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巾}}}수건 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巾,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きれ, はば, ふきん}}}}}}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ī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巾-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巾은 ''''수건 건''''이라는 [[한자]]로, '[[수건]]'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DF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B(中月)로 입력한다. 헝겊에 실을 붙여 몸에 차고 있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수건이라는 일상적인 단어에 사용되어 4급 이내로 분류될 수도 있겠지만, 이 한자는 '''1급이다.''' == 자형 == ||<:>[[파일:巾-oracle.svg.png]]||<:>[[파일:巾-bronze.svg.png]]||<:>[[파일:巾-bigseal.svg.png]]||<:>[[파일:巾-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두건]]([[頭]]巾) * [[망건]]([[網]]巾) * [[수건]]([[手]]巾) * 탕건([[宕]]巾) * [[홍건적]]([[紅]]巾[[賊]]) * [[황건적]]([[黃]]巾[[賊]]) === [[고사성어]]/[[숙어]] === * 갈건야복([[葛]]巾[[野]][[服]]) * [[쇄소건즐]]([[灑]][[掃]]巾[[櫛]]) * 시건유방([[侍]]巾[[帷]][[房]]) === [[인명]] === * [[후루야리 즈킨]]([[古]][[槍]] [[頭]]巾)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수건건부 강희자전 안에 50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295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직물의 종류나 형상 등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巾|| ||1획||[[巿]]|| ||2획||[[布]]|| ||4획||[[希]]|| ||5획||[[帚]]|| ||6획||[[帝]] [[帥]]|| ||7획||[[席]]|| ||8획||[[帳]]|| ||9획||[[帽]]|| ||11획||[[幕]]||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수건건부 * 중국: [ruby(巾部, ruby=jīnbù)] * 일본: はば, はばへん * 미국: Radical turban == 유의자 == * [[𢁪]](수건 결) * [[𢂶]](수건 경) * [[帓]](수건 말) * [[㡝]](수건 봉) * [[𢅮]](수건 섬) * [[帨]]/[[𢄢]]/[[𢄣]](수건 세) * [[𢃰]](수건 시) * [[𢁱]](수건 요) * [[𢅟]](수건 의) * [[𢂕]](수건 취) * [[𢁻]](수건 포) * [[㠵]](수건 황)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帀]](두를 잡) * [[中]](가운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