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帖}}}문서 첩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巾|{{{#000,#fff 巾}}}]],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ジョウ, チョ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きもの, た-れ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iē, tiě, ti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문서 첩(帖)'''. '문서', '장부'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체지(帖紙, 돈을 받은 표)'를 뜻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체지 체''''라고 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문서 || || {{{-1 '''음'''}}} ||첩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tiē, tiě, tiè || || {{{-1 '''[[광동어]]'''}}} ||tip^^3^^ || || {{{-1 '''[[객가어]]'''}}} ||thiap || || {{{-1 '''[[민북어]]'''}}} ||tiĕ[*文 [[문독]]] / tă[*白 [[백독]]] || || {{{-1 '''[[민동어]]'''}}} ||táik || || {{{-1 '''[[민남어]]'''}}} ||thiap || || {{{-1 '''[[오어]]'''}}} ||thiq (T4)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ジョウ, チョウ}}} || || {{{-1 '''훈독'''}}} ||{{{#c88 かきもの, た-れる}}} || ||<-3> || ||<-2> '''[[베트남어]]''' ||thiếp || [[유니코드]]에는 U+5E1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BYR(中月卜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巾]](수건 건)과 소리를 나타내는 [[占]](차지할 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공명첩]]([[空]][[名]]帖) * [[사진첩]]([[寫]][[眞]]帖) * [[수첩]]([[手]]帖) * 체(帖) * 체지(帖[[紙]])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동맹가첩목아([[童]][[猛]][[哥]]帖[[木]][[兒]]) === [[지명#s-2]] === === [[창작물]] === * [[기사계첩]]([[耆]][[社]][[契]]帖) * [[熱血☆流星忍法帖]] == 유의자 == * [[券]](문서 권) * [[簿]](문서 부) * [[狀]](문서 장) * [[籍]](문서 적)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䬯]](서로만나밥먹을 념) * [[拈]](집을 념) * [[炶]](번쩍거릴 섬) * [[𢓕]](걷는모양 임) * [[岾]](고개 재, 절이름 점) * [[𦕒]](귀조금늘어질 점/접) * [[詀]](말꾸며댈 점, 수다스러울 잠, 잔소리할 첩) * [[𪖚]](매부리코 점) * [[鮎]](메기 점) * [[秥]](벼 점) * [[粘]](붙을 점) * [[胋]](살찔 점/첨) * [[蛅]](쐐기 점) * [[佔]](엿볼 점, 속삭거릴 첨) * [[䀡]](엿볼 점/첨) * [[袩]](옷깃 점/접) * [[阽]](위태로운 점/염) * [[玷]](이지러질 점) * [[坫]](잔돌려놓는자리 점) * [[點]](점 점) * [[黏]](차질 점/념) * [[䩇]](추할 점) * [[䍄]](흠 점) * [[䪓]](띠장식 접/첩) * [[跕]](밟을 접) * [[站]](역마을 참) * [[𪗦]](이뺄 참) * [[𪉜]](짤 참) * [[沾]](더할 첨) * [[黇]](백황색 첨) * [[酟]](섞을 첨) * [[㚲]](약할 첨) * [[怗]](고요할 첩, 어울리지않을 첨) * [[貼]](붙을 첩) * [[呫]](소곤거릴 첩) * [[䩞]](안장장식 첩) * [[鉆]](족집게 첩, 보습 검) * [[𤝓]](핥을 첩) * [[砧]](다듬잇돌 침) * [[枮]](모탕 침) * [[𤘇]](잠) * [[𨱬]](점) * [[𪯴]] * [[𫀅]] * [[𥿕]] * [[𧲸]] * [[𫚳]] * [[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