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remywiki.com/Shounen_wa_sora_wo_tadoru.png|width=400]] ||{{{+2 少年は空を[ruby(辿,ruby=たど)]る}}}|| ||<:>{{{-3 {{{#808080 MURAKUMO}}}}}}[br]'''소년은 하늘을 걷는다[* '소년은 하늘을 헤매인다'라는 해석도 있다.]'''|| [목차] == 개요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PON|Power Of Nature]]. 원곡과 리믹스 모두 다량의 변박이 존재한다. ||'''4/4 → 7/8 → 4/4 → 5/4 → 4/4 → 3/4 → 4/4 → 9/8 → 4/4 → 3/4 → 4/4 → 9/8 → 4/4 → 3/4 → 4/4 → 3/4 → 7/8 → 4/4 → 6/4 → 4/4 → 7/8 → 4/4'''|| 이후 [[팝픈뮤직 토끼와 고양이와 소년의 꿈]]에서 후속곡 [[辿る君を超えて]]이 나왔다. == [[팝픈뮤직]] == [include(틀:팝픈뮤직/보스곡)] ||<-3> [[파일:Ux3W8UQ.png|width=224]] || [[BPM]] || 140 || || 곡명 ||<-4> '''少年は空を辿る[br]소년은 하늘을 걷는다''' || ||<-5>記憶の空を辿った少年。叢雲が作り出した闇を払うべく、今、自身と向かい合う。 기억의 하늘을 더듬은 소년. 무리구름이 만들어낸 어둠을 몰아낼 수 있도록, 지금, 자신과 서로 마주본다.|| || 아티스트 명의 ||<-4> [[PON|Power Of Nature]] || || 장르명 ||<-2> MURAKUMO ||<-2> 무리구름 || || 담당 캐릭터 ||<-4> [[MZD]] || || 수록된 버전 ||<-4> pop'n music [[팝픈뮤직 20 fantasia|20 fantasia]]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0000ff EASY}}} || {{{#green,#7fff7f NORMAL}}} || {{{#orange,#ffa500 HYPER}}} || {{{#red,#ff0000 EX}}} || || 43단계 || {{{#blue,#0000ff 21(5버튼)}}} || {{{#green,#7fff7f 27}}} || {{{#orange,#ffa500 38}}} || {{{#red,#ff0000 '''43'''}}} || || 50단계 || {{{#blue,#0000ff 16}}} || {{{#green,#7fff7f 33}}} || {{{#orange,#ffa500 44}}} || {{{#red,#ff0000 '''50'''}}} || || 노트 수 || {{{#blue,#0000ff 501/277}}} || {{{#green,#7fff7f 627}}} || {{{#orange,#ffa500 1073}}} || {{{#red,#ff0000 '''1780'''}}} || ||<-4> HELL [[팝픈뮤직 20 fantasia|fantasia]] || || STARRY†TRANCE || NORMADIC NATION || VELLUM || '''MURAKUMO''' || || [[Southern Cross(BEMANI 시리즈)|Southern Cross]] || [[カラルの月]] || [[Eine Haube ~聖地の果てにあるもの~]] || '''少年は空を辿る'''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pop'n music 20의 최종보스곡. 출현 조건은 페이즈레벨 맥스.[* 페이즈맥스 레벨에 같이 등장하는 세 42레벨 곡인 [[Celsus]], [[カラルの月]], [[Eine Haube ~聖地の果てにあるもの~]]을 모두 플레이해야 해금이 된다.] 해금 이벤트에서도 [[そして世界は音楽に満ちた]] 바로 전에 해금된다. Power Of Nature 명의로는 3번째 곡이자 [[퐁바벨|스케일아웃]] 이후 2번째 보스곡이다. === 채보 상세 === [youtube(aSbIROVkvE8)] EX 채보 영상 [[팝픈뮤직 20 fantasia]]의 페이즈 맥스 보스곡으로 노트수가 '''1780개'''로 이전 작 보스곡인 [[BabeL ~Next Story~|스케일아웃]]보다도 많은 노트수로 무장했기에 당연히 [[짠 게이지]] 속성이 추가되었다. EX 보면의 개략적 구성은 '''초반 발광 → 회복가능 구간[* 말이 회복가능 구간이지 실제 지력/처리력 모두 49 상급 수준이 되어야 할만하다(...).] → 발광 전부터 시작되는 버티기 구간 → 발광 → 회복가능 구간''', 즉 쉴틈이 거의 없기 때문에 요구 체력도 만만치 않다. 전체적으로 스케일아웃보다도 훨씬 더 높은 난이도의 보면으로 무장하고 있는데, 곡 초반의 난이도가 유난히 높은 편이라 본 곡을 20배드 이하로 클리어해 동◆를 받은 사람조차도 초반부에서 바닥까지 게이지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이 곡은 짠 게이지 곡이기 때문에 이렇게 되면 후반부에서 배드를 훨씬 더 적게 받아야만 클리어가 가능하다. 중후반 축이 나오고부터 난이도가 상승하여 24비트 복합계단으로 이루어진 발광부분이 이 곡 클리어 가능성을 좌우하는 곳. 발광부분이 끝나고 나서 나오는 회복 가능 구간의 노트수가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 EX의 절반 정도이며 이 구간을 배드없이 모두 쳐내면 6~7개정도 게이지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발광이 끝나고 최소한 '''보더 -3~4''' 정도는 되어야 안정적으로 클리어가 가능하다. 다만 회복가능 구간조차도 앞부분에 비해서는 확실히 쉬워보이지만 이 부분에서 체력 때문에 지치거나 배치에 대한 버릇이 들어서 좌절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회복구간이 짧고 초반의 난이도가 토이 컨템포러리 EX보다도 높은 탓에 난이도는 일반적으로 [[엔젤리온|엔제]][[토컨]][[HYMN|힘]]보다 확실히 위에 있는 4위 정도로, 50 중에서도 중간보스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 다만 짠게이지의 개인차 특성상 [[헐화]] EX를 본 곡보다 먼저 깨는 경우도 있으므로 참고하자. 랜덤의 난이도의 경우 50 중에서는 그나마 배치의 난이도 분포가 넓지 않은 편이어서 가장 쉽다고 알려져 있다. 정배치나 미러 배치에서 버릇이 들어버린 경우 '''랜덤으로 첫클리어를 하는 경우'''도 꽤 있는 편.[* 이런 양상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저주]]의 3번 항목을 참조하자. ] 상상이 가긴 하겠으나 이정도 수준이려면 팝픈뮤직에서 나올 수 있는 온갖 무리 보면은 왠만하면 다 쳐내야 할 수준이 돼야 한다. 다만 채보들이 여러 형태의 노트구조를 처리하는 연습을 하는데 매우 좋기 때문에 클리어 이후로도 ~~고릴라들의~~ 랜덤연습곡으로 사랑받는 곡 중 하나다. [youtube(PVWAyNUcMB8)] 랜덤 걸린 무라쿠모 영상. 비교적 양호한 배치로 나온 것들인데, 결국 세 번 모두 클리어하지 못했다.[* 본 유저는 영상 촬영 당시 [[silent]]를 제외하고한 모든 50레벨을 클리어한 상태였다. 여담이지만 이후 랜덤 클리어를 달성하기는 했다. (단, 미등록 영상이라 올리지는 않았다.)] 정배치나 미러배치가 요구하는 지력보다 훨씬 더 높은 지력과 손도약을 요구하기 때문에 49의 랜덤 극악곡 [[neu]] EX 보다도 위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다. 이러저러한 요인들이 겹쳐 [[2ch]]와 [[니코니코 동화]]에서는 '''소년은 빈 게이지를 걷는다(少年は空ゲージを辿る)'''는 말로 이 곡의 극악한 난이도를 설명하고 있기도 하다. [youtube(LtRP89b8mrQ)] HYPER 풀 콤보 영상 하이퍼는 난이도 44로 EX 보면을 열화시킨 느낌이다. 발광의 위치나 박자 역시 EX와 동일하지만 복잡한 정도가 훨씬 줄었다. 박자나 발광이 동 레벨 대의 곡들에 비해서는 조금 어려운 편. === [[MZD]]의 이미지 쇄신 === [[파일:attachment/MURAKUMO.jpg]] 곡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가장 주목을 받았던 것 중 하나가 담당캐릭터 [[MZD]]의 지금까지의 이미지와는 다른 모습이었다는 점이었다. '''선글라스를 쓰지 않고''' 모자를 푹 눌러쓰고[* 그 때문인지 [[가린 눈|눈은 보이지 않는다.]]] 녹색 공간을 산책하는 모습으로 등장했는데, 이 모습이 호불호가 많이 갈렸다. 그래도 꽤 멋있는지라 [[http://www.pixiv.net/tags.php?tag=%E3%83%A0%E3%83%A9%E3%82%AF%E3%83%A2|팬아트도 많이 나오는 중]][* [[무라쿠모 가이]]나 [[무라쿠모 밀레니엄]]도 있지만 그래도 '''이게 제일 많다.''']. [[?(팝픈뮤직)|하테나]]는 패배 모션과 피버게이지 클리어모션에 잠깐 출연. 이 MZD가 신이 되기 이전의 인간이었던 MZD라는 설,[* 특히 승리모션등에 나오는 모션에서 뜬금없이 [[냐미|고양이]]랑 [[미미(팝픈뮤직)|토끼]]와 같이 누워있는데 이들이 후에 MZD가 신이될때 같이 냐미/미미 가 된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팝픈 월드는 소년이 사고로 죽은 뒤에 꾸는 꿈이라는 설, [[neu|니엔테]]와 [[uen|리나시타]]와 이어지는 스토리라는 설 등 각종 동인설정들이 난무하고 있다. 그러나 공식 코멘트에서는 떡밥의 진실이 나오지 않고, 확정된 것은 '''이것이 신의 과거의 모습이다''' 정도. 그런데 팝픈 20 판타지아 에필로그의 코멘트에서[* [[そして世界は音楽に満ちた|이게]] 아니라, 판타지아가 끝난 기념으로 스태프들이 코멘트를 썼다.] [[wac]]이 '팝픈뮤직을 우리가 만드는 것은 어느 하나의 꿈일 것이다'나 '꿈에서 깬 아이들도 있고 새로운 꿈을 꾸고 있는 아이들도 있지만 나는 이 꿈을 계속 꾸고 싶다.', '우리 모두 변함 없이 팝픈 꿈을 볼 수 있기 바랍니다' 등의 언급을 했는데, 이 곡과 무슨 관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 아티스트 코멘트 === ||"느려도 강한 보스"가 이 곡의 주제였습니다. "BPM 170 ~ 200정도의 빠른곡만이 어렵다"는 정설을 타파하고 싶었습니다. 선배님들이 구축한 팝픈 보스 곡의 역사에 자신의 흔적을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저는 이 악곡에 Fantasia 최후의 마법을 걸기로 했습니다. 팝픈 마디마다 선율이 없는 부분을 이용하여 16분 음표 이상의 세세한 음표와 박자 변경 등을 집어넣어 BPM에 의존하지 않는 음악의 속도감을 추구하는 것 입니다. 결과는 BPM 140이지만 매우 바쁜 곡이되었습니다. 140이라는 BPM만 보고 속은 분들도 적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카오틱한 악곡 구성은 제작 당시의 정신 상태가 영향을 주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리고 있는 곳도 많이 있습니다만, 지금 듣고 다시 보면 게임 음악이 아니면 허용되지않는곡이고, 게임 음악이아니면 이룰 수 없는 곡이다, 라고도 생각합니다. 곡조도 숲에 헤메이는것같고 하늘을 앞질러가는 것 같기도한, 생각하는 것을 단순히해서, 알기 쉬운 것 같지만 잡기 어려운, 해피 엔딩 같지만 배드 엔딩 같은, 서글픈것같지만 부드럽, 허무한것이 가득 차있는 그런 복잡한 것이 되어 있습니다. 이야기의 엔딩까지 일어난 사건을 더듬으면 분명 이런 기분인 것은 아닐까라고 상상하면서 프레이즈(phrase)를 만들고 이어갔습니다. 그런 생각을 애니메이션에 반영 해달라고 하여 미스테리어스(mysterious)하지만 시리어스(serious)가 들어가있는것으로 마무리지었습니다. 그 은유라고할까. 직접적이지 않지만 느낌으로 느끼게하는,역으로 상상하게하는 점을 써낼수있어서 정말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어느 시대에도 상상은 재산이며, 여러분의 상상 이야기가 모두 정답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것이 팝픈을 즐기는 방법의 하나이며, 20번이나 되는 작품을 계속해 올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라고도 생각합니다. 진정한 의미에서 팝픈 뮤직은 모두가 함께 만들어 성장해 온 것이죠. 감사합니다. 음악의 마지막이 페이드아웃(fade out)하는것처럼 "무라쿠모"에 정해진 엔딩은 없습니다. 딱 잘라 끝내는 것보다 페이드아웃을 넣는것이 "의미심장하고 아름다울것같아"라고 생각한 결과였습니다. 하지만 한가지 알고있는 것은, 페이드아웃의 뒤에 다음 시대가 기다리고 있다는 것. 신생 팝픈 뮤직은 이미 움직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뻔뻔하지만서도, 다시 한번 뻔뻔하지만서도, 여러분이 다음 시대의 팝픈 뮤직도 키워주실것을 간곡히 부탁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팝픈 뮤직을 잘 부탁드립니다. -[[PON]]|| ||좋았어 여긴 저도 시를 하나...라고 생각했지만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아서 어쨌든 이 애니메이션을 담당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라는 걸 중얼거리겠습니다. 제안 외의 시점에서 그린 MZD는 좀 더 어린애 같았지만 보일 듯하면서도 보이지 않는 모습, 표정이 없어서 나이를 모를 정도의 애니메이션을 목표로 하자고 생각해서 뉴트럴 애니메이션으로 뒤를 돌아보고 걷게 했습니다. PON 군도 「언뜻 보기엔 보통 느낌이지만 이상한 오라가 있는 소년」을 원해서요. 그런데, 표정을 안 그리는 애니메이션 제작은 꽤나 어려운 건이였습니다. 손목의 움직임이라던가 천이 펄럭이는 느낌이라던가, 그런 곳에 힘을 넣어봤는데... 사랑이 전해졌다면 기쁘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가롭게 초원에서 자면서 데굴거리는 애니메이션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햇볕 쬐고 싶네요. eimy|| === 기타 === 이 곡은 일본보다 한국에서 먼저 공개되었다. [[매직(리듬 게임)|매직]] 문서 참고. 2012년 6월 10일 [[TATSU]]라는 랭커가 EX패턴 풀콤보를 달성했다. 참고로 KAC2012 과제곡에 걸렸을 때 클리어자가 단 3명밖에 나오지 않았는데, 실은 KAC 팝픈 부문은 클리어 여부를 따지지 않기 때문에 많은 탑랭커들이 스코어를 내기 난해한 정규 배치를 버리고 랜덤 걸고 한 바람에 이런 대참사가 나온 것. 도호쿠 최강자인 무라마저도 랜덤 똥배 걸려서 못 깼다. [[TATSU]]는 랜덤으로 여유있게 클리어. 그리고 자세히 살펴보면 알겠지만 이 곡, 은근 [[콩라인]]이다. 판타지아&포터블 '''2'''에서 MZD가 담당한 '''2'''번째 오리지널 곡[* 즉, 리믹스나 판권곡은 제외하고. 참고로 첫번째는 [[uən|리나시타]]], 판타지아의 '''2'''번째 난이도 43, 판타지아 기준 AC곡들 중 노트 수 '''2'''위,[* 1위는 [[neu|노트 수 1899개의 괴물곡]]. 참고로 CS에만 있는 곡까지 합하면 라피스토리아 기준 [[セイント★セイジのうた|모우시마]](1819개)와 [[L-an!ma]](1827개)에 밀려 4위.] 판타지아 기준 AC곡들 중 노트 밀도 '''2'''위(14.47타/초)[* 1위는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토이컨템]](16.04타/초)], [[TATSU]]의 최고기록 '''2'''굿 등등... [[도마 우마루]]가 팝픈뮤직 [[영업]]을 할 때 배경에 나왔던 채보가 바로 이 곡의 EX 채보이기도 하다. 자세한 것은 도마 우마루 문서를 참조. ~~탑랭커네 탑랭커야~~ == [[유비트 시리즈]] == ||<-4><#bcbcbc><:> [[유비트 시리즈|{{{#000000 유비트}}}]] {{{#000000 난이도 체계}}}|| ||<:>난이도||<#69d462><:>BASIC||<#ff8a00><:>ADVANCED||<#ea4c4c><:>EXTREME|| ||<:>레벨||<:>7||<:>9.4||<:>10.5|| ||<:>노트 수||<:>552||<:>894||<:>1019|| ||<:>BPM||<-3><:>140|| ||<-4><#bcbcbc><:>{{{#000000 아케이드 수록 버전 및 모바일 수록}}}|| ||<:>아케이드||<-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2013.06.03)}}}|| ||<:>모바일||<-3><:><#F8F8F8>[[유비트 소서|{{{#231816 유비트 소서}}}]] {{{#231816 앨범}}}|| ||<:>플러스 모드||<-3><:><#FEE501>[[유비트(모바일판)/수록곡#s-2.2.1.2|{{{#0C3913 pop'n music pack 2}}}]]|| * 관련 칭호[* 굵은 글씨는 칭호 파츠.] * [[유비트 소서]] ~ * '''いつも'''、いつまでも、見守っているよ (언제나, 언제까지나, 지켜보고 있어) : 모든 보면 클리어 * 誰にも見えない'''空'''を、辿った先には。 (누구에게도 보이지 않는 하늘을, 더듬은 끝에는.) : 모든 보면에서 풀 콤보 * [[유비트 시리즈/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미미냐미·코타로의 플라잉 캐치!]] 이벤트로 이식수록되었다. [include(틀:유비트 시리즈/비공식 난이도표/엑설런트/10레벨/10기)] [youtube(nOLZSzLX-4k)] EXT 채보 영상 [youtube(cuCpRc7aik4)] EXT 채보 EXC 영상. [youtube(8tumtbll8yU)] EXT 채보 스텔스 EXC 영상. 플레이어는 N-FL.F7 음원은 팝픈 기체버전이 아닌 OST 버전이 사용되어, 팝픈 기체에서 끝나는 부분 뒤로 10초정도 음악이 더 나온다. 때문에 팝픈 분량대로라면 EXT 보면 기준 930개 쯤에서 끝났을 곡이 무려 '''1019개''' 노트를 자랑하는 물량곡이 되었다. 물량이 상당하고 중간중간 손가락 꼬이기 쉬운 부분이 많고, 전체적으로 좌우 88을 깨야 하는 배치가 상당히 많고 변박이 많이 사용된 곡이라 박자를 잡기가 쉽지 않다. 특히 후반의 경우 상하트릴 배치와 중구난방으로 튀어나오는 슬라이드 배치가 섞여 있는 듯한 패턴이 나오는데 이 패턴이 무려 8마디 씩이나 16비트로 쉴새없이 나온다. 그래도 노트수가 많은 덕분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조금이라도 낮아진게 위안. [youtube(uxUy3FqqSsI)] ADV 채보 영상. ADV 패턴 또한 노트수가 무려 '''894'''개로 9레벨 중에서도 꽤 많은 노트수에다가 ADV 중에서도 노트수가 많은 편에 속한다. 패턴은 9레벨 중 중상위에서 개인차에 따라 상급까지도 갈 수 있는 패턴. EXT 보면의 상하트릴 구간이 모두 폭타로 나오고, 몇번에 걸쳐서 긁기가 나오는 등 9렙 ADV 패턴 중에서는 어려운 편. 엑설런트 난이도도 9레벨 치고는 까다롭다. [youtube(wu7lC9Oe-Sc)] BSC 채보 영상. [youtube(k08u23IsGQ0)] BSC 채보 EXC 영상. 베이직은 애비뉴 기준 노트수 8위. 노트 배치는 단순하지만 익스트림과 어드의 박자에서 이빨이 빠져있는 개박의 영향으로 스코어링의 체감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이 곡 이후로 베이직 노트 수를 넘긴 곡은 많지만, 이상한 박자로 인해 베이직들 중 논외 취급을 받는 몇 가지를 빼면 엑설런트 난이도가 최상급이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4>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3> 난이도 || ||<|2> 140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 {{{#green,#7fff7f 7}}} || {{{#orange,#ffa500 10}}} || {{{#red,#ff0000 14}}} || || SKILL RATE || {{{#green,#7fff7f 29}}} || {{{#orange,#ffa500 47}}} || {{{#red,#ff0000 78}}} || || 오브젝트 || {{{#green,#7fff7f 198}}} || {{{#orange,#ffa500 492}}} || {{{#red,#ff0000 855}}} || || MAX COMBO || {{{#green,#7fff7f 234}}} || {{{#orange,#ffa500 535}}} || {{{#red,#ff0000 959}}} || || JUST REFLEC || {{{#green,#7fff7f 9}}} || {{{#orange,#ffa500 14}}} || {{{#red,#ff0000 25}}} || || 수록버전 ||<-3> [[리플렉 비트 콜레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3> MUSIC PACK 58 || ||<-4>{{{#green,#7fff7f BASIC}}} : 오브젝트 3 증가 (리플레시아)[br]{{{#orange,#ffa500 MEDIUM}}} : 오브젝트 1 감소 (리플레시아)|| [youtube(EPSolVrqrrY)] HARD 패턴 영상 BPM은 140이지만 스크롤 보정으로 실제 내려오는 속도는 빠르다. [[アルストロメリア]]와는 정반대의 경우. 전체적으로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 [[Vairocana]], [[天空の夜明け]]같이 체인 풀린 16비트 오브젝트가 주가 되는 매우 전형적인 체력패턴으로 등장했다. 다만 후반부에 잠깐 동안 24비트 난타가 나와서 당황하기 쉽다. 이 24비트의 속도는 초당 14회로, [[Elemental Creation]]과 거의 비슷한 속도이다. 비슷한 난이도에 비슷한 컨셉을 잡고 있는 [[天空の夜明け]]와 비교해보면, 이 곡은 천공보다 BPM이 10 낮은 대신 상기한 24비트와 이빨빠진 박자를 위시한 박자로 괴롭히는 곡이고, [[天空の夜明け]]는 무라쿠모보다 BPM이 10 높고 박자 장난은 없지만 톱-일반노트 트릴이나 후반 동시치기 등이 신경쓰이는 채보이다. 서로 난이도를 올리는 쪽이 달라 어느 쪽이 더 어렵다고 판단할 수준은 아니지만, 이 체인풀린 16비트 테크닉을 연습하기 위한 연습곡으로는 이 곡보다는 좀 더 박자가 정직한 [[天空の夜明け]]가 추천받는다. 미디엄 패턴은 변칙박자, 16비트 트릴과 연타, 롱잡 등 어려운 부분을 갖추고 있어 체감 난이도 역시 11렙인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 미디엄 보면과 별 차이가 없는 수준. 거기에 처음부터 끝까지 16비트로 일관된 하드패턴과는 달리 미디움은 곡 박자에 맞춰 패턴이 나와 애매한 박자의 악랄함을 체험할 수 있다. 그나마 하드와는 달리 스크롤 속도가 140에 맞춰서 천천히 내려온다는 것이 위안거리. == [[사운드 볼텍스]] (少年は空を辿る Prog Piano Remix)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 제작결정기념 리믹스 컨테스트'의 少年は空を辿る 부문 당선곡이다. 리믹서는 とろまる(토로마루)[* 예전에는 [[가치무치 팬티 레슬링]] 관련 음악들의 [[http://www.nicovideo.jp/mylist/26155700|리믹스들을 제작한것으로 유명했었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GRAVITY || || 자켓 || [[파일:attachment/murakumosdvx.jpg|width=150]] || [[파일:attachment/murakumosdvx.jpg|width=150]] || [[파일:attachment/murakumosdvx.jpg|width=150]] || [[파일:attachment/少年は空を辿る/murakumogrv.jpg|width=150]] || || 레벨 || 05 || 09 || 16 || 17 || || 체인 수 || 0519 || 0709 || 1271 || 1712[* 6볼 이전에는 1647] || || 일러스트 담당 ||<-3> もとこ&[[아오니사이|あおに]] || もとこ&あおに&なす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Megacycle]] || Megaまる子[* Megacycle + しばまる子] || || 수록 시기 ||<-3> {{{#ff00ec,#ff00ec II 06(2013.8.7)}}} || {{{#e28712,#ec921d III 07(2014.12.26)}}} || || [[BPM]] ||<-4> 140 || * [[스킬 애널라이저|SKILL ANALYZER]] 수록 * ADVANCED : Skill Level 03(2013.7.4 ~ 2014.8.1) 자켓에는 [[MZD]]와 꼬마 시절의 [[사운드 볼텍스/캐릭터#세키시_소울|세키시 소울]]과 [[사운드 볼텍스/캐릭터#아오사메_레인|아오사메 레인]]이 손을 잡고 걸어가고 있다. 레인이 쓰고 있는 고양이 귀와 소울이 쓰고 있는 토끼 귀는 [[냐미]]와 [[미미(팝픈뮤직)|미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EXH 패턴은 전체적으로 [[freaky freak]]의 강화판, 리믹스라고는 하지만 다량의 변박을 계승한것도 딱 닮은 위치. === 채보 상세 === [youtube(ty6lRTMvd1w, width=405, height=720)] GRV 패턴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2014년 12월 26일 전날 개시된 [[PON의 운명정화계획]] 이벤트를 패러디한 SDVX의 운명정화계획을 통해 [[INFINITE BLASTER]]에 GRAVITY 패턴이 추가되었다. GRAVITY 패턴은 전반적으로 노브의 비중이 적으며 노트 위주로 구성되었다. 패턴 자체만으로 클리어 난이도도 쉽지 않지만, 곡의 난해한 박자와 느린 BPM을 바탕으로 다양한 계단과 연타를 쉴 새 없이 내보내기 때문에 스코어링 난이도가 더욱 높은 편. 또한 곡 전체적으로 쉴 부분이 거의 없어 집중력 역시 요구된다. 비슷한 성격의 패턴으로는 [[퐁바벨|BabeL ~Next Story~]]가 있다. 다만 피아노 재즈풍으로 잔잔하게 편곡된 곡에 어울리지 않을 정도로 손이 지나치게 바쁘다. 굳이 이렇게까지 손을 바쁘게 만들 필요가 있었냐는 비판의 의견도 꽤나 있는 편. === 당선자 코멘트 === ||토로마루라고 합니다. 이번에 채용해주셔서 매우 큰 영광입니다. 원곡의 복잡성을 남기면서 저다운 음악을 표현하기 위해서, 프로그레시브한 느낌이 있는 피아노와 베이스로 댄스계의 비트 추가한 어레인지로 완성했습니다. 확실히 지금까지 듣고 적기를 하는데 가장 고생한 곡이었지만, 성장으로 연결되는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꼭 즐겨주시면서 플레이해주세요. -당선자 코멘트- || == [[beatmania IIDX]] == || 장르명 ||<-3> ムラクモ[br]무리구름 || [[BPM]] ||<-2> 140 || || 전광판 표기 ||<-6> '''{{{#ff5a00,#ff5a00 SHONEN HA SORA WO TAdORU}}}''' || ||<-7> [[beatmania IIDX]] 난이도 체계 || || ||<-2> {{{#blue,#0000ff 노멀}}} ||<-2> {{{#orange,#ffa500 하이퍼}}} ||<-2> {{{#red,#ff0000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0000ff 6}}} || {{{#blue,#0000ff 644}}} || {{{#orange,#ffa500 10}}} || {{{#orange,#ffa500 1081}}} [include(틀:CN)] || {{{#red,#ff0000 12}}} || {{{#red,#ff0000 1729}}} [include(틀:CN)] || || [[더블 플레이]] || {{{#blue,#0000ff 7}}} || {{{#blue,#0000ff 644}}} || {{{#orange,#ffa500 10}}} || {{{#orange,#ffa500 1092}}} [include(틀:CN)] || {{{#red,#ff0000 12}}} || {{{#red,#ff0000 1908}}} [include(틀:CN)]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2 PENDUAL|22 PENDUAL]]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vol.9) [[BEMANI SUMMER DIARY 2015]]를 통해 이식되었다. 이 곡이 수록된다는 사실은 실제로 등장하기 2주 전에 어이없게 유출되었는데, [[ドッキン☆サマーあばんちゅーる]]를 플레이한 후 홈페이지에서 곡 데이터를 확인하려고 하면 저게 안 뜨고 이 곡이 뜨는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 마침 시기가 시기이다보니 서머 다이어리 이벤트를 통한 팝픈과의 교환이식곡으로 수록될 거라는 예상이 많았고, 2주 후 사실로 밝혀졌다. 이 곡이 이식되면서 판타지아까지의 레벨 50 4곡(トイサイダー村)이 전부 투덱에 수록되었다. 여담으로, 곡 선곡 시 리스트 부분을 잘 보면 다른 곡들과 폰트가 다르다.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B+)]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B)] [youtube(S8qMIAEJwwQ)] 싱글 어나더 영상 SPA 채보는 이전에 이식된 [[シュレーディンガーの猫]]와 마찬가지로 팝픈뮤직의 EX 채보와 구성이 유사하다. 때문에 전반적으로 따닥이 패턴이 많은 편이며, 난이도도 극초반의 고속 계단과 후반의 발광 패턴에 몰려있어 이 두 구간이 하드 클리어에 가장 중요한 구간. 이 외에도 차지노트 요소도 조금 가미되어 있다. 레벨 12 안에서는 대체로 중상위 정도로 평가받는 편. === 더블 플레이 === [youtube(Jqwj8He2WsE)] 더블 어나더 영상 더블 어나더 역시 팝픈뮤직의 EX 채보와 구성이 유사하고 상당히 배치가 난잡하게 꼬여있다. 특히 하드게이지 플레이시 초반의 대계단이 매우 큰 난관. 시종일관 난잡하고 더러운 배치의 난타가 떨어지기 때문에 처리력이 되지 않으면 게이지는 바닥을 길 수밖에 없다. 비공식 난이도는 12.5. [[분류:팝픈뮤직 20 fantasia의 수록곡]][[분류:유비트 소서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콜레트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I -인피니트 인펙션-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22 PENDUAL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