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或}}}혹 혹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戈|{{{#000,#fff 戈}}}]],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ワ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る, ある-いは}}}}}}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ò{{{#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或은 ''''혹 혹''''이라는 [[한자]]로, '혹시' ,'어떤'을 의미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21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口一(IRM)로 입력한다. [[파일:國자원.png|width=400]] 여기서 囗이 더해지기 전의 형상이 혹 혹. 그 뒤부터는 國이다. 창 과([[戈]])와 에워쌀 위([[囗]])[* 여기서는 성벽을 뜻한다.], 한 일([[一]])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戈에 口가 더해진 或는 창을 들고 성([[城]])을 지킨다는 뜻이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두 개의 획이 더해지게 되었는데, 이것은 경계선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或는 이렇게 성을 경계하는 모습으로'나라'를 뜻했지만, 혹시 모를 적의 침입을 대비한다는 의미로 '혹시'나 '만약'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여기에 큰입구몸([[囗]])을 더한 [[國]]가 '나라'를 뜻하고 있다. 현재 '역'이라는 음으로 쓰이는 사례는 없는데, 역 음은 지경 역([[域]])으로 넘어간 상태이다. == 용례 == === [[단어]] === * '''혹(或)''' * 간혹([[間]]或) * 혹시(或[[是]]) * 혹야(或[[也]]) * 혹여(或[[如]]) * [[혹자]](或[[者]]) === [[인명]] === * [[아루마지키]](或[[真]][[敷]]) 일가의 인물들 * [[아키세 아루]]([[秋]][[瀬]] 或) * [[츠키요미 아루토]]([[月]][[詠]] 或[[斗]]) * [[히덴 아루토]]([[飛]][[電]] 或[[人]]) === [[지명#s-2]] === === [[창작물]] === * [[가례혹문]]([[家]][[禮]]或[[問]]) * [[或ル不和]] * [[或る街のギギ]] * [[或る街の群青]] * [[そこに或るヒカリ]]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戒]](경계할 계) * [[戈]](창 과) * [[戊]](천간 무) * [[成]](이룰 성) * [[戍]](수자리 수) * [[戌]](개 술) * [[彧]](문채 욱) * [[戎]](병장기/오랑캐 융) * [[弋]](주살 익) * [[咸]](다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