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얀의 노래 , rd1=심(얀), other2=온게키 시리즈의 오리지널 수록곡, rd2=心(온게키))]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心}}}마음 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心,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こころ, {{{#c88 うら}}}}}}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ī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心-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마음 심''' 가장 기초가 되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로, '[[마음]]', '[[중심]]', '[[심장]]'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마음 || || {{{-1 '''음'''}}} ||심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īn || || {{{-1 '''[[광동어]]'''}}} ||sam^^1^^ || || {{{-1 '''감어'''}}} ||xin1 || || {{{-1 '''[[객가어]]'''}}} ||sîm || || {{{-1 '''진어'''}}} ||xing1 || || {{{-1 '''[[민북어]]'''}}} ||séng || || {{{-1 '''[[민동어]]'''}}} ||sĭng || || {{{-1 '''[[민남어]]'''}}} ||sim || || {{{-1 '''[[오어]]'''}}} ||xin (T1) || || {{{-1 '''상어'''}}} ||sin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ン || || {{{-1 '''훈독'''}}} ||こころ, {{{#c88 うら}}} || ||<-3> || ||<-2> '''[[베트남어]]''' ||tim/tâm || [[유니코드]]에는 U+5FC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心)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ㄒㄧㄣ로 입력한다. [[상형자]]로서, 사람의 심장의 모습을 본따서 만든 한자다[* 일설(一說)에는, 하트 모양(♡)의 갑골문자는 心 자가 아니며, 그 다음 문자부터가 心 자인데 이 글자는 사람의 심장을 본뜬 글자가 아니라 사람의 가슴과 배와 배꼽 부분을 본뜬 것이라는 설도 있다(Richard Sears). 상식적으로 사람의 심장을 직접 꺼내서 보고 본떠서 글자를 만든다는 건 기괴하다. 그런데 심장은 [[동물|사람에만 있는 게 아니고]], 무엇보다도 '''[[고기]]'''라는 존재를 간과할 수 없는 만큼 도축 과정에서 나오는 것을 보고 '우리 몸에도 이런 게 있구나' 하는 식으로 연역적 추측을 했을 가능성도 크다. 당장 다른 내장에 해당하는 한자들([[위(소화기관)|胃]], [[간|肝]], [[쓸개|膽]], [[췌장|胰, 膵]], [[창자|腸]], [[뇌|腦]], [[폐|肺]], [[콩팥|腎]], [[지라|脾]], [[방광|膀, 胱]] 등)을 보더라도 대부분 고기 육(月←肉)이 붙어 있는 것을 봐도 고기와의 연관성이 매우 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현대의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BF%83-oracl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BF%83-bronze.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BF%83-silk.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BF%83-bigseal.svg.png|bgcolor=#fffff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BF%83-seal.svg.png|bgcolor=#ffffff]] 갑골문부터 모양이 [[영 좋지 못한 곳|영 좋지가 못하니]] 혹시나 고전적인 필체로 한자를 쓰고자 한다면 주의해야 할 수도 있다. 간단한 한자임에도 의외로 손글씨에서 모양을 내기가 쉽지 않다. 예쁜 心자를 쓰고 싶다면, 중심에 있는 파임 획을 체크 표시를 좌우로 뒤집은 듯한 형태로 하되, 긴 변을 왼쪽 아래로 오목하게 쓰는 것이 좋다. 점 세 개는 모두 같은 높이로 하되, 파임의 중간 높이를 지나는 가로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찍는다. 하나는 파임 왼쪽, 하나는 파임 안쪽의 오목한 공간, 마지막 하나는 파임 오른쪽에 찍으면 된다. 괜히 가운데의 점을 위에 찍으려고 하면 오히려 모양만 어설퍼진다. 쓸 때에는 왼쪽 점부터 쓰면 된다. 몇 번 쓰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다. 한자 [[必]](반드시 필)은 마음 심의 필획 乚부분을 획 하나가 관통하기에 처음 보는 사람들은 마음이 파괴되었다는 뜻으로 줄곧 오해하기도 하지만 실제 뜻은 그것과는 전혀 상관없는 '반드시'라는 뜻이라서 의아해 하기도 한다. 그러나 必은 '마음'과 아무 상관없으며, 자원(字源)이 불명인 한자다. 두 개 합치면 [[㤈]](마음 아파할 심), 세 개 합치면 [[惢]](꽃술 쇄)가 된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E5%BF%84-order.gif]] 심방변(忄)의 필순 마음 심의 부수는 총 세 가지 형태가 있는데, 心 그 자체와 심방변(忄), 마음심밑(㣺)이 그것이다. 심방변만 변[* 한자의 왼쪽에 있는 부수]이고 나머지는 다 발[* 한자에서 밑부분에 있는 부수]로서 사용된다. 또한 마음심부는 [[강희자전]]에서 61번째로 분류된 부수이다. [[마음]]을 뜻하는 한자답게, 사람이 지닌 [[감정]]과 관련된 한자에 부수로 자주 등장한다. 예컨대 사랑 애([[愛]]), 악할 악([[惡]]), 성낼 노([[怒]]), 두려울 공([[恐]]), 원망할 원([[怨]]), 한 한([[恨]]), 부끄러울 치([[恥]]), 느낄 감([[感]]), 황당할 황([[慌]]), 기쁠 희([[憘]]), 참을 인([[忍]]), 그리울 련([[戀]]) 등등 웬만한 감정 관련 한자들에는 마음심 부수가 있다. == 용례 == 다양한 뜻을 가진 한자다 보니 아주 많은 [[한자어]]에 쓰인다. 마음 심이 들어간 한자어들은 대개 심리나 중심, 심장과 관련된 것들을 뜻한다. 과거 할머니들의 이름 가운데는 이 글자가 들어간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옥심, 영심, 매심, 은심 등. 대표적인 예가 [[박지성]]의 할머니인 김매심. [[성심당]]의 심볼에도 들어간다. === [[단어]] === * [[결심]]([[決]]心) * 경각심([[警]][[覺]]心) * 경계심([[警]][[戒]]心) * 고심([[苦]]心) * [[공포심]]([[恐]][[怖]]心) * [[관심]]([[關]]心) * [[관심병사]]([[關]]心[[兵]][[士]]) * 관심사([[關]]心[[事]]) * [[무관심]]([[無]][[關]][[心]]) * 구심([[求]]心) * [[구심력]]([[求]]心[[力]]) * 구심점([[求]]心[[點]]) * 낙심([[落]]心) * [[내심]]([[內]]心) * [[도심]]([[都]]心) * [[부도심]]([[副]][[都]]心) * [[동심]]([[童]]心) * 명심([[銘]]心) * [[명심보감]]([[明]]心[[寶]][[鑑]]) * [[민심]]([[民]]心) * [[방심]]([[放]]心) * 본심([[本]]心) * 사심([[私]]心) * 사행심([[射]][[倖]]心) * 상심([[傷]]心/[[喪]]心)[* 전자는 근심이나 슬픔으로 인해 속을 썩인다는 뜻이고, 후자는 근심이나 걱정으로 인해 맥이 빠지고 마음이 산만해진다는 뜻이다.] * 선심([[善]]心) * 세심([[細]]心) * [[소심]]([[小]]心) * [[수심#s-3]]([[愁]]心) * [[수치심]]([[羞]][[恥]]心) * [[심경]](心[[境]]) * 심령(心[[靈]]) * [[심리]](心[[理]]/心[[裏]]) * [[군중심리]]([[群]][[衆]]心[[理]]) * 심리적(心[[理]][[的]]) * 심병(心[[病]]) * 회심병([[懷]]心[[病]]) * 심복(心[[腹]]) * [[심상]](心[[像]]/心[[象]]) * [[심신]](心[[身]]) * [[심자도]](心[[磁]][[圖]]) * [[심장]](心[[臟]]) * [[심장병]](心[[臟]][[病]]) * 심적(心[[的]]) * [[심정]](心[[情]]) * 심중(心[[中]]) * 심취(心[[醉]]) * [[심폐]](心[[肺]]) * [[심폐소생술]](心[[肺]][[蘇]][[生]][[術]]) * [[안심]]([[安]]心) * [[애국심]]([[愛]][[國]]心) * [[야심]]([[野]]心) * [[양심]]([[良]]心) * 연필심([[鉛]][[筆]]心) * 열심([[熱]]心) * [[욕심]]([[慾]]心/[[欲]]心) * 원심([[遠]]心) * [[원심력]]([[遠]]心[[力]]) * [[유심론]]([[唯]]心[[論]]) * 의구심([[疑]][[懼]]心) * [[의심]]([[疑]]心) * [[이기심]]([[利]][[己]]心) * [[인내심]]([[忍]][[耐]]心) * [[인심]]([[人]]心) * 일심([[一]]心) * [[자긍심]]([[自]][[矜]]心) * [[자부심]]([[自]][[負]]心) * [[자존심]]([[自]][[尊]]心) * 적개심([[敵]][[愾]]心) * 전심([[專]]心) * [[점심]]/[[딤섬]]([[點]]心) * [[조심]]([[操]]心) * 중심([[中]]心) * 중심지([[中]]心[[地]]) * [[증오심]]([[憎]][[惡]]心) * [[진심]]([[眞]]心) * 충성심([[忠]][[誠]]心) * 충심([[衷]]心) * 한심([[寒]]心) * 합심([[合]]心) * [[핵심]]([[核]]心) * 협심([[協]]心) * 협심([[狹]]心) * [[협심증]]([[狹]]心[[症]]) * [[호기심]]([[好]][[奇]]心) * 환심([[歡]]心) * [[효심]]([[孝]]心) === [[고사성어]]/[[숙어]] === * 견마지심([[犬]][[馬]][[之]]心) * 고심초사([[苦]]心[[焦]][[思]]) * 기산심해([[氣]][[山]]心[[海]]) * [[목인석심]]([[木]][[人]][[石]]心) * 불인지심([[不]][[忍]][[之]]心) * 서시봉심([[西]][[施]][[捧]]心) * [[수구초심]]([[首]][[邱]][[初]]心) * 수오지심([[羞]][[惡]][[之]]心) * 심광체반(心[[光]][[體]][[胖]]) * 심금(心[[琴]]) * 아심여칭([[我]]心[[如]][[秤]]) * [[언감생심]]([[焉]][[敢]][[生]]心) * [[이심전심]]([[以]]心[[傳]]心) * 이청득심([[耳]][[聽]][[得]]心) * 입이저심([[入]][[耳]][[著]]心) * [[작심삼일]]([[作]]心[[三]][[日]]) === [[인명]] === * [[나가오 미유아]]([[長]][[尾]] 心[[愛]]) * [[니이나 오토]]([[新]][[名]] [[音]]心) * [[사카타 미사키]]([[坂]][[田]] 心[[咲]]) * [[신간지 쿠레나이]](心[[願]][[寺]] [[紅]]) * [[신소 히토시]](心[[操]] [[人]][[使]]) * [[왕심린]]([[王]]心[[遴]]) * [[요시노 미사키]]([[芳]][[野]] 心[[咲]]) * [[저우신위]]([[周]]心[[語]]) === [[지명#s-2]] === === [[창작물]] === * [[노심융해]]([[炉]]心[[融]][[解]]) * [[단심가]]([[丹]]心[[歌]]) * [[心(온게키)]] * [[심장 커넥트]]([[心臓コネクト]]) === 기타 === * [[가심비]]([[價]]心[[比]]) * [[관심병]]([[關]]心[[病]]) * [[농심]]([[農]]心) * [[부심(은어)|부심]]([[負]]心) * [[군부심]]([[軍]][[負]]心) * [[사심충]]([[私]]心[[蟲]]) * [[성심당]]([[聖]]心[[堂]]) * [[심기체론]](心[[技]][[體]][[論]]) * [[존심]]([[尊]]心)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必]](반드시 필) - 부수까지 心이지만, 의미상 전혀 관련이 없다. 참고로 획순도 마음 심의 획순과는 확실히 다르다. [[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제부수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