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推}}}밀 추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手|{{{#000,#fff 手}}}]],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ス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す{{{#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u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밀 추/퇴(推)'''. '밀다', '미루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밀다 || || {{{-1 '''음'''}}} ||추/퇴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tuī || || {{{-1 '''[[광동어]]'''}}} ||teoi^^1^^ || || {{{-1 '''[[객가어]]'''}}} ||thôi || || {{{-1 '''[[민북어]]'''}}} ||tó || || {{{-1 '''[[민동어]]'''}}} ||tŏi || || {{{-1 '''[[민남어]]'''}}} ||thui[*文 [[문독]]] / the[*白 [[백독]]] || || {{{-1 '''[[오어]]'''}}} ||the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スイ || || {{{-1 '''훈독'''}}} ||お-す || ||<-3> || ||<-2> '''[[베트남어]]''' ||suy, thôi || [[유니코드]]에는 U+63A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QOG(手人土)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隹]](새 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원래 다음자(多音字)로, 昌모脂운 계열(尺隹切, 한국한자음 '추')과 透모灰운(他回切, 한국한자음 '퇴') 계열의 한자음이 있다. 두 한자음 사이에 의미상 차이는 딱히 없다. 중국어의 대다수 방언에서는 透모灰운 계열의 한자음이, 한국어와 일본어에서는 昌모脂운 계열의 한자음이 우세한다. 다만 한국어의 경우, [[퇴고]](推敲) 등[* 퇴고, 고퇴(敲推), 퇴환(推丸)은 '퇴'로 읽고, 推窓(퇴창/추창), 推戶(퇴호/추호)는 '퇴'와 '추' 모두 가능하다.]의 단어에 한해서 透모灰운으로 읽는다. 베트남어의 경우 일반적인 한자음은 透모灰운이고, '생각하다'라는 의미로 쓰일 때는 昌모脂운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추 ==== * 유추([[類]]推) * 추계(推[[計]]) * 추계학(推[[計]][[學]]) * 추단(推[[斷]]) * 추대(推[[戴]]) * 추동(推[[動]]) * 추량(推[[量]]) * 추력(推[[力]]) * 추론(推[[論]]) * 가언추론([[假]][[言]]推[[論]]) * [[추리]](推[[理]]) * 가설추리([[假]][[說]]推[[理]]) * 가언추리([[假]][[言]]推[[理]]) * 간접추리([[間]][[接]]推[[理]]) * 귀납추리([[歸]][[納]]推[[理]]) * 연결추리([[連]][[結]]推[[理]]) * 유비추리([[類]][[比]]推[[理]]) * 추리력(推[[理]][[力]]) * [[추리 만화]](推[[理]] [[漫]][[畵]]) * [[추리 소설]](推[[理]] [[小]][[說]]) * [[추리 통계학]](推[[理]] [[統]][[計]][[學]]) * 한정추리([[限]][[定]]推[[理]]) * 추산(推[[算]]) * 역추산학([[曆]]推[[算]][[學]]) * [[추심]](推[[尋]]) * 추앙(推[[仰]]) * [[추이]](推[[移]]) * [[추정]](推[[定]]) * [[추정량]](推[[定]][[量]]) * [[추정치]](推[[定]][[値]]) * [[추진]](推[[進]]) * 반동추진([[反]][[動]]推[[進]]) * 추진력(推[[進]][[力]]) * [[추천]](推[[薦]]) * [[비추천]]([[非]]推[[薦]]) * [[추천서]](推[[薦]][[書]]) * [[추측]](推[[測]]) * [[추측 통계학]](推[[測]] [[統]][[計]][[學]]) ==== 퇴 ==== * 고퇴([[敲]]推)[* [[퇴고]](推敲)와 같다. 둘 중에서는 '퇴고'를 압도적으로 많이 쓴다.] * [[쇠똥구리|퇴환]](推[[丸]]) === [[고사성어]]/[[숙어]] === * [[퇴고]](推[[敲]]) === [[인명]] === * [[트위]](推) === [[지명#s-2]] === === [[창작물]] === * [[추구]](推[[句]]) * 추측록(推[[測]][[錄]]) * [[【최애의 아이】]](【推しの子】) === 기타 === * 강추([[強]]推): '강력 추천'의 준말 * [[개추]]([[槪]]推) * [[비추]]([[非]]推) * 추반(推[[反]]): [[네이트판]] 용어. 자기 생각에 따라 '추'천 혹은 '반'대를 누르라는 뜻이다. == 유의자 == == 반대자 == * [[牽]](이끌 견) * [[挽]](당길 만) * [[拉]](끌 랍) * [[輓]](끌 만) * [[曳]](끌 예) * [[引]](끌 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誰]](누구 수) * [[雖]](비록 수) * [[離]](떠날 리) * [[雄]](수컷 웅) * [[醀]](고기 든 술 유) * [[維]](벼리 유, 바 유) * [[惟]](생각할 유) * [[唯]](오직 유) * [[雜]](섞일 잡) * [[准]](준할 준) * [[錐]](송곳 추) * [[椎]](쇠몽치/등골 추) * [[雉]](꿩 치) * [[稚]](어릴 치) * [[堆]](쌓을 퇴) * [[攫]](움킬 확) * [[淮]](물이름 회) * [[携]](이끌 휴)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4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