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床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 rd1=牀)]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床}}}상 상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广|{{{#000,#fff 广}}}]], 4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7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とこ, ゆか{{{#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huá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床은 ''''상 상''''이라는 [[한자]]로, '상(床)', '평상(平床)' 등을 뜻한다. 그래서 ''''평상 상''''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E8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D(戈木)로 입력한다. [[牀]](평상 상)의 [[간체자]]로도 사용된다. 준특급에 수록된 牀(U+7240)의 [[속자]]다. [[형성자]]와 [[회의자]]의 중간 성격을 띄는데, 우선 [[부수]]인 [[广]]에서 [[집]]이라는 뜻을 따왔다. 한편, [[木]]의 경우 牀의 축약형으로 보아 음을 따왔기도 하고, '더 높다'는 의미를 더해서 '집의 더 높은 곳', 즉 [[침대]] 등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전자가 회의자, 후자가 형성자와 같은 성격을 보여준다. [[중고한어]]에서 床은 호상(胡牀)이라는 접이식 나무의자나, 좌탑(坐榻)이라는 실내용 목재 소파(couch) 겸 침대를 뜻하는 글자였다.[* 서구의 couch와는 달리 업홀스터리(upholstery, 푹신한 재질의 덮개)가 붙지 않으며, 낮에는 맨바닥 그대로 쓰다가 잘 때는 요를 위에 깔았다.] 하지만 20세기 이후로 이 한자는 한국에서는 '평상', 중국에서는 '침대'나 '[[소파]]'나 '골조(자동차 등의)', 일본에서는 '[[침대]]'나 '[[마루]]'[* 일본어에서 이 의미로 사용되는 床은 '유카'로 훈독한다.], 혹은 '방바닥보다 약간 높게 올린 바닥'[* 일본어에서 이 의미로 사용되는 床은 '토코'로 훈독한다. 넓이에 따라 책상, 의자, 침대 등 다양한 역할로 쓰일 수 있다.] 의 뜻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의외로 한국의 '평상'이라는 개념은 한국을 벗어나면 찾아보기 힘들다. 한국의 평상은 벤치보다는 훨씬 넓어서 목재 침대의 넓이를 하면서도, 기능상으로는 실내에서도 쓰긴 하지만 주로 야외 [[벤치]]에 가까운 기능을 수행한다.[* 터키에는 그나마 비슷한 역할을 하는 것이 있다. 쾨슈크(köşk)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대개 햇볕을 막기 위한 지붕과 평상이 한 세트로 딸려 있다. 이는 [[키오스크]]의 어원이 되었다.] 해외 쇼핑몰에서 한국식 평상과 비슷한 것을 찾으려면 wooden bedstead,[* 실내에서 침대 겸용으로 쓸 수 있는 것.] wooden platform[* 실외에서 서 있거나 앉아 쉴 수 있는 것.]같은 키워드로 검색해야 그나마 비슷한 물건이 나온다. == 용례 == === [[단어]] === * [[기상]]([[起]]床) * [[수라상]]([[水]][[刺]]床) * [[책상]]([[冊]]床) * 임상([[臨]]床) * [[임상기생충학]]([[臨]]床[[寄]][[生]][[蟲]][[學]]) * [[임상병리사]]([[臨]]床[[病]][[理]][[士]]) * [[임상실험]]([[臨]]床[[實]][[驗]]) * 온상([[溫]]床) * 온상지([[溫]]床[[地]]) * 주안상([[酒]][[案]]床) * 쥐코맞상(쥐코맞床) * [[침상]]([[寢]]床) * [[저상버스]]([[低]]床버스) ↔ [[고상버스]]([[高]]床버스) === [[고사성어]]/[[숙어]] === * [[동상이몽]]([[同]]床[[異]][[夢]]) === [[인명]] === * [[다루토코 신지]]([[樽]]床 [[伸]][[二]]) * [[토코다 히로키]](床[[田]] [[寛]][[樹]]) === [[지명#s-2]] === * [[시레토코]]([[知]]床) === [[창작물]] === * [[床の間正座娘]] === [[일본어]] === ==== [[훈독]] ==== 床(ゆか): 바닥을 뜻한다. == 유의자 == * [[匟]](평상 강) * [[𤖦]]^^[⿰爿靈]^^(평상 령) * [[牀]](평상 상) * [[㸛]](평상 소) * [[笫]](평상 자) * [[㸠]](평상 조) * [[㯓]](평상 탑)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痳]](임질 림) * [[㡷]](성씨 본) * [[㦿]](집 호)[* [[戶]](집 호)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𤴷]]^^[⿸疒木]^^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𢭩]]^^[⿰扌床]^^(칠 당)[* [[撞]](칠 당)의 [[동자#s-2]]] * [[𠳹]]^^[⿰口床]^^(탐욕스럽게먹을 당)[* [[噇]](탐욕스럽게먹을 당)의 [[동자#s-2]]] * [[𢃅]]^^[⿰巾床]^^(평상 상)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