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拍}}}칠 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手|{{{#000,#fff 手}}}]],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ハク, (ヒ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つ}}}}}}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pā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拍은 ''''칠 박''''이라는 [[한자]]로, '손뼉을 치다', '[[박자]](拍子)'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치다 || || {{{-1 '''음'''}}} ||박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pāi || || {{{-1 '''[[광동어]]'''}}} ||paak^^3^^, paak^^3-2^^ || || {{{-1 '''[[객가어]]'''}}} ||phok || || {{{-1 '''[[민동어]]'''}}} ||páh || || {{{-1 '''[[민남어]]'''}}} ||phek[*文 [[문독]]] / phah[*白 [[백독]]]|| || {{{-1 '''[[오어]]'''}}} ||phaq (T4) || ||<-3> || ||<|2> '''[[일본어]]''' || {{{-1 '''음독'''}}} ||ハク, (ヒョウ) || || {{{-1 '''훈독'''}}} ||''う-つ'' || ||<-3> || ||<-2> '''[[베트남어]]''' ||phách || [[유니코드]]에는 U+62C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手竹日(QHA)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手]](손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白]](흰 백)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박수#s-1]](拍[[手]]) * [[박자]](拍[[子]]) * [[박자표]](拍[[子]][[標]]) === [[고사성어]]/[[숙어]] === * 박장대소(拍[[掌]][[大]][[笑]]): 손뼉을 치며 크게 웃다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擊]](칠 격) * [[拷]](칠 고) * [[攻]](칠 공) * [[毆]](때릴 구) * [[撞]](칠 당) * [[撲]](칠 박) * [[伐]](칠 벌) * [[征]](칠 정) * [[打]](칠 타) * [[討]](칠 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https://zetawiki.com/wiki/%EC%A7%90%EC%8A%B9_%EC%9D%B4%EB%A6%84_%EB%B0%95_%E7%8B%9B|狛]](짐승 이름 박) * [[舶]](큰 배 박) * [[伯]](맏 백) * [[柏]](측백 백) == 기타 == HSK 5급에 등장하는 한자이다. 요즘에는 '촬영하다'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