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愎}}}강퍅할 퍅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心|{{{#000,#fff 心}}}]],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ヒョク, フ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もと-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愎은 ''''강퍅할 퍅''''이라는 [[한자]]로, '강퍅(剛愎, 성격이 까다롭고 고집이 셈)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610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OAE(心人日水)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心]](마음 심)과 음을 나타내는 [[复]](회복할 복, 다시 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한국어 === 음이 매우 독특하여 생경하게 느껴질 수도 있으나 사실은 한국어 일상 회화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어휘에 들어가는 한자이다. 바로 '괴팍하다'가 그것. 원래는 '괴퍅하다'가 맞다. 하지만 한국어 언중이 어색하게 느껴서인지 '괴퍅'을 '괴팍'으로 발음하는 일이 잦았고, 국립국어원에서는 '팍'을 '퍅'의 속음으로 보고 '괴팍하다'를 표준어로 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원래의 음인 '괴퍅하다'는 잘못된 표기가 되어버렸다. '모과'지 '목과'가 아니고 '시월'이지 '십월'이 아닌 것과 같다. [[활음조 현상]] 참고. [[http://www.urimal365.kr/view.jsp?category=15&idx=10231|‘괴팍(乖愎)하다’이고 ‘강퍅(剛愎)하다’인 이유 - 국립국어원]] 그렇지만 이 한자가 쓰인 다른 단어에서는 이 한자를 그대로 '퍅'으로 읽어야 한다. * 퍅성(愎[[性]]): 너그럽지 못하고 까다로워 걸핏하면 화를 내는 성질. * 암퍅([[暗]]愎)하다: 성질이 엉큼하면서 까다롭고 고집이 세다. * 강퍅([[剛]]愎)하다: 성격이 까다롭고 고집이 세다. * 오퍅([[傲]]愎)하다: 교만하고 독살스럽다. 그래서 같은 한자임에도 '팍'과 '퍅'으로 구별해서 읽어야 한다. '퍅성', '암퍅', '오퍅'은 거의 쓸 일이 없는 어휘지만, '강퍅'은 이따금씩 볼 수 있는 어휘이다. 대표적으로는 개역한글판 성경에 파라오가 언급될 때 단골손님으로 등장하는 단어. 개역개정판에서는 '완악'으로 바뀌어 더 이상 볼 수 없다. 비슷하게 음이 특이한 사례로 [[醵]](추렴할 갹)도 존재한다. 자세한 설명은 문서 참조. == 유의자 == * [[悖]](거스를 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䧗]](산무너질 벽) * [[複]](겹칠 복) * [[稪]](곡식이름 복) * [[椱]](말코 복/부) * [[𩜲]](먹을 복) * [[𥪚]]^^[⿰立复]^^(바르지아니할 복) * [[𩋟]]^^[⿰革复]^^(바퀴살/전동 복) * [[輹]](바퀴통 복) * [[腹]](배 복) * [[蝮]](살무사 복) * [[鍑]](솥 복) * [[𦩟]]^^[⿰舟复]^^(옷 복)[* [[服]](옷 복)의 [[동자#s-2]]] * [[㙏]](움 복) * [[㬼]](있을 복) * [[鰒]](전복 복) * [[馥]]/[[𪐒]]^^[⿰⿱黍日复]^^(향기 복) * [[復]](회복할 복, 다시 부) * [[䪖]](가죽옷 부, 멍에싸개 박) * [[緮]](비단 부) * [[䮡]](살찔 필, 얼룩말 박) * [[𦎭]]^^[⿰羊复]^^(복) * [[𣸪]]^^[⿰氵复]^^ * [[𡞪]]^^[⿰女复]^^ * [[𤟱]] * [[𭡪]]^^[⿰扌复]^^ * [[𤋟]]^^[⿰火复]^^ * [[𣦇]]^^[⿰止复]^^ * [[𭞿]]^^[⿰忽复]^^ * [[𤳺]]^^[⿰番复]^^ * [[𮍼]]^^[⿰舌复]^^ * [[𮠸]]^^[⿰酉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