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待}}}기다릴 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彳|{{{#000,#fff 彳}}}]],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タ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ま-つ{{{#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āi, d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待는 ''''기다릴 대''''라는 [[한자]]로, '기다리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기다리다 || || {{{-1 '''음'''}}} ||대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ài, dài || || {{{-1 '''[[광동어]]'''}}} ||doi^^6^^ || || {{{-1 '''[[객가어]]'''}}} ||thoi, thai || || {{{-1 '''[[민동어]]'''}}} ||dâi[*文 [[문독]]] / dô̤i[*白 [[백독]]] || || {{{-1 '''[[민남어]]'''}}} ||tāi[*文], tài[*文1 [[문독]], 交代 같은 일부 단어에 한정] / tē[*白]|| || {{{-1 '''[[오어]]'''}}} ||de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タイ || || {{{-1 '''훈독'''}}} ||ま-つ || ||<-3> || ||<-2> '''[[베트남어]]''' ||đại || [[유니코드]]에는 U+5F8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OGDI(竹人土木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彳]](두인변)과 소리를 나타내는 [[寺]](절 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기대]]([[期]]待) * 걸기대([[乞]][[期]]待) * [[기대가능성]]([[期]]待[[可]][[能]][[性]]) * 기대감([[期]]待[[感]]) * 기대권([[期]]待[[權]]) * 물권적기대권([[物]][[權]][[的]][[期]]待[[權]]) * 기대난([[期]]待[[難]]) * [[기대 수명]]([[期]]待 [[壽]][[命]]) * [[기대치]]([[期]]待[[値]]) * [[기대효용이론]]([[期]]待[[效]][[用]][[理]][[論]]) * [[냉대]]([[冷]]待) * [[대기#s-1]](待[[機]]) * 대기명령(待[[機]][[命]][[令]]) * 대기소(待[[機]][[所]]) * 대기실(待[[機]][[室]]) * 대기자(待[[機]][[者]]) * 비상대기([[非]][[常]]待機) * 대령(待[[令]]) * 대령숙수(待[[令]][[熟]][[手]]) * [[대망]](待[[望]]) * [[대명]](待[[命]]) * [[대우]](待[[遇]]) * 부대우([[不]]待[[遇]]) * [[최혜국대우]]([[最]][[惠]][[國]]待[[遇]]) * 대접(待[[接]]) * 대피(待[[避]]) * [[대피선]](待[[避]][[線]]) * [[대피소]](待[[避]][[所]]) * 대피역(待[[避]][[驛]]) * 대피호(待[[避]][[壕]]) * [[대합실]](待[[合]][[室]]) * [[박대]]([[薄]]待) * [[초대]]([[招]]待) * 초대장([[招]]待[[狀]]) * [[우대]]([[優]]待) * 우대권([[優]]待[[券]]) * 우대금리([[優]]待[[金]][[利]]) * 우대생([[優]]待[[生]]) * 응대([[應]]待) * [[접대]]([[接]]待) * [[접대부]]([[接]]待[[婦]]) * 접대비([[接]]待[[費]]) * 접대실([[接]]待[[室]]) * 존대([[尊]]待) * [[천대]]([[賤]]待) * [[초대]]([[招]]待) * [[초대장]]([[招]]待[[狀]]) * [[하대]]([[下]]待) * [[학대]]([[虐]]待) * [[아동학대]]([[兒]][[童]][[虐]]待) * 홀대([[忽]]待) * 환대([[歡]]待) === [[고사성어]]/[[숙어]] === * 갈민대우([[渴]][[民]]待[[雨]]) * 객인환대([[客]][[人]][[歡]]待) * 고대고대([[苦]]待[[苦]]待) * 문전박대([[門]][[前]][[薄]]待) * [[석고대죄]]([[席]][[藁]]待[[罪]]) * 세월부대인([[歲]][[月]][[不]]待[[人]]) * 수인사대천명([[修]][[人]][[事]]待[[天]][[命]]) * [[수주대토]]([[守]][[株]]待[[兔]]) * 시각대변([[時]][[刻]]待[[變]]) * 악언상대([[惡]][[言]][[相]]待) * 안면박대([[顔]][[面]][[薄]]待) * 의마가대([[倚]][[馬]][[可]]待) * [[이일대로]]([[以]][[逸]]待[[勞]]) * 자욕양이친부대([[子]][[欲]][[養]][[而]][[親]][[不]]待) * 장립대령([[長]][[立]]待[[令]]) * 장립대명([[長]][[立]]待[[命]]) * 좌이대단([[坐]][[以]]待[[旦]]) * 좌이대사([[坐]][[而]]待[[死]]) *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 * 진인사이대천명([[盡]][[人]][[事]][[而]]待[[天]][[命]]) * 차별대우([[差]][[別]]待[[遇]]) * 침과대단([[枕]][[戈]]待[[旦]]) * 침과대적([[枕]][[戈]]待[[敵]]) * 침과이대([[枕]][[戈]][[以]]待) * 하대명년([[何]]待[[明]][[年]]) * 하대세월([[何]]待[[歲]][[月]]) * [[학수고대]]([[鶴]][[首]][[苦]]待) === [[인명]] === * [[츠키시로 유키마치]]([[月]][[代]] [[雪]]待) * [[카자마치 쇼겐]]([[風]]待 [[将]][[監]]) === [[지명#s-2]] === === [[창작물]] === * [[招待]]: [[김동률]]의 앨범 * [[待ち受けプリンス]]([[기다리는 프린스]]) * [[待ちぼうけのLacrima]]([[기다림의 Lacrima]]) * [[キスは待つしかないのでしょうか?]]([[키스는 기다릴 수밖에 없는 건가요?]]) == 유의자 == * [[儝]](기다릴 경) * [[𢔇]](기다릴 도) * [[俟]]/[[𡱢]](기다릴 사) * [[𩓣]](기다릴 수) * [[𣥇]](기다릴 신) * [[𨀉]](기다릴 저) * [[𥩣]](기다릴 주) * [[㱖]](기다릴 취) * [[徯]]/[[𥪦]](기다릴 혜) * [[傒]](기다릴/가둘 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𥩳]](기다릴 대) * [[時]](때 시) * [[侍]](모실 시) * [[恃]](믿을 시) * [[詩]](시 시) * [[𩶬]](준치 시) * [[鼭]](쥐 이름 시) * [[㭙]](망치 적) * [[俦]](무리 주)[* [[儔]](무리 주)의 [[간체자]]] * [[持]](가질 지) * [[洔]](섬 지) * [[跱]](그칠 치) * [[𪗺]](되새김질해서 먹을 치) * [[歭]](머뭇거릴 치) * [[䝰]](모을 치) * [[秲]](벼 이름 치) * [[峙]](언덕 치) * [[畤]](제사터 치) * [[特]](특별할 특) * [[𥹩]](치) * [[𠱾]] * [[𪀔]]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6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