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昭}}}밝을 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日|{{{#000,#fff 日}}}]],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き-ら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ā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昭는 ''''밝을 소''''라는 [[한자]]로, '밝다', '틀림없다', '슬기롭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62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ASHR(日尸竹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日]](날 일)과 소리를 나타내는 [[召]](부를 소)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교육용 한자이기는 한데, 단어로는 잘 쓰이지 않고 지명에서도 간간이 발견되는 정도이다. 뜻 때문인지 오히려 인명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 용례 == === [[단어]] === * 소광(昭[[光]]) * [[소상]](昭[[詳]]): 昭가 들어가는 단어 중 그나마 많이 쓰이는 단어이다. * 소연(昭[[然]]) * [[소화]](昭[[和]]) === [[고사성어]]/[[숙어]] === * 소상분명(昭詳[[分]][[明]]): 밝고 자세하여 분명함 * 소소명명(昭昭[[明]][[明]]): 일이 아주 환하고 명백함 * 소소응감(昭昭[[應]][[感]]): 분명히 마음에 응하여 느낌 === [[인명]] === * [[리나(위키미키)|강소은]]([[姜]]昭[[𣫙]]) * [[소희(NATURE)|김소희]]([[金]]昭[[希]]) * [[마도노 미츠아키]]([[真]][[殿]] [[光]]昭) * [[소연(1987)|박소연]]([[朴]]昭[[姸]]) * [[소율(가수)|박소율]] ([[朴]]昭[[燏]]) * [[박소준]]([[朴]]昭[[俊]]) * [[박소현(tripleS)|박소현]]([[朴]]昭[[玹]]) * [[승정 헨조]]([[僧]][[正]] [[遍]]昭) * [[아시카가 요시아키]]([[足]][[利]] [[義]]昭) * [[광종(고려)|왕소]]([[王]]昭) * [[이소정(가수)|이소정]]([[李]]昭[[政]]) * [[전소민]]([[全]]昭[[旻]]): 한국의 배우 * [[전소민(KARD)|전소민]]([[全]]昭[[珉]]): 혼성 그룹 [[KARD]]의 멤버 * [[전조(칠협오의)|전조]]([[展]]昭) * [[소연(1994)|정소연]]([[鄭]]昭[[娟]]) * [[진소곤]]([[陳]]昭[[袞]]) * [[추소정]]([[秋]]昭[[貞]]) === [[지명#s-2]]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격동(昭[[格]][[洞]])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소야리(昭[[野]][[里]]) *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 소양리(昭[[陽]][[里]])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소향리(昭[[香]][[里]]) === 기타 === * [[소현세자]](昭[[顯]][[世]][[子]]) 이왕([[李]]汪) * [[쇼와 덴노]](昭[[和]][[天]][[皇]]) 히로히토(裕[[仁]])-생전 연호 * [[소열제]](昭[[烈]][[帝]]) 유비의 시호 * 소경원(昭[[慶]][[園]]) [[소현세자]] 이왕의 묘 * 문소전([[文]]昭[[殿]]) [[신의왕후]]의 [[혼전]] * 소경전(昭[[敬]][[殿]]) [[공혜왕후]]의 [[혼전]] * 영소전([[永]]昭[[殿]]) [[안순왕후]]의 [[혼전]] * [[소의문]](昭[[義]][[門]]) [[서울특별시]]의 사소문 중 하나.소덕문(昭[[德]][[門]])이라고도 함 * [[소양강]](昭[[陽]][[江]]) [[북한강]]의 지류.[[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서화면에서 시작하여 [[양구군]]을 흘러 [[춘천시]] 북쪽에서 [[북한강]]에 합류됨. 길이 166.2㎞ * [[효소왕]]([[孝]]昭[[王]]) [[신라]] 서른 둘째 임금 * [[소성왕]](昭[[聖]][[王]]) [[신라]] 서른 아홉번째 임금 * 소위장군(昭[[威]][[將]][[軍]]) [[조선]]의 정4품 무관의 품계. * 소의대부(昭[[義]][[大]][[夫]]) [[조선]]의 종2품 종친의 품계 * 소원(昭[[媛]]) [[조선]] 때 왕의 후궁에게 내리던 내명부의 정4품의 품계. 숙원의 위, 숙용의 아래임 == 유의자 == * [[曠]](밝을 광) * [[昑]](밝을 금) * [[旽]](밝을 돈) * [[明]](밝을 명) * [[昉]](밝을 방) * [[晳]](밝을 석) * [[晟]](밝을 성) * [[炤]](밝을 소) 이형동의자 * [[昻]](밝을 앙) * [[旿]](밝을 오) * [[暲]](밝을 장) * [[晙]](밝을 준) * [[晫]](밝을 탁) * [[晧]](밝을 호) == 상대자 == * [[昧]](어두울 매) * [[冥]](어두울 명) * [[蒙]](어두울 몽) * [[暗]]/[[闇]](어두울 암) * [[晦]](어두울 회) * [[昏]](어두울 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𠸿]]^^[⿰𠧢召]^^(끊을 단)[* [[斷]](끊을 단)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鞀]](노도 도) * [[𩎣]]^^[⿰韋召]^^(땡땡이 도) * [[柖]](나무흔들릴 소) * [[沼]](못 소) * [[袑]](바지 소) * [[炤]](밝을 소, 비출 조) * [[佋]](소목 소) * [[玿]](아름다운옥 소) * [[紹]](이을 소) * [[䬰]](조금먹을 소) * [[㸛]]/[[牊]](평상 소) * [[韶]](풍류/아름다울 소) * [[𦦌]]^^[⿰舀召]^^(퍼낼 요) * [[鮉]](도미 조)[* [[鯛]](도미 조)의 [[동자#s-2]]] * [[䧂]](밭갈 조) * [[㷖]](비칠 조)[* [[照]](비칠 조)의 [[본자]]] * [[駋]](새로길들인말 조) * [[詔]](조서 조) * [[䂏]](짧을 조) * [[蛁]](참매미 조) * [[𢁾]](가는실 초) * [[㹦]](꼬리짧은개/담비 초) * [[鉊]](낫 초) * [[貂]]/[[鼦]](담비 초) * [[𠰉]]^^[⿰口召]^^(목구멍울 초) * [[𦨣]]^^[⿰舟召]^^(배이름 초) * [[𪌕]]^^[⿰麥召]^^(볶은보릿가루 초) * [[招]](부를 초) * [[祒]](사람이름 초) * [[岹]](산높은모양 초) * [[軺]](수레이름 초, 작은수레 요) * [[怊]](슬퍼할 초) * [[弨]](시위느슨할 초) * [[妱]](여자의자 초) * [[齠]](이갈 초) * [[眧]](희롱할 초) * [[𢑦]]^^[⿰⿳彑冖巾召]^^(뒤집어칠 파) * [[𣉈]]^^[⿰昏召]^^(어두울 혼)[* [[昏]](어두울 혼)의 [[동자#s-2]]] * [[𤱠]]^^[⿰田召]^^(소) * [[𫥈]]^^[⿰冫召]^^ * [[𡥙]]^^[⿰子召]^^ * [[𡊱]]^^[⿰土召]^^ * [[𭛤]]^^[⿰彳召]^^ * [[𠹾]]^^[⿰受召]^^ * [[𫵥]]^^[⿰屏召]^^ * [[𦚔]]^^[⿰⺼召]^^ * [[𪸲]]^^[⿰𤆌召]^^ * [[𫽟]]^^[⿰投召]^^ * [[𪴻]]^^[⿰歪召]^^ * [[𤾌]]^^[⿰泉召]^^ * [[𥹙]]^^[⿰米召]^^ * [[𬚖]]^^[⿰耳召]^^ * [[𧵓]] * [[𬦪]]^^[⿰𧾷召]^^ * [[𪖠]]^^[⿰鼻召]^^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照]](비칠 조) * [[𡎣]]^^[⿰土昭]^^ * [[𣸬]] * [[𤋜]]^^[⿱昭火]^^ * [[𭫁]]^^[⿱昭木]^^ * [[𧼹]]^^[⿺走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