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專}}}오로지 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寸|{{{#000,#fff 寸}}}]],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もっぱ-ら, {{{#c88 ほしいまま}}}}}}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uā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파일:專획순.gif|width=200]] || || 專의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專은 ''''오로지 전''''이라는 [[한자]]로, '[[오로지]]', '오직'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C08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IDI(十戈木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寸]](마디 촌)과 음을 나타내는 [[叀]](삼갈 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는 [[耑]]이 있다. 신자체로는 가운데 두 획을 삭제하여 専으로 쓰지만, 專을 소리 부분으로 하는 한자들은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바뀐다([[傳]]-伝, [[轉]]-転, [[團]]-団). 중국에서는 초서체 형태인 专으로 쓰며, 團-团을 제외하고 專을 소리 부분으로 하는 한자에도 적용된다. == 용례 == === [[단어]] === * [[전공]](專[[攻]]) * [[전문]](專[[門]]) * [[전문가]](專[[門]][[家]]) * 전문적(專[[門]][[的]]) * [[전용]](專[[用]]) * [[전유]](專[[有]]) * [[문화적 전유]]([[文]][[化]][[的]] 專[[有]]) * 전유물(專[[有]][[物]])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이맹전]]([[李]][[孟]]專) === [[지명#s-2]] === === 기타 === * [[법전원]]([[法]]專[[院]]) * [[의전원]]([[醫]]專[[院]]) * [[자유전공|자전]]([[自]]專): [[자유전공]]의 준말 * 전필(專[[必]]): '전공 필수'의 준말 * [[한전원]]([[韓]]專[[院]]) == 유의자 == * [[但]](다만 단) * [[唯]](오직 유) * [[欥]](오직 율) * [[顓]]/[[耑]](오로지 전) * [[只]]/[[祗]](다만 지)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尃]](펼 부) * [[蓴]](순채 순) * [[惠]](은혜 혜)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慱]](근심할 단) * [[團]](둥글 단) * [[漙]](이슬많을 단) * [[蓴]](순채 순) * [[轉]](구를 전) * [[塼]](벽돌 전) * [[膞]](저민고기/녹로대 전) * [[傳]](전할 전)