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效}}}본받을 효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攴|{{{#000,#fff 攴}}}]],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5급 한자|{{{#000,#fff 준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き-く, {{{#c88 か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à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效는 ''''본받을 효''''라는 [[한자]]로, '본받다', '효과(效果)'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본받다 || || {{{-1 '''음'''}}} ||효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iào || || {{{-1 '''[[광동어]]'''}}} ||haau^^6^^ || || {{{-1 '''[[객가어]]'''}}} ||háu || || {{{-1 '''[[민북어]]'''}}} ||hāu || || {{{-1 '''[[민동어]]'''}}} ||hâu || || {{{-1 '''[[민남어]]'''}}} ||hāu || || {{{-1 '''[[오어]]'''}}} ||hhiau(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ウ || || {{{-1 '''훈독'''}}} ||き-く, {{{#c88 かい}}} || ||<-3> || ||<-2> '''[[베트남어]]''' ||hiệu || [[유니코드]]에는 U+654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大人大(YKOK)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攴]](칠 복)과 소리를 나타내는 [[交]](사귈 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효과]](效[[果]]) * [[효과음]](效[[果]][[音]]) * 효능(效[[能]]) * 효용(效[[用]]) * [[기대효용]]([[期]][[待]]效[[用]]) * [[기대효용이론]]([[期]][[待]]效[[用]][[理]][[論]]) * [[효용극대화 문제]](效[[用]][[極]][[大]][[化]] [[問]][[題]]) * [[효용함수]](效[[用]][[函]][[數]]) * 효험(效[[驗]]) * 무효([[無]]效) * 약효([[藥]]效) * 특효([[特]]效) === [[고사성어]]/[[숙어]] === * [[서시#s-1]]효빈([[西]][[施]]效[[顰]]). 줄여서 '효빈'이라고도 한다. === [[인명]] === * [[지효|박지효]]([[朴]][[志]]效) * [[이효재]]([[李]]效[[再]]) * [[장효경]]([[張]]效[[經]]) * [[효정|최효정]]([[崔]]效[[定]]) * [[지한(Weeekly)|한지효]]([[韓]][[智]]效) * [[한효원]]([[韓]]效[[元]])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大島優子卒業コンサート in 味の素スタジアム~6月8日の降水確率56%(5月16日現在)、てるてる坊主は本当に効果があるのか?~]]: [[오오시마 유코]]의 졸업 콘서트명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狡]](교활할 교) * [[較]](견줄 교) * [[餃]](경단 교) * [[蛟]](교룡 교) * [[皎]](달밝을 교) * [[郊]](들 교) * [[虠]](범 우는 소리 교) * [[鮫]](상어 교) * [[咬]](새소리 교) * [[頝]](아첨 안할 교) * [[佼]](예쁠 교) * [[校]](학교 교) * [[㿰]](질길 오) [[분류:준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