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導}}}인도할 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寸|{{{#000,#fff 寸}}}]], 1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ド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みちび-く, {{{#c88 しるべ}}}}}}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ǎ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導는 ''''인도할 도''''라는 [[한자]]로, '인도(引導)하다', '지도(指導)하다', '이끌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인도하다 || || {{{-1 '''음'''}}} ||도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ǎo || || {{{-1 '''[[광동어]]'''}}} ||dou^^6^^ || || {{{-1 '''[[객가어]]'''}}} ||thô, tho || || {{{-1 '''[[민동어]]'''}}} ||dô̤ || || {{{-1 '''[[민남어]]'''}}} ||tō|| || {{{-1 '''[[오어]]'''}}} ||dau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ドウ || || {{{-1 '''훈독'''}}} ||みちび-く, {{{#c88 しるべ}}} || ||<-3> || ||<-2> '''[[베트남어]]''' ||đạo || [[유니코드]]에는 U+5C0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UDI(卜山木戈)로 입력한다. [[道]](길 도)에서 의미상 파생된 글자로[* Schuessler(2007) 등], 명사 '길', '도리'이라는 의미를 갖는 道에 [[寸]](마디 촌)을 더하여 동사 '인도하다', '이끌다'의 뜻을 나타내었다. 광운상으로 道는 상성[*발음1 徒晧切(/dauX/)]이지만, 導은 거성[*발음2 徒到切(/dauH/)]이다. 그런데 현재 표준중국어(만다린)에서 導가 상성, 道가 거성으로 성조가 서로 맞바뀌어져있는 데, 이는 道의 성조가 濁上變去[* 성모가 전탁음(유성 파열음)인 상성의 성조가 거성으로 바뀜]으로 인해 거성으로 바뀌어 道와 導의 발음이 완전히 똑같게 되자 이를 구별하기 위해 導를 억지로 상성으로 읽은 결과이다. == 용례 == === [[단어]] === * [[도선사(직업)|도선사]](導[[船]][[士]]) * 도전율(導[[電]][[率]]) * [[도함수]](導[[函]][[數]]) * [[적분#부정적분|역도함수]]([[逆]]導[[函]][[數]]) * [[도함수#편미분|편도함수]]([[偏]]導[[函]][[數]]) * [[도화선]](導[[火]][[線]]) * [[반도체]]([[半]]導[[體]]) * [[유도(동음이의어)#誘導|유도]]([[誘]]導) * [[돌연변이유도]]([[突]][[然]][[變]][[異]][[誘]]導) * [[유도자]]([[誘]]導[[子]]) * [[유도탄]]([[誘]]導[[彈]]) * 인도([[引]]導) * [[전도#傳導|전도]]([[傳]]導) * [[전도체]]([[傳]]導[[體]]) * [[초전도체]]([[超]][[傳]]導[[體]]) * 지도([[指]]導) === [[고사성어]]/[[숙어]] === * 당래도사([[當]][[來]]導[[師]]) * 도영화기(導[[迎]][[和]][[氣]]) * 마상봉도([[馬]][[上]][[奉]]導) === [[인명]] === * [[신도 아라타]]([[慎]]導 [[灼]]) * [[신도 아츠시(PSYCHO-PASS)|신도 아츠시]]([[慎]]導 [[篤]][[志]]): [[PSYCHO-PASS]]의 등장인물 * [[왕도(동진)|왕도]]([[王]]導) * [[진도준]]([[陳]]導[[俊]]) === [[지명#s-2]] === * [[젠도지역]]([[善]]導[[寺]][[駅]]) === [[창작물]] === * [[それは音楽が導く永遠の物語]]([[그것은 음악이 인도하는 영원의 이야기]]) * [[華蕾夢ミル狂詩曲〜魂ノ導〜]] == 유의자 == * [[儐]](인도할 빈) * [[誘]](꾈 유) * [[携]](이끌 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噵]](길 도) * [[䆃]](벼 가릴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