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新'''}}}새 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斤|{{{#000000,#fff 斤}}}]],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000,#fff 준6급}}}]]}}} || ||<-8>|| ||<-3><:>{{{#!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5> {{{#!wiki style="margin:-2px" {{{#!html -}}}}}} || ||<-3>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5> {{{#!wiki style="margin:-2px" シン}}} || ||<-3>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5> {{{#!wiki style="margin:-2px" あたら-しい, あら-た, にい}}} || ||<-8>|| ||<-3>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5> {{{#!wiki style="margin:-2px" {{{#!html -}}}}}} || ||<-3>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독음'''}}}}}} ||<-5> {{{#!wiki style="margin:-2px" xīn}}}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 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새롭다"는 뜻의 [[한자]]. 현대 한국에서도 상당히 많이 쓰인다. == 상세 == 유니코드 U+65B0, 한자검정시험 준6급에 해당하는 한자이다. 辛, 木, 斤 자가 합쳐져 만들어졌고, 이 중 辛 자가 음을, 나머지가 뜻을 나타낸다. 본래 '나무를 베다'라는 의미였고, 여기서 유래되어 '새롭게 하다', 즉 '새롭다'는 뜻으로 변했다. 반대의 의미의 한자로는 [[舊]], [[古]] 등이 있다. 일본어에서 新しい(새로운)라고 표기한다.[* しい 부분은 [[오쿠리가나]]로 굴절 부분을 표기한다. 단, 현대 일본어에서 し 부분은 굴절하지 않는다. 이는 [[일본어/고전문법|문어체]]에서 -しい 계열 형용사가 しく 활용이라고 여타 い 형용사와 다른 활용을 보였던 것이 지금까지 표기에 반영된 것이다. 이에 따라 -しい 형용사들은 し부터 오쿠리가나로 적는다.] == 용례 == === 국호 === * [[신나라]](新) * [[신라]](新羅)[* 그런데 이 나라는 이름에 새로울 신 자가 붙었는데 그 상태로 천년이나 존속했다.] === [[단어]] === * [[신(접사)|신]](新)- * 개신(改新) * [[개신교]](改新敎) * [[갱신]](更新) * 갱신생(更新生), [[갱신세]](更新世) * [[경신]](更新) * [[금오신화]](金鰲新話) * [[세설신어]](世說新語) * 쇄신(刷新) * 신간(新刊) * 신규(新規) * [[신기록]](新記錄) * 신년(新年) * 신년사(新年辭) * [[신도시]](新都市) * [[신랑]](新郞) * [[신문]](新聞) * [[신부]](新婦) * [[신생대]](新生代) * [[신생아]](新生兒) * [[신선]](新鮮) * [[신선도]](新鮮度) * [[신설]](新設) * [[신세계]](新世界) * [[신세대]](新世代) * [[신소설]](新小說) * 신식(新式) * [[신약]](新約) * [[신오대사]](新五代史) * [[신유학]](新儒學) * [[신인]](新人) * 신입(新入) * [[신입생]](新入生) * [[신자유주의]](新自由主義) * [[신정]](新正) * 신제품(新製品) * [[신조어]](新造語) * [[신종]](新種) * [[신축]](新築) * [[신학기]](新學期) * 신형(新型) * [[신혼]](新婚) * [[신흥]](新興) * [[유신]](維新) * 참신(斬新) * [[최신]](最新) * [[혁신]](革新) * [[흠흠신서]](欽欽新書) === [[인명]] === * [[니시오 이신]](西尾維新) * [[모치즈키 신이치]](望月新一) * [[신카이 마코토]](新海誠) * [[청나라]] [[황제]]의 성씨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 [[지명]] === * [[니가타현]](新潟県) * [[동대신동]](東大新洞) * [[서대신동]](西大新洞) * [[신당동]](新堂洞) * [[신천동]](新川洞 / 新泉洞) * [[신사동]](新沙洞 / 新士洞 / 新寺洞): [[서울특별시]]의 [[강남구]], [[은평구]], [[관악구]]의 행정동. 각 행정구역의 한자 표기가 다르다. * [[신선동]](新仙洞) * [[신촌동]](新村洞) * [[신베이시]](新北市) * [[신의주시]](新義州市) * [[신창면]](新昌面) * [[신내동]](新內洞) * [[신월동]](新月洞) * [[신대동]](新垈洞) - [[신대동(대전)|대전]], [[신대동(평택)|평택]], 청주시의 법정동. * [[신주쿠]](新宿) == 지하철 == * [[신창역]] * [[신설동역]] * [[신이문역]] * [[신촌역(경의선)]] * [[신촌역(도시철도)]] * [[신사역]] * [[신내역]] * [[신반포역]] * [[신논현역]] * [[신방화역]] * [[신목동역]] * [[신중동역]] * [[신금호역]] * [[신길역]] * [[신답역]] * [[신당역]] * [[신대방역]] * [[신대방삼거리역]] * [[신풍역]] * [[신흥역(도시철도)]] * [[신현역(도시철도)]]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6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