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惠}}}은혜 혜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心|{{{#000,#fff 心}}}]],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イ, エ{{{#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めぐ-む{{{#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hu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惠는 ''''은혜 혜''''라는 [[한자]]로, [[은혜]], [[자비]], 인자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60E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IP(十戈心)로 입력한다. [[叀]](삼갈 전)과 [[心]](마음 심)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수혜(受惠) * 수혜자(受惠者) * 시혜(施惠) * 시혜적(施惠的) * [[은혜]](恩惠) * 자혜(慈惠) * [[최혜국 대우]](最惠國 待遇) * 특혜(特惠) * 혜택(惠澤) === [[고사성어]] === * 기회한혜(綺迴漢惠) * 불비지혜(不費之惠) * 혜이불비(惠而不費) === [[인명]] === 주로 여자의 이름에 많이 쓰이며, 불교 신자나 스님의 [[법명]]에도 많이 쓰는 편이다. 남자로 보이는데 이름에 惠자가 들어가면 [[원혜영]] 등 몇몇 예외를 빼면 거의 법명이다. 호로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경우가 [[성문영어]]의 저자 [[송성문(교육인)|송성문]]의 호인 혜전(惠田). [[일본]]에서는 [[메구미]]라는 이름에 이 한자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죠니시 케이]](上西 恵) 같은 경우도 존재하지만 매우 드문 케이스이다.] 그에 대한 내용은 [[메구미]] 문서를 참조. * [[강혜원]](姜惠元) * [[강혜정]](姜惠貞) * [[공혜왕후]](恭惠王后) * 구혜선(具惠善) * [[김선혜]](金善惠) * [[김승혜]](金昇惠) * [[김혜란]](金惠蘭) * [[김혜옥]](金惠玉) * [[김혜윤]](金惠奫) * [[김혜자]](金惠子) * [[겅후이창]](耿惠[[昌]]) * [[나혜미]](羅惠美) * [[닛타 에미]](新田恵海) * [[박근혜]](朴槿惠) * [[박신혜]](朴信惠) * [[박은혜]](朴恩惠) * [[박혜숙]](朴惠淑) * [[손혜원]](孫惠園) * [[스에가라 리에]](末柄里恵) * [[다혜|송다혜]](宋多惠) * [[신혜선]](申惠善) * [[신혜성]](申惠星) * [[신혜정]](申惠晶) * [[화사(마마무)|안혜진]](安惠眞) * [[원혜영]](元惠榮) * [[유은혜]](兪銀惠) * [[덕혜옹주|이덕혜]](李德惠) * [[이성혜]](李聖惠) * [[이은혜(레이싱 모델)|이은혜]](李恩惠) * [[이토 카나에]](伊藤かな恵) * [[이혜경]](李惠璟) * [[혜리|이혜리]](李惠利) * [[이유애린|이혜민]](李惠敏) * [[혜인|이혜인]](李惠仁) * [[이혜정]](李惠貞) * [[이혜천]](李惠踐) * [[이혜훈]](李惠薰) * [[유혜인(배우)|유혜인]](柳惠仁) * [[장혜선]](張惠善) * [[전혜린]](田惠麟) * [[정혜영]](鄭惠英) * [[조혜련]](趙惠蓮) * [[조혜연]](趙惠連) * [[조혜진]](趙惠眞) * [[충혜왕]](忠惠王) * [[최혜림]](崔惠林) * [[타나카 리에]]([[田]][[中]] [[理]]恵) * [[한혜리]]([[韓]]惠[[里]]) * [[한혜진(배우)|한혜진]]([[韓]]惠[[軫]]) * [[혜공왕]](惠[[恭]][[王]]) * [[혜민]](惠[[敏]])[* 법명이며, 속명은 주봉석이다.] * [[혜자]](惠[[慈]]) * [[혜왕]](惠[[王]]) * [[후시구로 메구미]]([[伏]][[黒]] 恵) === [[지명#s-2]] === *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동]](惠化洞) * [[혜화역]](惠化驛)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廣惠院面) * 함경남도 [[혜산군]](惠山郡) *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후이저우시]](惠[[州]][[市]]) === [[창작물]] === * 숙혜기략([[夙]]惠[[記]][[略]]) === 기타 === * [[제중원|광혜원]]([[廣]]惠[[院]]) * [[이명박근혜]]([[李]][[明]][[博]][[槿]]惠/[[李]][[明]][[朴]][[槿]]惠) * 혜민서(惠[[民]][[署]]) * [[혜자#s-2]](惠[[子]]): [[창렬]]의 반대말 * [[혜종]](惠[[宗]]) * [[혜화문]](惠[[化]][[門]]) == 유의자 == * [[恩]](은혜 은) * [[澤]](못 택)[* '못(연못)' 이외에 '혜택(惠澤)'이라는 뜻이 있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專]](오로지 전)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4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