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2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揷}}}꽂을 삽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手|{{{#000,#fff 手}}}]],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ソ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さ-す, {{{#c88 す-げる, はさ-む}}}}}}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ā{{{#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揷은 ''''꽂을 삽''''이라는 [[한자]]로, '꽂다', '끼우다' 등을 뜻한다. == 본자/약자 == ||<-8> '''본자''' || ||<|4><:>'''{{{#!html}}}'''[br]꽂을 삽||<:>'''훈(訓)'''||<:>꽂을|| ||<:>'''음(音)'''||<:>삽|| ||<:>'''부수'''||<:>扌 ([[손 수]])|| ||<:>'''총 획수'''||<:>12획|| ||<-8> '''약자''' || ||<|4><:>'''{{{#!html}}}'''[br]꽂을 삽||<:>'''훈(訓)'''||<:>꽂을|| ||<:>'''음(音)'''||<:>삽|| ||<:>'''부수'''||<:>扌 ([[손 수]])|| ||<:>'''총 획수'''||<:>10획|| == 세부 정보 ==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臿]](가래 삽)이 합쳐져 이루어진 글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3F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難手竹十中(XQHJL)로 쓴다. 중국에서는 臿 아래로 세로획이 삐쳐나오지 않은 插으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삽입(揷[[入]]): 끼워 넣음. 끼움, 꽂음 * 삽입표(揷[[入]][[標]]): 끼움표. 적어 놓은 글에 다른 말을 끼워 넣을 때 쓰는 부호 * [[삽화#s-1]](揷[[畫]]): 주로, 신문ㆍ잡지ㆍ서적의 문장 속에서 문장의 내용을 보완하거나 이해를 돕도록 장면을 묘사하여 그린 그림. === [[지명#s-2]] === * 삽시도(揷[[矢]][[島]]): [[충청남도]] [[태안군]] [[안면도]] 남서쪽의 섬으로, 하늘에서 바라보면 화살(矢)을 꽂아놓은(揷) 활처럼 생겼다고 하여 삽시도라 붙여짐. * [[삽교읍]](揷[[橋]][[邑]]): [[충청남도]] [[예산군]]의 행정구역. * [[삽교역]](揷[[橋]][[驛]]) == 유의자 == * [[搢]](꽂을 진) * [[𢺟]](꽂을 찬) * [[抋]](꽂을 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䅤]](심을 집) * [[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