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3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旣}}}이미 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无|{{{#000,#fff 无}}}]],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すで-に{{{#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旣는 ''' '이미 기' '''라는 [[한자]]이다. '이미', '벌써', '이전에', '곧'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여러 파생 의미가 있으나, 대개 영어의 already나 soon에 대응한다. == 상세 == ||[[파일:imigi.gif]]|| || 旣의 획순 || ||[[파일:imigi2.gif|width=100%]]|| || 旣의 자형 || 皀(고소할 급)과 [[旡]](목멜 기)의 합자이다. [[형성자]]이다. 먹을 것을 수북이 담은 모양인 皀과 배불리 먹고 돌아앉은 모습인 旡로 이루어져있다. 음식을 이미 실컷 먹었다는 것에서 '이미'라는 뜻을 나타낸다. 旣의 부수인 无(旡)는 이 한자에서 이름을 따왔다. 또한 부수로 无를 사용하는 한자들 중 사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것은 旣밖에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유니코드]]는 U+65E3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心一女山(HPMVU)로 입력한다. 한국 외의 다른 국가에서는 약자인 既를 [[정자(한자)|정자]]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 용례 == === [[단어]] === * 개기([[皆]]旣) * [[개기월식]]([[皆]]旣[[月]][[蝕]]) * [[개기일식]]([[皆]]旣[[日]][[蝕]]) * 기득(旣[[得]]) * [[기득권]](旣[[得]][[權]]) * 기성(旣[[成]]) * [[기성사실]](旣[[成]][[事]][[實]]): 이미 이루어진 사실. * [[기성세대]](旣[[成]][[世]][[帶]]) * 기성품(旣[[成]][[品]]) * [[기시감]](旣[[視]][[感]]) * 기약(旣[[約]]) * [[기약분수]](旣[[約]][[分]][[數]]) * [[기약인수]](旣[[約]][[因]][[數]]) * [[기약잉여계]](旣[[約]][[剩]][[餘]][[界]]) * 기왕(旣[[往]]) * [[기정사실]](旣[[定]][[事]][[實]]): 이미 정해진 사실. * 기존(旣[[存]]) * [[기출]](旣[[出]]) * [[기판력]](旣[[判]][[力]]) * [[기혼]](旣[[婚]]) * 기혼자(旣[[婚]][[者]]) === [[고사성어]]/[[숙어]] === * 기망(旣[[望]]) * 기왕불구(旣[[往]][[不]][[咎]]) * 기왕지사(旣[[往]][[之]][[事]]) * 기장지무(旣[[張]][[之]][[舞]]) * 기집분전 역취군영(旣[[集]][[墳]][[典]] [[亦]][[聚]][[群]][[英]]) * 기차당우차방(旣[[借]][[堂]][[又]][[借]][[房]]) * [[아복기포 불찰노기]]([[我]][[腹]]旣[[飽]][[不]][[察]][[奴]][[飢]]) === [[인명]] === * [[기전해]](旣[[殿]][[奚]]) * [[카쿠레미노 스데]]([[隠]][[蓑]] 既) * [[키노 키치]]([[奇]][[野]] 既[[知]]) === [[지명#s-2]] === === [[창작물]] === * [[既成事実]]([[기성사실(VOCALOID 오리지널 곡)|기성사실]]) * 皆既日蝕の書([[개기일식의 서]]) === 기타 === * [[기출변형]](旣[[出]][[變]][[形]]) == 유의자 == * [[已]](이미 이) == 상대자 == * [[未]](아닐 미)[* '아직'의 뜻이 있다.] * [[㬟]](아직 하지 않을 붕)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槪]](대개 개) * [[漑]](물댈 개) * [[慨]](슬퍼할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