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憲}}}법 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心|{{{#000,#fff 心}}}]],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のり}}}}}}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憲은 ''''법 헌''''이라는 [[한자]]로, '법', '[[헌법]](憲法)'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1B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十手一心(JQMP)으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서는 [[害]](해할 해)의 생략형이 소리를 나타내고, 훈을 나타내는 [[目]](눈 목)과 [[心]](마음 심)이 합하여 '민첩하다'는 뜻을 나타내는 [[형성자]]로 풀이했다. 실제로 害와 憲은 금문에서부터 비슷한 모양으로, 이때의 憲은 害의 [[口]](입 구)를 目으로 치환한 형태였다. 그래서 害의 윗부분 부건을 큰 바늘로 보고, 憲도 害와 자원이 비슷한 글자로 보기도 한다. 그러면 큰 바늘로 눈을 찔러 엄히 처벌한다는 뜻이 되고, 이에서 법이라는 뜻이 도출된다. 한편 이 특유의 부건을 차양으로 보고 幰의 원 글자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http://qiyuan.chaziwang.com/etymology-3789.html 그런데 이 사이트에서는 비슷한 모양인 害는 차양으로 해석하지 않고, 설문해자와 비슷하게 宀과 丰과 口가 합한 회의자로 해석했다. http://qiyuan.chaziwang.com/etymology-9819.html] == 용례 == === [[단어]] === * [[헌법]](憲[[法]]) * [[헌법소원]](憲[[法]][[訴]][[願]]) * [[헌법소원심판]](憲[[法]][[訴]][[願]][[審]][[判]]) *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 * 유신헌법([[維]][[新]]憲[[法]]) * [[헌병]](憲[[兵]]) * [[헌병대]](憲[[兵]][[隊]]) * [[헌장]](憲[[章]]) * [[대헌장]]([[大]]憲[[章]]) * 헌재(憲[[裁]]) * 헌부(憲[[府]]) * [[사헌부]]([[司]]憲[[府]]) * [[개헌]]([[改]]憲) * [[개헌저지선]]([[改]]憲[[沮]][[止]][[線]]) * [[발췌 개헌]]([[拔]][[萃]] [[改]]憲) * [[3선 개헌]]([[三]][[選]] [[改]]憲) * 위헌([[違]]憲) * 제헌([[制]]憲) * [[제헌절]]([[制]]憲[[節]]) * 합헌([[合]]憲)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경헌호]]([[慶]]憲[[浩]]) * 고필헌([[高]][[必]]憲): [[메가쑈킹]]의 본명 * [[권헌문]]([[權]]憲[[文]]) * [[나카무라 켄고]]([[中]][[村]] 憲[[剛]]) * [[노재헌]]([[盧]][[載]]憲):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아들 * [[민병헌]]([[閔]][[炳]]憲) * [[박헌영]]([[朴]]憲[[永]]) * 세고에 겐사쿠(瀨[[越]] [[憲]][[作]]): [[우칭위안]], [[조훈현]]의 스승 * [[손시헌]]([[孫]][[時]]憲) * [[송기헌]]([[宋]][[基]]憲) * [[이상헌]]([[李]][[相]]憲) * [[이헌승]]([[李]]憲[[昇]]) * [[임병헌]]([[林]][[炳]]憲) * [[조헌]]([[趙]]憲) * [[정찬헌]]([[鄭]][[粲]]憲) * [[정헌율]]([[鄭]]憲[[律]]) * [[히가시카타 노리스케]]([[東]][[方]] 憲[[助]]) === [[지명#s-2]] === === [[창작물]] === === [[중국어]] === * 宪 [xiàn] * 명) 법, 법률 * 예) 宪法 [xiànfǎ]: 헌법 * 명) 윗사람을 향한 존칭 * 예) 上宪 [shàngxiàn]: 상관, 상사 == 유의자 == * [[規]](법 규) * [[例]](법식 례) * [[律]](법 률) * [[範]](법 범) * [[法]](법 법) * [[式]](법 식) * [[典]](법 전) * [[則]](법칙 칙)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害]](해할 해) * [[寭]](밝힐 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