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放}}}놓을 방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攴|{{{#000,#fff 攴}}}]], 4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8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6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ホ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はな-す, はな-つ, はな-れる, ほう-る,[br]{{{#c88 こ-く, さ-く, ひ-る,[br]ほしいまま, まか-す, ゆる-す}}}}}}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fà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放은 ''''놓을 방''''이라는 [[한자]]로, '놓다'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攴]](칠 복)과 소리를 나타내는 [[方]](모 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53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SOK(卜尸人大)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개방]]([[開]]放) * 개방경제([[開]]放[[經]][[濟]]) * [[개방대학]]([[開]]放[[大]][[學]]) * 개방사회([[開]]放[[社]][[會]]) * [[개방성]]([[開]]放[[性]]) * 개방적([[開]]放[[的]]) * [[결방]]([[缺]]放/[[決]]放) * [[몰빵]](← [[沒]]放) * 방과(放[[課]]) * [[방과후]](放[[課]][[後]]) * [[방기]](放[[棄]]) * 방뇨(放[[尿]]) * [[노상방뇨]]([[路]][[上]]放[[尿]]) * 방랑(放[[浪]]) * [[방랑자]](放[[浪]][[者]]) * [[방렬]](放[[列]]) * 방류(放[[流]]) * 방만(放[[漫]]) * [[방면]](放[[免]]) * 방분(放[[糞]]) * [[노상방분]]([[路]][[上]]放[[糞]]) * [[방사]](放[[射]]) * [[방사선]](放[[射]][[線]]) * [[방사선과]](放[[射]][[線]][[科]]) * [[방사선사]](放[[射]][[線]][[士]]) * [[방사능]](放[[射]][[能]]) * [[방산충]](放[[散]][[蟲]]) * [[방생]](放[[生]]) * [[방송]](放[[送]]) * [[공공방송]]([[公]][[共]]放[[送]]) * [[공영방송]]([[公]][[營]]放[[送]]) * [[교육방송]]([[敎]][[育]]放[[送]]) * [[국영방송]]([[國]][[營]]放[[送]]) * [[민영방송]]([[民]][[營]]放[[送]]) * [[방송국]](放[[送]][[局]]) * [[방송법]](放[[送]][[法]]) * [[방송실]](放[[送]][[室]]) * [[방송자료]](放[[送]][[資]][[料]]) * [[생방송]]([[生]]放[[送]]) * [[위성방송]]([[衛]][[星]]放[[送]]) * [[재방송]]([[再]]放[[送]]) * 중계방송([[中]][[繼]]放[[送]]) * [[방심]](放[[心]]) * [[방영]](放[[映]]) * [[방임]](放[[任]]) * [[자유방임주의]]([[自]][[由]]放[[任]][[主]][[意]]) * [[방자#s-1]](放[[恣]]) * [[방전]](放[[電]]) * [[방종]](放[[縱]]) * [[방출]](放[[出]])/(放[[黜]]) * [[방치]](放[[置]]) * 방탕(放[[蕩]]) * [[방학]](放[[學]]) * [[방화]](放[[火]]) * [[석방]]([[釋]]放) * [[가석방]]([[假]][[釋]]放) * [[추방]]([[追]]放) * [[도편추방제]]([[陶]][[片]][[追]]放[[制]]) * [[해방]]([[解]]放) * [[호방]]([[豪]]放) * [[화생방]]([[化]][[生]]放) * [[훈방]]([[訓]]放) === [[고사성어]]/[[숙어]] === * 문호개방([[門]][[戶]][[開]]放) === [[인명]] ===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방송길]](放[[送]]길) * [[방학동]](放[[鶴]][[洞]]) * [[방학역]](放[[鶴]][[驛]]) * [[하나텐역]](放[[出]][[駅]]) === [[창작물]] === * [[完全放棄宣言]]([[완전포기선언]]) * 放課後おわらいぶ([[방과후 개그부]]) === 기타 === [[방송]] 관련 신조어들이 많다. * 녹방([[錄]]放): '녹화 방송'의 준말 * [[방종#s-3]](放[[終]]): '방송 종료'의 준말 * [[실방]]([[實]]放): '실시간 방송'의 준말 * [[음방]]([[音]]放) * [[추방물]]([[追]]放[[物]]) * [[합방#s-2]]([[合]]放) * [[휴방]]([[休]]放) == 유의자 == * [[擱]](놓을 각) * [[㪈]](놓을 계) * [[釋]](풀 석) * [[失]](놓을 일) * [[夰]](놓을 호) == 상대자 == * [[㪾]](사로잡을 격) * [[擒]]/[[禽]](사로잡을 금) * [[虜]]/[[𢋡]](사로잡을 로) * [[俘]](사로잡을 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邡]](고을이름 방) * [[𩲌]]^^[⿰方鬼]^^(별이름 방) * [[𨾔]]^^[⿰方隹]^^(새이름 방) * [[瓬]](옹기장이 방) * [[鴋]](해오라기 방)[* [[鶭]](해오라기 방)의 [[동자#s-2]]] * [[𠛍]]^^[⿰方刂]^^(끊을 절)[* [[截]](끊을 절)의 [[동자#s-2]]] * [[𣬵]]^^[⿰方毛]^^ * [[𪴩]]^^[⿰方欠]^^ * [[𰕆]]^^[⿰方攴]^^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倣]](본뜰 방) * [[𩜢]]^^[⿱放食]^^(물릴 어) * [[䢟]](놀 유)[* [[遊]](놀 유)의 [[동자#s-2]]] [[분류:준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