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布}}}베/펼 포, 보시 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巾|{{{#000,#fff 巾}}}]],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フ, {{{#c88 ホ}}}}}}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ぬの, {{{#c88 し-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펼 포, 보시 보(布)'''. '베', '펴다', '벌여놓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베, 펴다 ||보시 || || {{{-1 '''음'''}}} ||포 ||보 || ||<-4>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2>bù || || {{{-1 '''[[광동어]]'''}}} ||<-2>bou^^3^^ || || {{{-1 '''[[객가어]]'''}}} ||<-2>pu || || {{{-1 '''[[민동어]]'''}}} ||<-2>buó || || {{{-1 '''[[민남어]]'''}}} ||<-2>pò͘ || || {{{-1 '''[[오어]]'''}}} ||<-2>pu (T2) || ||<-4> || ||<|2> '''[[일본어]]''' || {{{-1 '''음독'''}}} ||フ ||フ, {{{#c88 ホ}}} || || {{{-1 '''훈독'''}}} ||ぬの, {{{#c88 し-く}}} || || ||<-4> || ||<-2> '''[[베트남어]]''' ||<-2>bố || [[유니코드]]에는 U+5E0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LB(大中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巾]](수건 건)과 소리를 나타내는 [[父]](아비 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소전]]에서는 父+巾의 자형이었으나 [[예서]]에서 일부 [[전서|대전]]의 자형을 이어받아 지금과 같은 又+巾의 자형으로 정착했다. 이 글자는 '베', '천'이라는 뜻의 명사와 '펴다', '벌여놓다', '베풀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이는데, 두 의미의 관계에 대해서는 어원을 공유한다는 설과 달리한다는 설이 있다. 한편 후자의 의미로 쓰일 때 중화권 번체자(정체자)에서는 앞에 [[人]](사람 인) 변을 붙인 佈[* U+4F48, 창힐수입법 OKLB(人大中月)]를 사용한다. == 용례 == === [[단어]] === ==== 포 ==== * 도포([[塗]]布) * 배포([[配]]布) * [[분포]]([[分]]布) * 산포([[散]]布) * [[산포도]]([[散]]布[[度]]) * 살포([[撒]]布) * [[선전포고]]([[宣]][[戰]]布[[告]]) * [[포교]](布[[敎]]) * [[폭포]]([[瀑]]布) * [[포석]](布[[石]]) ==== 보 ==== * 보시(布[[施]]) === [[고사성어]]/[[숙어]] === * 만장폭포([[萬]][[丈]][[瀑]]布) * 포의지교(布[[衣]][[之]][[交]]): '벼슬이 없는 선비와 서민의 교제'라는 뜻이며, 신분, 지위에 관여하지 않는 교제를 비유해 이르는 말. === [[인명]] === * [[누노타바 시노부]](布[[束]] [[砥]][[信]]) * [[모노노베노 후토]]([[物]][[部]] 布[[都]]) * [[시부시 시부키]]([[志]]布[[志]] [[飛]][[沫]]) * [[여포]]([[呂]]布) * [[영포]]([[英]]布) * [[자부톤]]([[座]]布[[団]]) * [[증포]]([[曾]]布) * [[키이 후미코]]([[紀]][[伊]] 布[[美]][[子]]) * [[포고리옹순]](布[[庫]][[哩]][[雍]][[順]]) * [[호테이 모카]](布[[袋]] [[百]][[椛]]) * [[호테이 토모야스]](布[[袋]] [[寅]][[泰]]) * [[후세 다쓰지]](布[[施]] [[辰]][[治]]) * [[후세 타쿠로]](布[[施]] [[拓]][[郎]]) === [[지명#s-2]] === * [[덴엔쵸후역]]([[田]][[園]][[調]]布[[駅]]) * [[맛푸역]]([[真]]布[[駅]]) * [[쵸후시]]([[調]]布[[市]]) * [[콘부모리역]]([[昆]]布[[盛]][[駅]]) === [[창작물]] === == 유의자 ==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友]](벗 우) * [[右]](오른 우) * [[冇]](없을 유) * [[有]](있을 유) * [[左]](왼 좌) [[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