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彐}}}돼지머리 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彐,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3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ケイ}}}}}}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jì}}}}}}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彐-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彐자는 ''''돼지머리 계''''로, '돼지의 뾰족한 코 앞이 위로 드러나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인 [[한자]]이다. [[유니코드]]는 U+5F5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MM(弓一一)으로 입력한다. [[한글]]의 '크'자나 [[가타카나]]의 [[よ|ヨ]]자와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닮은꼴 문자|모양이 비슷하다]]. == 자형 == ||<:>[[파일:彐-seal.svg.png]]|| ||<:>소전체||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튼가로왈부 강희자전 안에 58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25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가로 왈([[曰]])자의 왼쪽 부분이 열린 듯한 모양을 하고 있어서 튼가로왈부라고 부른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돼지에 관한 뜻을 나타내는 자가 몇개 있긴하지만 주로 彐자, 彑자, ⺕자의 자형을 가진 한자를 분류하는데 쓰인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彐|| ||2획||归|| ||3획||当|| ||5획||录|| ||6획||[[彖]]|| ||8획||[[彗]]|| ||15획||[[彞]]||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 튼가로왈부 * 중국 : [ruby(彐部, ruby=jìbù)] * 일본 : けいがしら, いのこがしら * 미국 : Radical snout [[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급수 미배정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