}]],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ゼ{{{#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こ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 시/옳을 시(是).''' 옳다, 바르다, 이다, 이, 이것 등의 뜻이 있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662F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AMYO(日一卜人)로 입력한다. [[금문]]부터 해당 자형이 나타난다. 금문 상으로는 [[早]](이를 조)와 [[止]](그칠 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래 뜻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중국의 사학자인 곽말약(郭沫若)은 [[匙]](숟가락 시)의 본자였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후에 [[日]](해/날 일)과 [[正]](바를 정)이 합쳐진 모양으로 크게 자형이 바뀌었다.[* [[설문해자]]가 是를 [[日]]과 [[正]]로 이루어졌다고 풀이해놓았는데 현재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설명이다.] 선진 시대에는 이것(this), 옳다(right)[* 시시비비(是是非非)에 그 뜻이 남아있다.]의 뜻을 가졌으나, 한(漢)대부터 ~이다(to be)라는 뜻의 [[계사#s-2계사]]로 쓰이기 시작했고 현재까지 표준중국어에도 그 용법이 이어졌다. 昰는 是의 본자이지만, [[夏]](여름 하)의 고자(古字)이기도 하다.[* 참고로 [[흥선대원군]]의 본명인 '''이하응'''의 '''"하"'''자가 바로 이 '''"昰"'''자다.] == 용례 == === [[단어]] === * 과시([[果]]是) * [[시비]](是[[非]]) * [[시인]](是[[認]]) * 시정(是[[正]]) * [[양시론]]([[兩]]是[[論]]) === [[고사성어]]/[[숙어]] === * [[사단#s.5|시비지심]](是[[非]][[之]][[心]]) * [[시시비비]](是是[[非]][[非]]) * 아시타비([[我]]是[[他]][[非]]) === [[인명]] === * [[고레에다 히로카즈]](是[[枝]] [[裕]][[和]]) * [[다카하시 고레키요]]([[高]][[橋]] 是[[清]]) * [[박시영]]([[朴]]是[[泳]]) * [[박시현]]([[朴]]是[[炫]]) * [[박시현(골프선수)|박시현]]([[朴]]是[[炫]]) * [[사카노우에노 고레노리]]([[坂]][[上]] 是[[則]]) * [[신구지 코레키요]]([[真]][[宮]][[寺]] 是[[淸]]) * [[이시영(배우)|이시영]]([[李]]是[[英]]) * [[제로(반요 야샤히메)|제로]](是[[露]]): [[반요 야샤히메]]의 등장인물 * [[주시은]]([[朱]]是[[垠]]) * [[지시완]]([[池]]是[[抏]]) * [[케이카인 코레미츠]]([[花]][[開]][[院]] 是[[光]]) * [[코레나가 코레유키]](是[[永]] 是[[之]]) === [[창작물]] === *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 [[수시아]]([[誰]]是[[我]]) - 서태지와 아이들 2집 수록곡 * [[是-ze-]] === 기타 === * [[시비충]](是[[非]][[蟲]]) == 유의자 == * '''옳다''' * [[可]](옳을 가) * [[匡]](바를 광) * [[義]](옳을 의) * '''이''' * [[斯]](이 사) * [[玆]](이 자) * [[這]](이 저) * [[此]](이 차) == 상대자 == * '''옳다''' * [[贋]](옳지 않을 안) * '''이''' * [[厥]](그 궐) * [[其]](그 기) * [[彼]](저 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定]](정할 정) * [[足]](발 족)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